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로 문학하기: ‘한국어번역과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Doing Literature in Korean for Foreign Students: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n Translation and Writing Cou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45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ctivities of foreign students in Korean,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n translation and writing’ in KFL department of HUFS. This started from the worries about how Korean literature can be lively in university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For foreign students, ‘Korean literature’ cannot be left in the form of a deformed form, a text that shows Korean texts and Korean social culture. No matter what language it is used, literature is a linguistic text containing various thoughts and feelings of human beings, and has infinite possibilities in itself. Reading such literary works is an act of expanding the radius of life and constantly asking questions about oneself. It is also an act that can indirectly reflect oneself in things that have not been foreseeing and experiencing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lives to face in life. For foreign students, ‘Korean literature’ can have such utilit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activities of foreign students in Korean,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n translation and writing’ in KFL department of HUFS. This started from the worries about how Korean literature can be lively in university education f...

      This study examined the activities of foreign students in Korean,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n translation and writing’ in KFL department of HUFS. This started from the worries about how Korean literature can be lively in university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For foreign students, ‘Korean literature’ cannot be left in the form of a deformed form, a text that shows Korean texts and Korean social culture. No matter what language it is used, literature is a linguistic text containing various thoughts and feelings of human beings, and has infinite possibilities in itself. Reading such literary works is an act of expanding the radius of life and constantly asking questions about oneself. It is also an act that can indirectly reflect oneself in things that have not been foreseeing and experiencing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lives to face in life. For foreign students, ‘Korean literature’ can have such ut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은미,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 방안 연구 ―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79 : 293-323, 2019

      2 김태연,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문학 텍스트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학습자 및 교수자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6 (16): 121-147, 2019

      3 정해권,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작품의 통합적 위계화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203-221, 2011

      4 페터 비에리, "자기 결정" 은행나무 2015

      5 기형도, "입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사 1991

      6 정미지, "일반목적 한국어 고급과정의 교수 내용에 대한 재고—학습자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5 : 2015

      7 이소현,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한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자아성찰 경험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76) : 127-159, 2018

      8 이가원,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패러디(Parody) 활동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8) : 325-355, 2012

      9 김윤경, "문학작품을 활용한 외국인 글쓰기 지도 사례"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569-590, 2019

      10 함민복,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창비 1996

      1 고은미,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 방안 연구 ―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79 : 293-323, 2019

      2 김태연,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문학 텍스트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학습자 및 교수자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6 (16): 121-147, 2019

      3 정해권,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작품의 통합적 위계화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203-221, 2011

      4 페터 비에리, "자기 결정" 은행나무 2015

      5 기형도, "입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사 1991

      6 정미지, "일반목적 한국어 고급과정의 교수 내용에 대한 재고—학습자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5 : 2015

      7 이소현,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한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자아성찰 경험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76) : 127-159, 2018

      8 이가원,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패러디(Parody) 활동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8) : 325-355, 2012

      9 김윤경, "문학작품을 활용한 외국인 글쓰기 지도 사례"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569-590, 2019

      10 함민복,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창비 1996

      11 윤한로, "메추라기 사랑 노래" 시인동네 2015

      12 왕녕, "맥락(context)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자의 현대시 읽기 양상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6) : 265-305, 2018

      13 김기택, "껌" 창비 2009

      14 나희덕,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창비 1999

      15 Aebersold, J. A., "From reader to reading teacher: Issues andstrategies for second language classroo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5 1.00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