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분열증에서의 연성 신경학적 증상과 항정신병 약물 치료의 관련성 = Relationship Between Neurologic Soft Signs and Neuroleptic Treatment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40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연성 신경학적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것은 많은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으나 이것이 항정신병 약물 복용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수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연성 신경학적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것은 많은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으나 이것이 항정신병 약물 복용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수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항정신병 약물 복용군과 비복용군간의 연성 신경학적 증상 발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항정신병 약물을 전혀 복용하지 않은 28명과 현재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 중에 있는 31명의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연성 신경학적 증상을 구조화된 평가척도인 한국어판 신경학적 평가척도로 조사하였고 약물용량과 투여기간 및 부작용과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항정신병 약물 비복용군의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총점은 $27.14{\pm}5.66$점으로 복용군의 $19.58{\pm}6.55$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t=-4.76, P<0.001). 하위 기능영역 중에서도 운동조정(t=-5.52, P<0.001), 복합운동활동 순서화(t=-2.20, P<0.05), 기타 항목(t=-5.14, P<0.001)등의 점수는 비복용군에서 높았다. 감각통합 영역은 약물 복용군과 비복용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약물 용량, 연령, 성별 등을 통제한 후의 조사에서는 총점(F=11.13, P=0.00), 운동조정(F=28.46, P=0.00), 기타 항목(F=10.79, P=0.00)등은 약물 비복용군에서 높았으나 복합운동활동 순서화는 이들 공변량의 영향을 받아 약물 복용군과 비복용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약물 복용군에서 현재의 항정신병 약물 복용량은 신경학적 평가척도 점수 중 운동 조정 영역과만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약물 복용기간, 부작용 등은 연성 신경학적 증상과 상관성이 없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 항정신병 약물은 정신분열증의 신경학적 증상 발현에 상대적인 영향만을 준다고 할 수 있었으며 연성 신경학적 증상이 정신분열증의 주요한 형질 표지자의 하나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또한 향후 보다 통제된 집단에서의 추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ole of neuroleptics may in the development of neurologic soft sign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Neurologic soft signs were evaluated in 28 neuroleptic naiv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r schizophreniform 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ole of neuroleptics may in the development of neurologic soft sign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Neurologic soft signs were evaluated in 28 neuroleptic naiv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r schizophreniform disorder and 31 neuroleptic non-naiv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sing a structured tool for measuring neurologic abnormalities, Neurological Evaluation Scale-Korean version(NES-K). Relationship to dose, duration and neurological side effects of neuroleptic treatment were also evaluated. Total scores of NES-K in neuroleptic naiv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naive group. Scores of motor coordination, sequencing of complex motor acts and others items in functional subcategorie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drug-naive patients. The sensory integration item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fter controlling covariates such ac dose of neuroleptics, age and sex, total scores, motor coordination and others items of NES-K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euroleptic naive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drug naive and non-naive group in the sequencing of complex motor acts item due to effects of these covariates. In neuroleptic non-naive group the dosage of neuroleptics correlated with the motor coordination item, nor were there relationships between duration and side effects of neuroleptic treatment and neurologic soft sig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euroleptic treatment may play a only rela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neurologic soft sign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se abnormalities may be one of possible trait markers of schizophrenia. To elucidate this opinion, well-controlled, prospective study in same subjects will be helpfu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