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듀이가 1896 년에 설립한 시카고 대학 부설 실험학교의 4.5 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내용을 고찰하여 유아교육적 의의를 재 조명하고 장차의 유아교육철학의 방향 설정을 위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91650
1986
Korean
051
학술저널
161-186(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듀이가 1896 년에 설립한 시카고 대학 부설 실험학교의 4.5 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내용을 고찰하여 유아교육적 의의를 재 조명하고 장차의 유아교육철학의 방향 설정을 위한 ...
본 연구는 듀이가 1896 년에 설립한 시카고 대학 부설 실험학교의 4.5 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내용을 고찰하여 유아교육적 의의를 재 조명하고 장차의 유아교육철학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마음과 같다.
듀이는 실천적 탐구 과정을 강조하는 실용주의 사상을 기반£로 하여 심리학과 교육원리에 기초를 둔실험주의 교육이론을 형성하여 그 이폰을 검증하는 장소로 실험학교를 선택하였다. 또한 실험학교는 이주 ·도시화 ·산업화 등으로 인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던 미국의 시대상에 부응하기 위하여도 설립되었다. 듀이는 그 당시 천통적인 교육의 최대 컬함이 학습자의 청험과 거리가 먼 것에 있다고 지적하면서, 아동의 성장의 원리에 입각하여 아동이 지식 그 자체 속에 뛰어들 수 있도록 작업활동을 통한 통합적인 정험과 생활을 중시한 아동중심의 학교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실험학교의 목적은 아동의 경험에 기초한 사회 학적 요소와 아동의 현재 요구 및 발달과 관련된 심리학적 요소를 통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는 사회와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이루어야 하며 교재는 아동의 능력과 성장에 부합되도록 ‘심리화’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심리학적 사회학적 기초가 결합하여 실험학교의 교육적 원리가 형성되었던 바, 교육의 시작은 목공· 바느질하기 ·요리하기 둥과 걷은 근본적안 사회적 재료를 다루는데 있어서의 표현행동들과 함께 이루어진다. 각 교과들은 아동의 표현적 활동에 입각하여 동합적인 양상을 띠게 된다. 예를 들면,실험학교에서 과학교육의 주제는 과학적 진보에 판한 것으로서 이것은 인간의 행위를 발전 안에서 파악하려는 역사연구와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험학교 교육과정의 기본적 구조는 작업을 바탕으로 한 ①역사와 사회과 ②과학 ③수학·문학·
예술 등을 포함하는 의사소통과 표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교육과정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 상관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실험학교 교육내용의 특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사회화에 대한 강조이다. 학교는 사회생활의 한 부분으로서 사회의 필요와 진보를 반영해야 한다.
둘째, 아동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 아동이 본래적으로 타고나는 지성을 바탕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아동이 학습하는 교재는 아동의 학습과정과 필요에 맞도록 과학적안 방법으로 심리화 되어야한다.
넷째, 학습활동은 작업화 되어야 한다. 교재와 아동을 자연스럽게 매개하기 위해서 의 ? 식 · 주의 기본이 되는 작업활동을 통해 인류 공통의 창조와 생산의 정험을 공유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러한 특정을 지난 실험학교 교육내용의 유아교육적 의의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강조를 들 수 있다. 실험학교 교육과정에 있어서 과학-역사, 역사-사회’
수학-과학, 문학-사회 등의 교파 간의 통합은 오늘날 유아교육의 과학-언어, 인지-음률 등의 합교육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듀이가 아동의 주변 세계에 대한 사회적 경험을 강조한 것은 미첼 (Mitchell , L. S) 둥에 의해 유아사회교육을 위한 현재상황중심의 교육과정 (Here and Now Curriculum) 에 이론적 배정을 마련하였다.
셋째, 실험학교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시간표는 오늘날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과표의 원칙에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