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문화경관의 계획 및 관리 요소로서 재료의 보존과 구분 = Conservation and Distinction of Materials as an El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08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material conservation and distinction in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material conservation, distinction and landscape.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material conservation and landscape, the before and after changes in Seonyudo Park, Oil Tank Culture Park, and Iksun-dong Hanok Villa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terials that make up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form the historical layer and form the identity of the place. Therefore, the physical reality of the materials that make up the landscape must be conserved to last as long as possible. Second, the landscape of Seonyudo Park, Oil Tank Culture Park, and Ikseon-dong Hanok Village show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reflecting the identity of the place through the conservation and classification of materials. By maintaining the existing spatial structure and conserving the elements, it provides people with important information to recognize the memory accumulated in the landscape of the plac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materials is projecting the flow of time into the landscape, allowing people to experience a multi-layered landscape. Third, it is necessary to build a process that can identify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landscape, accumulate historical changes, evaluate the preservation status of each material, and then systematically perform the process of appropriate adjustment.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work of copying, removing, and moving materials, and to adjust the speed at which the landscape changes to prevent any historical disconnect caused by rapid chang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material conservation and distinction in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material conservation, distinction and l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material conservation and distinction in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material conservation, distinction and landscape.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material conservation and landscape, the before and after changes in Seonyudo Park, Oil Tank Culture Park, and Iksun-dong Hanok Villa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terials that make up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form the historical layer and form the identity of the place. Therefore, the physical reality of the materials that make up the landscape must be conserved to last as long as possible. Second, the landscape of Seonyudo Park, Oil Tank Culture Park, and Ikseon-dong Hanok Village show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reflecting the identity of the place through the conservation and classification of materials. By maintaining the existing spatial structure and conserving the elements, it provides people with important information to recognize the memory accumulated in the landscape of the plac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materials is projecting the flow of time into the landscape, allowing people to experience a multi-layered landscape. Third, it is necessary to build a process that can identify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landscape, accumulate historical changes, evaluate the preservation status of each material, and then systematically perform the process of appropriate adjustment.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work of copying, removing, and moving materials, and to adjust the speed at which the landscape changes to prevent any historical disconnect caused by rapid chang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계복, "희양산 경관의 역사적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40-48, 2011

      2 Tian Valery D, "한국전통건축에 나타난 시간, 공간 그리고 공포의 개념" 한국건축역사학회 5 (5): 166-171, 1996

      3 김난도, "트렌드 코리아 2019" 미래의 창 2019

      4 김소진, "이상범 가옥 및 화실 내 꽃담의 재료학적 특성과 보존처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7 (27): 313-322, 2011

      5 이유진, "우담 채득기의 경천대 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 28 (28): 127-143, 2010

      6 서영애, "역사도시경관으로서 서울 남산: 산, 공원, 도성의 다층적 관점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5

      7 조경설계서안, "선유도 공원" 7 (7): 39-51, 2002

      8 "서울의 산과 공원 : 문화비축기지"

      9 최성만, "발터 벤야민 기억의 정치학" 길 2014

      10 문화재청, "문화재청 50년사: 본사편" 2011

      1 안계복, "희양산 경관의 역사적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40-48, 2011

      2 Tian Valery D, "한국전통건축에 나타난 시간, 공간 그리고 공포의 개념" 한국건축역사학회 5 (5): 166-171, 1996

      3 김난도, "트렌드 코리아 2019" 미래의 창 2019

      4 김소진, "이상범 가옥 및 화실 내 꽃담의 재료학적 특성과 보존처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7 (27): 313-322, 2011

      5 이유진, "우담 채득기의 경천대 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 28 (28): 127-143, 2010

      6 서영애, "역사도시경관으로서 서울 남산: 산, 공원, 도성의 다층적 관점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5

      7 조경설계서안, "선유도 공원" 7 (7): 39-51, 2002

      8 "서울의 산과 공원 : 문화비축기지"

      9 최성만, "발터 벤야민 기억의 정치학" 길 2014

      10 문화재청, "문화재청 50년사: 본사편" 2011

      11 최병하, "문화유산의 수복이론: 보존에서 복원까지" 기문당 2013

      12 김일림, "문화경관자원을 활용한 지오투어리즘의 이해 -중랑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5 (25): 115-127, 2015

      13 안재섭, "도시재생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21 (21): 125-137, 2011

      14 이승지, "뉴욕 역사지구(Historic District)의 경관관리 체계 및 특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1 (11): 129-142, 2010

      15 정성훈, "노후산업단지 재생계획 분석-성남일반산업단지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8 (28): 173-182, 2018

      16 정혜윤, "노후산업단지 공간조성 모델 개발을 위한 재생방향 연구 -서울온수산업단지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8 (28): 183-192, 2018

      17 손은신,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 - 구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46 (46): 21-35, 2018

      18 정광중, "곶자왈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곶자왈의 존재방식에 대한 물음과 제언-" 한국사진지리학회 25 (25): 15-32, 2015

      19 강태호, "고도경주의 역사문화경관 특성과 보존 대책" 한국전통조경학회 28 (28): 64-75, 2010

      20 김용기, "경포호의 경관변천과인식에 관한 연구" 14 (14): 59-74, 1996

      21 정기호, "경관, 공간에 남은 삶의 흔적" 집 2014

      22 이상해, "건축역사문화환경의 보전과 복원의 과제" 국립문화재연구소 (26) : 344-371, 1993

      23 최병하, "건축문화유산의보존과 역사: 과거와 현재" 기문당 2009

      24 발터 벤야민, "[단행본]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2005

      25 Philippot, P, "Saggi sul Restauro e Dintorni Antologia" Bonsignori Editore 1998

      26 Carbonara, G, "Restauro Architettonico:Principi e Metodo" Carlo Macosu 2012

      27 "Council of Europe"

      28 Larsen, K. E, "Architectural Preservation in Japan" Tapir Publishers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