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지리학계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에 대한 고찰 = A Research on the Scale of Regions in Korean Geographers` Academic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416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리학 연구의 핵심은 지역(region)에 대한 연구인데, 지역은 스케일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을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대체적으로 볼 때, 대한지리학회지 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큰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는 대한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작은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다. 그리고 두 학회지의 논문 분석을 통하여, 읍·면 스케일(①)과 시·군 스케일(②)을 합친 비율이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그와 반대로 시·도 스케일(③), 시·도보다 큰 스케일(④), 국가 스케일(⑤)을 합친 비율은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바람직한 지역스케일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한국 지리학계의 발전을 위해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지리학 연구의 핵심은 지역(region)에 대한 연구인데, 지역은 스케일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을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에 지난 20...

      지리학 연구의 핵심은 지역(region)에 대한 연구인데, 지역은 스케일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을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대체적으로 볼 때, 대한지리학회지 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큰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는 대한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작은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다. 그리고 두 학회지의 논문 분석을 통하여, 읍·면 스케일(①)과 시·군 스케일(②)을 합친 비율이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그와 반대로 시·도 스케일(③), 시·도보다 큰 스케일(④), 국가 스케일(⑤)을 합친 비율은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바람직한 지역스케일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한국 지리학계의 발전을 위해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cale of region that has been cove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대한지리학회지)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over the last 20 years. Generally speaking, it was found that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has published a relatively more number of articles with larger scale of region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has published more articles with smaller scale of region than the counterpart journal. Also,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utilizing both town/village scale(읍·면 스케일) and city/county scale(시·군 스케일) has increased continuously with marginal fluc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combining single metropolis/ province scale(시·도 스케일), multiple metropolis/province scale(시·도보다 큰 스케일), and state scale(국가 스케일) has decreased continuously in general. In sum,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useful data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the Korean geographe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cale of region that has been cove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대한지리학회지)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o...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cale of region that has been cove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대한지리학회지)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over the last 20 years. Generally speaking, it was found that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has published a relatively more number of articles with larger scale of region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has published more articles with smaller scale of region than the counterpart journal. Also,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utilizing both town/village scale(읍·면 스케일) and city/county scale(시·군 스케일) has increased continuously with marginal fluc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combining single metropolis/ province scale(시·도 스케일), multiple metropolis/province scale(시·도보다 큰 스케일), and state scale(국가 스케일) has decreased continuously in general. In sum,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useful data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the Korean geograp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 "현대인문지리학" 법문사 1988

      2 이전, "해외지역연구의 방법과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 10 (10): 223-234, 2004

      3 이전, "한국의 지역연구:현황과 과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389-401, 1998

      4 이전, "한국 지리학계의 세계지리 연구 동향에 관하여" 대한지리학회 46 (46): 465-480, 2011

      5 이정향, "한국 이주 노동자의 ‘사이버 공동체’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324-339, 2013

      6 임병조, "포스트모던 시대에 적합한 지역 개념의 모색: 동일성(identity) 개념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2 (42): 582-600, 2007

      7 한주성, "평택·당진항의 화물유동에 의한 항세권의 계층성" 대한지리학회 46 (46): 751-766, 2011

      8 윤옥경, "지역화 교과서 분석을 통한 지역학습 내용 구성 방안: [사회과 탐구: 서울의 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3 (13): 220-233, 2007

      9 권정화, "지역지리 교육의 내용 구성과 학습 이론의 조응" 32 (32): 511-520, 1997

      10 이영민, "지역정체성 연구와 지역신문의 활용" 5 (5): 1-14, 1999

      1 김인, "현대인문지리학" 법문사 1988

      2 이전, "해외지역연구의 방법과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 10 (10): 223-234, 2004

      3 이전, "한국의 지역연구:현황과 과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389-401, 1998

      4 이전, "한국 지리학계의 세계지리 연구 동향에 관하여" 대한지리학회 46 (46): 465-480, 2011

      5 이정향, "한국 이주 노동자의 ‘사이버 공동체’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324-339, 2013

      6 임병조, "포스트모던 시대에 적합한 지역 개념의 모색: 동일성(identity) 개념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2 (42): 582-600, 2007

      7 한주성, "평택·당진항의 화물유동에 의한 항세권의 계층성" 대한지리학회 46 (46): 751-766, 2011

      8 윤옥경, "지역화 교과서 분석을 통한 지역학습 내용 구성 방안: [사회과 탐구: 서울의 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3 (13): 220-233, 2007

      9 권정화, "지역지리 교육의 내용 구성과 학습 이론의 조응" 32 (32): 511-520, 1997

      10 이영민, "지역정체성 연구와 지역신문의 활용" 5 (5): 1-14, 1999

      11 송언근, "지역 중심의 주제를 통한 통합 지리교육의 구성 원리" 36 (36): 141-160, 2001

      12 이희연, "지리학에서의 지역연구 방법론의 학문적 동향과 발전방향 모색" 33 (33): 557-574, 1998

      13 장의선,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의미와 실제" 대한지리학회 37 (37): 247-261, 2002

      14 이윤영, "인터넷 쇼핑몰의 유통체계와 상품판매의 공간적 특성:오프라인을 기반으로한 업체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0 (10): 158-176, 2004

      15 이희상, "온라인/오프라인 공간의 교차와 도시의 재매개 -지역 교육 연수를 사례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362-374, 2013

      16 옥한석, "세계화시대의 세계지리 읽기" 한울 2009

      17 이경한, "국제이해교육의 매개체로서 지리교과서의 서술구조 및 내용 분석 -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의 『지역마다 다른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97-307, 2010

      18 박신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 및 주체성의 사회적 위치성에 따른 변화-구미 지역의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4 (14): 40-53, 2008

      19 이철우, "경북문화콘텐츠지원센터 설립계획의 평가와 정책대안" 한국지역지리학회 14 (14): 536-552, 2008

      20 이전, "거창군 중등교육세력권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 12 (12): 656-670, 2006

      21 윤옥경, "地域에 대한 學習內容構成에 관한 硏究" 대한지리학회 39 (39): 153-168, 2004

      22 Jordan-Bychkov, "The Human Mosaic:A Thematic Introduction to Cultural Geography" Harper & Row 2003

      23 Haggett, Peter, "Geography: a Modern Synthesis" Harper & Row Publishers 1975

      24 Johnston, Ron J., "Geography and Geographers" Hodder Education 2011

      25 Hartshorne, Richard,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ume XXIX, Number 3 and 4" 193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0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