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경관협정 항목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Landscape Agreement Project for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Preser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6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의 경관관리를 위해 경관협정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 역사문화경관을 보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관협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경관협정의 내용이 포괄적이고 ...

      본 연구는 지역의 경관관리를 위해 경관협정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 역사문화경관을 보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관협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경관협정의 내용이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제점 및 경관유형에 따른 경관관리 방법과 경관협정내용의 일반화가 필요하다는 문제에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역사문화경관 보전 관련 가이드라인 고찰 및 주민자치 및 참여에 의한 경관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국 내외 지역 사례 등을 고찰하여 도출된 항목들을 통해 지역민이 직접 참여하여 스스로 지킬 수 있는 지속적이고 실효성 있는 경관관리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역사문화경관 보존을 위해 지역 주민이 자발적으로 지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관협정 항목으로는 역사문화경관 주변의 조성에 있어 건축물 외형 및 외부공간 등이 역사문화경관을 모티브로 하여 접근성과 상징성이 나타나도록 조성할 것으로 고려해야 하며, 가로환경에서 보행 친화적인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옥외광고물 및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주의를 기울이고, 기존의 역사문화경관과 조화로운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중요도가 낮아 필요시 포함될 수 있는 사항으로 제안할 수 있는 내용은 건축물의 규모를 제한하고, 건축설비시설의 은폐 및 집약화로 노출을 막는 세부 사항과 외부공간의 유지관리, 자연친화적인 재료의 사용 및 야간경관의 네온표지판관리 및 야간조명시간 운영에 대한 사항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전통성이 나타나는 역사문화경관의 경관관리를 위해 지역민이 스스로 추진하여 경관향상 및 지역민의 경관에 대한 의식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a landscape agreement in order to effectively preser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t this point of time when many landscape agreements are being concluded for landscape management, to analyze landscape manage...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a landscape agreement in order to effectively preser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t this point of time when many landscape agreements are being concluded for landscape management, to analyze landscape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problems of comprehensive and widespread landscape agreements and landscape types and to generalize landscape agreement contents. To begin, sustainable and practical landscape management plans that local people can themselves participate and carry out were proposed,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preservation guidelines extrac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about landscape management by citizen autonomy and participation. The guidelines considered what regional residents would follow by themselves, as well as what should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the accessibility and symbolism of a building's appearance and external spaces designed with the motif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The guidelines also pay attention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and facilities in order to maintain a pedestrian-friendly street environment which pursues designs in harmony with the existing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In addition, the recommended guidelines that are considered less important,are restricting the sizes of buildings, encouraging maintenance management of the details and external spaces to hide building facilities and block them from being exposed and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nature-friendly materials, and the management of neon signs in the landscapes and lighting time during the nigh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local residents need to improve the landscapes and change their consciousness by themselves to mainta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with a sense of tradi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대, "일본의 경관협정을 통한 마을 만들기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9 (9): 71-81, 2009

      2 신병흔, "일본의 경관협정에 의한 경관관리 수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0 (10): 33-48, 2009

      3 조홍정, "역사문화지구 건축경관 개선을 위한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7 (7): 25-34, 2005

      4 박찬용, "산운마을의 역사문화경관복원및 정비" 한국전통조경학회 21 (21): 47-61, 2003

      5 박민정, "노후주거지 개선방안으로서 경관협정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경관협정 시범사업 광진구 중곡4동 용마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6 (26): 183-192, 2010

      6 조용기, "古都의 역사적경관 보존정비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국관광학회 30 (30): 151-170, 2006

      7 Lee, Y. K., "The preservation of value in historical culture area and the plan about the sigt-view for activating culture-ecology tour of 21st" 2 : 197-206, 1998

      8 Lee, J. H., "The enactment of the landscape act and landscape policies in Japan,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17-29, 2005

      9 Song, J. A., "Study on the Legislation of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of Ancient C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2004

      10 Ministry of Land, "Study of Promot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Strategies and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Agreement" 2008

      1 이병대, "일본의 경관협정을 통한 마을 만들기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9 (9): 71-81, 2009

      2 신병흔, "일본의 경관협정에 의한 경관관리 수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0 (10): 33-48, 2009

      3 조홍정, "역사문화지구 건축경관 개선을 위한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7 (7): 25-34, 2005

      4 박찬용, "산운마을의 역사문화경관복원및 정비" 한국전통조경학회 21 (21): 47-61, 2003

      5 박민정, "노후주거지 개선방안으로서 경관협정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경관협정 시범사업 광진구 중곡4동 용마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6 (26): 183-192, 2010

      6 조용기, "古都의 역사적경관 보존정비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국관광학회 30 (30): 151-170, 2006

      7 Lee, Y. K., "The preservation of value in historical culture area and the plan about the sigt-view for activating culture-ecology tour of 21st" 2 : 197-206, 1998

      8 Lee, J. H., "The enactment of the landscape act and landscape policies in Japan,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17-29, 2005

      9 Song, J. A., "Study on the Legislation of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of Ancient C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2004

      10 Ministry of Land, "Study of Promot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Strategies and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Agreement" 2008

      11 Seoul-Si, "Master Plan Report in Seoul Landscape Agreement"

      12 Cho, S. T.,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of Kanazawa, Japan" 7 (7): 33-52, 2007

      13 Kim, Y. S., "Legal issu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5 : 17-43, 2005

      14 Kim, J. H., "Governance Case Analysis in Implementation of Landscape Agreement Project: Case of Gwangjin-gu and Gangbuk-gu" Seoul City University 2010

      15 Chung-buk Development Institute, "Contents and Operation System of Landscape Agreement"

      16 An, D. M., "Conservation measures of historic ruins and urban development" 31 : 56-64, 1996

      17 Jung, S. T.,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gulations for landscape managements of historic dities in Korea and Japan" 28 (28): 105-116, 2000

      18 Lee, K. R., "A Study on the Role of the Urbanscape Review Commitee and the Citizen Participation: A Case of Uiwang City" Hong-ik University 2009

      19 Lee, S. Y., "A Study on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of Local Culture: Case Study of Insadong i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20 Jang, M. Y.,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s by the Collaboration of Heritage Preservation and Urban Planning : Focused on the Approved Cities on Historic Machizukuri Plan in Japan"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ity 2011

      21 Kim, M. S.,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System of Landscape Agreement Projects" Seoul City University 2010

      22 Byun, Y. S., "A Study for Utilization Plan of Ik-Doo Min's House at Insa-Dong in the Place - Marketing Way - Design Plan for Traditional Tea and Sound Gallery Applied in the Exterior Space Concept of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2006

      23 Ansan-Si, "2020 Landscape Master Plan of Ansa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