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법상 여론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적 장치인 시청점유율 산정과 매체간 합산영향력 등의 다양성 지수개발은 다양한 학문분야 전문가들의 세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실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70564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8-117(20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방송법상 여론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적 장치인 시청점유율 산정과 매체간 합산영향력 등의 다양성 지수개발은 다양한 학문분야 전문가들의 세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실적...
방송법상 여론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적 장치인 시청점유율 산정과 매체간 합산영향력 등의 다양성 지수개발은 다양한 학문분야 전문가들의 세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실적합성 측면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실제적으로 어떤 문제점이 있으며, 개선방안은 무엇인지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미디어 다양성 지수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미디어다양성 지수 개발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 방송법 제35조의 4항에 대해 사후적 입법평가 차원에서 세가지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첫째, 제4항에서 명시하고 있는 지수 개발의 시한 문제, 둘째, 제1항에서 명시하고 있는 법 목표 문제, 셋째, 시행령 제21조의5에서 명시하고 있는 미디어다양성위원회 구성 및 운영 등의 문제이다. 따라서 방송법 제35조의 4의 각 조항과 관련 시행령이 갖는 문제점을 고려할 때 관련 조항에 대한 재검토와 개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09,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KCC) added a new clause which regulates the protection of the media diversity to the Broadcasting Act. Specifically, the provision, Article 35-4, contains the creation of the Media Diversity Committee which is ...
In 2009,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KCC) added a new clause which regulates the protection of the media diversity to the Broadcasting Act. Specifically, the provision, Article 35-4, contains the creation of the Media Diversity Committee which is responsible for (1) the measure of TV audience share by media company; and (2) the development of summing up index of the different media influence by the end of 2012.
Although the Korean version of diversity index as German KEK was made after a careful consideration based on the necessity to devise a criterion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level of ownership regulation for the media companies, several issues including the measurement method have been raising the consistent controversy among experts. This study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the media diversity policy by indicating the problems of the devised index and showing the concrete issues of the contention. As the result of the policy delphi-analysis targeted 10 media experts,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rticle 35-4 of Broadcasting Act needs to be amend into the realistic and rational directions in well with the tenets of the law.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영섭, "이용다양성 측정을 통한 미디어 사업자 규제의 법적 한계에 대한 연구" 95-97, 2011
2 김남두, "유럽의 미디어 집중 규제에 대한 사례 및 시사점" KISDI 2011
3 정준희, "영국의 의견 다원성 정책과 미디어 집중 규제 사례, In 미디어 집중도 조사" 한국언론재단 60-129, 2009
4 김영욱, "여론집중도 조사방법과 위원회 운영 방안" 문화체육관광부 2010
5 성욱제, "여론다양성 증진을 위한 매체교환율 조사, 분석 및 글로벌 협력체제 구축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6 김용일, "여론다양성 보장, 매체간 합산 영향력지수 개발"
7 방송통신위원회, "시청점유율 산정 등에 관한 기준 고시"
8 미디어오늘, "방통위, 시청점유율 관련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 마련중. (온라인)"
9 파이낸셜뉴스, "방통위, 미디어다양성위원회 위원 위촉안 의결"
10 프레시안, "방통위 ‘미디어다양성위원회’ 구성…“미션 임파서블?”"
1 심영섭, "이용다양성 측정을 통한 미디어 사업자 규제의 법적 한계에 대한 연구" 95-97, 2011
2 김남두, "유럽의 미디어 집중 규제에 대한 사례 및 시사점" KISDI 2011
3 정준희, "영국의 의견 다원성 정책과 미디어 집중 규제 사례, In 미디어 집중도 조사" 한국언론재단 60-129, 2009
4 김영욱, "여론집중도 조사방법과 위원회 운영 방안" 문화체육관광부 2010
5 성욱제, "여론다양성 증진을 위한 매체교환율 조사, 분석 및 글로벌 협력체제 구축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6 김용일, "여론다양성 보장, 매체간 합산 영향력지수 개발"
7 방송통신위원회, "시청점유율 산정 등에 관한 기준 고시"
8 미디어오늘, "방통위, 시청점유율 관련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 마련중. (온라인)"
9 파이낸셜뉴스, "방통위, 미디어다양성위원회 위원 위촉안 의결"
10 프레시안, "방통위 ‘미디어다양성위원회’ 구성…“미션 임파서블?”"
11 이영주, "방송통신 융합 시대의 신문방송 소유 겸영 규제 정책" 한국방송학회 (66) : 69-99, 2008
12 미디어다양성위원회, "방송의 여론 다양성 보장을 위한 기반 구축" 2010
13 연합뉴스, "방송, 신문, 인터넷 합친 ‘영향력 지수’ 개발"
14 김태오, "미디어법의 주요 쟁점 및 내용. 경제규제와 법" 2 (2): 182-186, 2009
15 조성겸, "미디어다양성위원회의 역할과 과제"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전파진흥원 2009
16 조성호, "미디어다양성위원회의 역할과 과제"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전파진흥원 2009
17 한국언론재단, "미디어 집중도 조사" 한국언론재단 2009
18 유의선, "미디어 다양성 : 정책함의와 접근방법" 한국방송학회 (69) : 42-68, 2009
19 이상우, "미디어 다양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0 정용준, "미디어 공공성과 다양성의 주요쟁점" 4-21, 2009
21 아이뉴스24, "미국이 미디어 다양성 측정에 실패한 이유는?. (온라인)"
22 조영신, "미국 다양성 지수 (Diversity Index)의 등장과 소멸" 한국언론재단 4-8, 2009
23 성욱제, "매체교환율은 매체간영향력 차이 반영위한 것" 81-85, 2010
24 김남두, "매체간 합산영향력 지수모형 비교평가연구" KISDI 2011
25 정인숙, "매체간 합산 영향력 평가(안)에 대한 시론적 논의" 2012
26 김남두, "매체간 합산 영향력 지수 개발 연구-지수의 기본구조 시안을 중심으로" KISDI 2010
27 정두남, "매체 간 합산 영향력 제한을 통한 미디어다원성 보호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79) : 140-168, 2012
28 고민수, "디지털전환특별법의 문제점에 대한 법적 고찰" 2012
29 심영섭, "독일의 여론지배력 규제와 다양성 보호 제도, In 미디어 집중도 조사" 한국언론재단 130-176, 2009
30 심영섭, "독일의 여론지배력 규제 제도와 OECD국가 규제 특징" 한국언론재단 27-45, 2009
31 심영섭, "독일에서의 시청점유율제한을 통한 다양성 보호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51 (51): 117-135, 2010
32 성욱제, "국내 시사정보미디어의 이용점유율을 통한 미디어 이용다양성 측정연구" KISDI 2010
33 성욱제, "국내 미디어 다양성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미디어 다양성에 대한 개념 및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79) : 101-139, 2012
34 Ho, D., "Viewpoint Diversity and Media Consolidation: An Empirical Study. pdf. KEK(The German Commission on Concentration in the Media). Securing Diversity of Opinion against Media Concentarion"
35 "The Mission of KEK"
36 KEK(The German Commission on Concentration in the Media), "On the Way towards Securing Plurality across Different Media"
37 Kim, McCann, "Media Diversity in Public and Commercial Broadcast Television in the US" Graduate College of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2007
38 Marcus, A., "Media Diversity and Substitutability : Problems with the FCC’s Diversity Index"
39 Bruck, P.A., "Media Diversity and Pluralism of Structures in a Time of Increasing Concentration"
40 Dwyer, T., "Dimensions in Media Diversity. in New Media Worlds: Challenges for Converg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41 GB닐슨미디어리서치, "2011년도 시청점유율 조사 결과" 2012
42 방송통신위원회, "2011년도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산정 결과 발표"
43 방송통신위원회, "2011년도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산정 결과" 2012
44 방송통신위원회, "2010년도 시청점유율 조사" 2011
45 방송통신위원회, "2010년도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산정 결과 발표"
지상파채널의 브랜드 확장이 모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 미디어 이용동기가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신문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3 | 1.53 | 1.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3 | 1.53 | 2.109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