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8년(1994-2001) 동안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 감염 환자의 임상상 및 사망 위험요인 분석 =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Death among Patients with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during 8 Years (1994-2001) in a University Hospit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38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은 중요한 원내 감염균으로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여 치료에 어려움이 있고, vancomycin에 대한 내성 조절 유전자가 Staphylococcus aureus로 전달됨이 임상적으로 보고된 바 있어서 큰 우려가 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임상양상 및 사망에 기여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개 대학에서 8년간 VRE 감염 환자의 임상상 및 사망위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VRE에 대한 역학 및 임상상을 파악하여 병원내 전파를 막아 병원 감염 관리에 유용하게 이용하려 한다.
      방법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1994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입원한 환자 중에서 VRE가 분리된 환자 6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VRE 감염 환자의 임상상 및 사망에 기여하는 위험 요인을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VRE의 발생빈도는 1996년 0.99%에서 2001년 7.8%로 점차 증가되었고, 분리주의 반코마이신 내성 표현형은 VanA 40예(59.7%), VanB 23예(34.3%), VanC 3예(6%)였고, 균종분포는 E. faecium이 57주(85.1%), E. faecalis가 7주(10.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사망에 기여하는 위험요인의 단변량 분석에서 신기능 저하, 중심 정맥관 삽입, 기관 절개가 위험요인이였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신기능 저하만이 사망에 기여하는 위험요인이었다.
      결론 :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이중 VanA의 표현형과 E. faecium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중환자실에서 장기간 입원한 환자와 신기능 저하와 같은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VRE 발생이 많았다. 따라서, VRE가 분리된 환자의 주의 깊은 격리 및 감염 관리, 그리고 특히 vancomycin과 같은 glycopeptide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목적 :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은 중요한 원내 감염균으로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여 치료에 어려움이 있고, vancomycin에 대한 내성 조절 유전자가 Staphylococcus aureus로 전달됨이 임상...

      목적 :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은 중요한 원내 감염균으로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여 치료에 어려움이 있고, vancomycin에 대한 내성 조절 유전자가 Staphylococcus aureus로 전달됨이 임상적으로 보고된 바 있어서 큰 우려가 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임상양상 및 사망에 기여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개 대학에서 8년간 VRE 감염 환자의 임상상 및 사망위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VRE에 대한 역학 및 임상상을 파악하여 병원내 전파를 막아 병원 감염 관리에 유용하게 이용하려 한다.
      방법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1994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입원한 환자 중에서 VRE가 분리된 환자 6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VRE 감염 환자의 임상상 및 사망에 기여하는 위험 요인을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VRE의 발생빈도는 1996년 0.99%에서 2001년 7.8%로 점차 증가되었고, 분리주의 반코마이신 내성 표현형은 VanA 40예(59.7%), VanB 23예(34.3%), VanC 3예(6%)였고, 균종분포는 E. faecium이 57주(85.1%), E. faecalis가 7주(10.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사망에 기여하는 위험요인의 단변량 분석에서 신기능 저하, 중심 정맥관 삽입, 기관 절개가 위험요인이였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신기능 저하만이 사망에 기여하는 위험요인이었다.
      결론 :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이중 VanA의 표현형과 E. faecium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중환자실에서 장기간 입원한 환자와 신기능 저하와 같은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VRE 발생이 많았다. 따라서, VRE가 분리된 환자의 주의 깊은 격리 및 감염 관리, 그리고 특히 vancomycin과 같은 glycopeptide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infection is an emerging nosocomial problem. VRE usually multidrug-resistant, poses therapeutic dilemmas. The gene that encodes the resistance against vancomycin may spread the resistance to Staphylococcus aureus. However, there are no well-organized studies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mortality in Korea. Herein,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mortality risks of patients with VRE infection during 8 years (1994-2001) in a university hospital. Understanding of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VRE would help develop control strategy of VRE outbreak in a hospital.
      Method : Sixty seven cases that had the VRE infection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January 1, 1994 to December 12, 2001, were reviewed. We analyzed the risk factors of VRE infection and death by using univariable and multivariable statistic analyses.
      Results : VRE infections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 Most of VRE infections were caused by Enterococcus faecium (85.1%) and Enterococcus faecalis (10.4%). Among 67 cases, 40 cases (59.7%) expressed VanA phenotype, 23 cases (34.3%) expressed VanB phenotype, and 3 cases expressed VanC phenotype (6%). The risk factors for death were renal dysfunction,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ion, and tracheostomy by using univariable analysis. The risk factor for death was renal dysfunction by using multivariable analysis.
      Conclusion : VRE has been increasing during the late 1990s in Korea. The VRE infection occurs especially in the patients who have renal dysfunction, long-term hospitalization, and ICU care. The implementation of careful isolation, infection control measures, prudent use of antibiotics, especially vancomycin, and periodic screening of patients populations are required to control VRE infection.
      번역하기

      Background :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infection is an emerging nosocomial problem. VRE usually multidrug-resistant, poses therapeutic dilemmas. The gene that encodes the resistance against vancomycin may spread the resistance to Staphylo...

      Background :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infection is an emerging nosocomial problem. VRE usually multidrug-resistant, poses therapeutic dilemmas. The gene that encodes the resistance against vancomycin may spread the resistance to Staphylococcus aureus. However, there are no well-organized studies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mortality in Korea. Herein,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mortality risks of patients with VRE infection during 8 years (1994-2001) in a university hospital. Understanding of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VRE would help develop control strategy of VRE outbreak in a hospital.
      Method : Sixty seven cases that had the VRE infection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January 1, 1994 to December 12, 2001, were reviewed. We analyzed the risk factors of VRE infection and death by using univariable and multivariable statistic analyses.
      Results : VRE infections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 Most of VRE infections were caused by Enterococcus faecium (85.1%) and Enterococcus faecalis (10.4%). Among 67 cases, 40 cases (59.7%) expressed VanA phenotype, 23 cases (34.3%) expressed VanB phenotype, and 3 cases expressed VanC phenotype (6%). The risk factors for death were renal dysfunction,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ion, and tracheostomy by using univariable analysis. The risk factor for death was renal dysfunction by using multivariable analysis.
      Conclusion : VRE has been increasing during the late 1990s in Korea. The VRE infection occurs especially in the patients who have renal dysfunction, long-term hospitalization, and ICU care. The implementation of careful isolation, infection control measures, prudent use of antibiotics, especially vancomycin, and periodic screening of patients populations are required to control VRE infec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