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형학적 인자 및 강우량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영향 평가 = Assessment of the Effect of Geographic Factors and Rainfall on Erosion and Depos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30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nd soil erosion or deposition, simulated from distributed rainfall-sediment-runoff model applications. We selected area, overland flow length, local slope as catchmen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among many important geographic factors and also used the grid-based accumulated rainfall as a representative hydro-climatic factor to assess the effect of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factors on erosion and deposition. The study catchment was divided based on the Strahler's stream order method fo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 and erosion or deposition. Both erosion and deposition increased linearly as the catchment area became larger. Erosion occurred widely throughout the catchment, whereas deposition was observed at the grid-cells near the channel network with short overland flow lengths and mild slop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results between grid-based accumulated rainfall and soil erosion or deposition showed that erosion increased gradually as rainfall amount increased, whereas deposition responded irregularly to variations in rainfall. Within the context of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deposi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geographic factors used in this study while eros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rainfall.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nd soil erosion or deposition, simulated from distributed rainfall-sediment-runoff model applications. We selected area, overland flow length, local slope as catchment representa...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nd soil erosion or deposition, simulated from distributed rainfall-sediment-runoff model applications. We selected area, overland flow length, local slope as catchmen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among many important geographic factors and also used the grid-based accumulated rainfall as a representative hydro-climatic factor to assess the effect of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factors on erosion and deposition. The study catchment was divided based on the Strahler's stream order method fo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 and erosion or deposition. Both erosion and deposition increased linearly as the catchment area became larger. Erosion occurred widely throughout the catchment, whereas deposition was observed at the grid-cells near the channel network with short overland flow lengths and mild slop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results between grid-based accumulated rainfall and soil erosion or deposition showed that erosion increased gradually as rainfall amount increased, whereas deposition responded irregularly to variations in rainfall. Within the context of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deposi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geographic factors used in this study while eros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rainfal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격자기반의 유역침식 및 퇴적 공간분포 정보를 획득하고, 유역의 지형학적, 수문기상학적 특성인자가 유역의 침식 및 퇴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대표하는 인자로는 유역면적, 지표흐름 이동거리, 국부경사를 선택하였으며, 격자기반의 누적강우량을 수문기상학적 인자로 활용하여 대상유역에서의 침식 및 퇴적의 변동성을 분석한다. 유역면적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대상유역은 Strahler 하천차수법칙에 의해 다수의 소유역으로 구분되었으며, 면적에 따른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침식 및 퇴적 모두 면적이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표흐름의 이동거리 및 국부경사에 따른 침식 및 퇴적양상의 분석 결과, 침식은 유역전반에 걸쳐 비교적 균등하게 발생하였으나 퇴적의 경우 짧은 지표흐름 이동거리 및 완만한 경사를 갖는 하천선 인접 격자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격자별 누적 강우량에 따른 침식 및 퇴적 변동성 분석결과,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침식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퇴적은 강우량 증감에 따라 불규칙적인 변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선택된 지형학적 인자들은 퇴적과정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강우량은 유역의 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격자기반의 유역침식 및 퇴적 공간분포 정보를 획득하고, 유역의 지형학적, 수문기상학적 특성인자가 유역의 침식 및 퇴적에 미치는 ...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격자기반의 유역침식 및 퇴적 공간분포 정보를 획득하고, 유역의 지형학적, 수문기상학적 특성인자가 유역의 침식 및 퇴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대표하는 인자로는 유역면적, 지표흐름 이동거리, 국부경사를 선택하였으며, 격자기반의 누적강우량을 수문기상학적 인자로 활용하여 대상유역에서의 침식 및 퇴적의 변동성을 분석한다. 유역면적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대상유역은 Strahler 하천차수법칙에 의해 다수의 소유역으로 구분되었으며, 면적에 따른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침식 및 퇴적 모두 면적이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표흐름의 이동거리 및 국부경사에 따른 침식 및 퇴적양상의 분석 결과, 침식은 유역전반에 걸쳐 비교적 균등하게 발생하였으나 퇴적의 경우 짧은 지표흐름 이동거리 및 완만한 경사를 갖는 하천선 인접 격자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격자별 누적 강우량에 따른 침식 및 퇴적 변동성 분석결과,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침식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퇴적은 강우량 증감에 따라 불규칙적인 변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선택된 지형학적 인자들은 퇴적과정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강우량은 유역의 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덕, "산불지역의 WEPP 매개변수 추정" 한국수자원학회 41 (41): 565-574, 2008

      2 이기하,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침식 및 퇴적의 시·공간 변동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3 (43): 995-1009, 2010

      3 유완식,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강우-유사-유출량 산 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2010

      4 예령, "대청댐 유역 토양 침식량 산정을 위한 SWAT 모델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41 (41): 149-162, 2008

      5 국립방재연구소, "개발에 따른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 구 (I)"

      6 Yang, C.T, "Unit stream power and sediment transport" ASCE 98 (98): 1805-1826, 1972

      7 Flanagan, D.C, "USDA-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hillslope profile and watershed model documentation" National Soil Erosion Research Laboratory 1995

      8 Johnson, B.E, "The two dimension-upland erosion model CASC2D-SED" 36 (36): 31-42, 2000

      9 Morgan, R.P.C, "The european soil erosion model (EUROSEM): a dynamic approach for predicting sediment transport from fields and small catchments" 23 : 527-544, 1998

      10 Schmidt, S, "Soil erosion: application of physically-based models" Springer 2000

      1 박상덕, "산불지역의 WEPP 매개변수 추정" 한국수자원학회 41 (41): 565-574, 2008

      2 이기하,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침식 및 퇴적의 시·공간 변동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3 (43): 995-1009, 2010

      3 유완식,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강우-유사-유출량 산 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2010

      4 예령, "대청댐 유역 토양 침식량 산정을 위한 SWAT 모델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41 (41): 149-162, 2008

      5 국립방재연구소, "개발에 따른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 구 (I)"

      6 Yang, C.T, "Unit stream power and sediment transport" ASCE 98 (98): 1805-1826, 1972

      7 Flanagan, D.C, "USDA-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hillslope profile and watershed model documentation" National Soil Erosion Research Laboratory 1995

      8 Johnson, B.E, "The two dimension-upland erosion model CASC2D-SED" 36 (36): 31-42, 2000

      9 Morgan, R.P.C, "The european soil erosion model (EUROSEM): a dynamic approach for predicting sediment transport from fields and small catchments" 23 : 527-544, 1998

      10 Schmidt, S, "Soil erosion: application of physically-based models" Springer 2000

      11 Toy, T.J., "Soil Erosion: processes, prediction, measurement and control" John Wiley and Sons 2002

      12 갈병석, "SWAT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유량 및 부유사량 변 동 분석 연구" 부산대학교 2008

      13 Nash, J. E,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 Part1 - A discussion of principles" 10 (10): 398-409, 1970

      14 Morris, G.L, "Reservoir sedimentation handbook" McGraw-Hill 1997

      15 Renard, K.G, "Predicting soil erosion by water: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with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In USDA Handbook N0. 537"

      16 Wischmeier, W.H,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In USDA Handbook N0. 537. U.S"

      17 De Roo, A.P.J., "LISEM: a single-event physically based hydrological and soil erosion model for drainage basins. II: sensitivity analysis, validation and application" 10 : 1119-1126, 1996

      18 De Roo, A.P.J, "LISEM: a single-event physically based hydrological and soil erosion model for drainage basins. I: Theory, input and output" 10 : 1107-1117, 1996

      19 Woolhiser, D.A, "KINEROS, a kinematic runoff and erosion model: documentation and user manual.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 Strahler, A.N, "Hypsometreic(area-altitude) analysis of erosional topography" 63 (63): 1117-1142, 1952

      21 이근상, "GIS 기반 SWAT 모델을 이용한 동향⋅천천유역의 부유사량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2 (12): 82-98, 2009

      22 Kinnell, P.I.A, "Event erosivity factor and errors in erosion prediction by some empirical models" 41 : 991-1003, 2003

      23 Renschler, C.S, "Designing geo-spatial interfaces to scale process models: The GeoWEPP approach" 17 : 1005-1007, 2003

      24 이기하, "DEM을 이용한 수로망 산정 기법에 따른 유역의 배수구조 평가" 대한토목학회 31 (31): 1-11, 2011

      25 Merritt, W.S., "A review of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models" 18 : 761-799,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