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연구개발특구 관련 국내 주요 정책과 연구경향의 비교분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 Domestic Policies and Research Trends on R&D Special Zones in Korea: Based on Topic Mod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6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74년 대덕연구단지 출범 이후 연구개발특구는 이제 그 역사가 반세기를 지나고 있다. 그동안 국가연구개발은 모방 중심의 추격자(Fast Follower)에서 선도자(First Mover)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을 끊임없이 요구받고 있으며,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지역주도의 기술혁신체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창업과 신기술의 테스트베드로서 산학연 클러스터인 연구개발특구의 역할과 중요성은 높다고 할 것이다. 연구개발특구를 둘러싼 복잡한 정책환경 속에서는 증거기반 정책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학문의 영역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검색을 통해 연구개발특구와 관련된 98건의 국내 연구를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연구개발특구가 학문적으로 고찰된 연구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연구개발특구의 주요정책인「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1차~4차)」과 비교하였다. 나아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실무적 영역의 관심도를 도출하고 이를 정책, 연구경향과 비교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시작이라 볼 수 있는 연구개발특구는 단순히 과학기술 연구개발, 실증사업의 물리적 공간에서 나아가 과학기술정책의 구심점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1974년 대덕연구단지 출범 이후 연구개발특구는 이제 그 역사가 반세기를 지나고 있다. 그동안 국가연구개발은 모방 중심의 추격자(Fast Follower)에서 선도자(First Mover)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을 ...

      1974년 대덕연구단지 출범 이후 연구개발특구는 이제 그 역사가 반세기를 지나고 있다. 그동안 국가연구개발은 모방 중심의 추격자(Fast Follower)에서 선도자(First Mover)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을 끊임없이 요구받고 있으며,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지역주도의 기술혁신체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창업과 신기술의 테스트베드로서 산학연 클러스터인 연구개발특구의 역할과 중요성은 높다고 할 것이다. 연구개발특구를 둘러싼 복잡한 정책환경 속에서는 증거기반 정책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학문의 영역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검색을 통해 연구개발특구와 관련된 98건의 국내 연구를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연구개발특구가 학문적으로 고찰된 연구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연구개발특구의 주요정책인「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1차~4차)」과 비교하였다. 나아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실무적 영역의 관심도를 도출하고 이를 정책, 연구경향과 비교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시작이라 볼 수 있는 연구개발특구는 단순히 과학기술 연구개발, 실증사업의 물리적 공간에서 나아가 과학기술정책의 구심점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영진, "행정학 연구경향의 분석과 과제:「한국사회와 행정연구」(1990-2012) 게재논문의 총괄분석" 서울행정학회 24 (24): 1-29, 2013

      2 최영출 ; 박수정,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5 (45): 123-139, 2011

      3 백시온, "한국어 토픽모델링을 위한 단어 임베딩 활용 가능성 탐색" 서울대학교 2019

      4 주상현, "한국 행정학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7년(1995-2001)간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39-55, 2002

      5 이병렬 ; 박기관, "한국 지방자치학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기고논문(1989-2001)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14 (14): 23-42, 2002

      6 이우권, "한국 인사행정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239-256, 2010

      7 이수아 ; 김태윤, "한국 규제연구의 경향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자의 경향성을 포함하여-" 한국규제학회 22 (22): 67-120, 2013

      8 손승혜, "학술 논문의 메타분석을 통해본 한류 10년 : 연구 경향과 그 정책적 함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7 (17): 122-153, 2009

      9 박자현 ; 송민,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7-32, 2013

      10 장선영 ; 정승현,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도시 분야 연구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661-670, 2021

      1 윤영진, "행정학 연구경향의 분석과 과제:「한국사회와 행정연구」(1990-2012) 게재논문의 총괄분석" 서울행정학회 24 (24): 1-29, 2013

      2 최영출 ; 박수정,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5 (45): 123-139, 2011

      3 백시온, "한국어 토픽모델링을 위한 단어 임베딩 활용 가능성 탐색" 서울대학교 2019

      4 주상현, "한국 행정학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7년(1995-2001)간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39-55, 2002

      5 이병렬 ; 박기관, "한국 지방자치학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기고논문(1989-2001)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14 (14): 23-42, 2002

      6 이우권, "한국 인사행정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239-256, 2010

      7 이수아 ; 김태윤, "한국 규제연구의 경향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자의 경향성을 포함하여-" 한국규제학회 22 (22): 67-120, 2013

      8 손승혜, "학술 논문의 메타분석을 통해본 한류 10년 : 연구 경향과 그 정책적 함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7 (17): 122-153, 2009

      9 박자현 ; 송민,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7-32, 2013

      10 장선영 ; 정승현,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도시 분야 연구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661-670, 2021

      11 김연후 ; 김하연, "토픽 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도덕적 인공지능 연구 경향 분석" 한국도덕교육학회 33 (33): 115-141, 2021

      12 이지선 ; 조자영,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일⋅가정양립정책의 연구 경향 분석" 사회복지연구소 73 : 183-203, 2022

      13 박경렬 ; 안희자,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DMZ관광 이슈의 토픽 모델링 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1 (31): 143-159, 2019

      14 박상언 ; 이병량 ; 정민경,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의 정부 활동 주체에 관한 연구 경향 분석" 정부학연구소 25 (25): 159-190, 2019

      15 하미승 ; 이진만 ; 공주 ; 이병진,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NA)을 활용한 한국인사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인사행정학회 14 (14): 185-215, 2015

      16 이삼열, "정보기술과 공공조직 특성에 관한 연구 분석: 실증분석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14 (14): 19-40, 2007

      17 문광민, "재무행정 연구의 경향과 과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의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4 (24): 103-123, 2013

      18 남춘호, "일기자료 연구에서 토픽모델링 기법의 활용가능성 검토" 비교문화연구소 22 (22): 89-135, 2016

      19 임학순, "우리나라 문화정책 연구 경향 분석(1998~2007)"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1) : 25-48, 2009

      20 원민재 ; 김동희 ; 정해민 ; 이상근 ; 홍준석 ; 김우주, "온톨로지 기반 법령 검색시스템의 개발: 철도 ․ 교통 분야 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20 (20): 209-225, 2015

      21 김학실, "여성정책변동과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6 (46): 241-264, 2012

      22 유예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분석" 서울대학교 2017

      23 박정원 ; 유광민, "대통령 연설문을 통한 규제개혁 정책 경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모델링의 활용" 한국정책학회 29 (29): 87-118, 2020

      24 이현출 ; 장재호 ; 김경태, "국회 회의록 토픽분석을 통한 상임위원회 갈등구조 분석: 제20대 국회 전반기 보건복지위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9 (19): 131-167, 2020

      25 최성욱, "거버넌스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한국행정학계의 거버넌스 연구경향 분석" 정부학연구소 10 (10): 239-261, 2004

      26 박순만 ; 이호진 ; 정은상 ; 유승동 ; 남영우 ; 지규현, "『주택연구』의 30년간 연구경향: 텍스트 마이닝 접근법" 한국주택학회 30 (30): 179-201, 2022

      27 김상구, "‘지방정부’에 관한 연구경향과 전망:<지방정부연구>에 개제된 논문(1997~2003)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11 (11): 291-317, 2005

      28 최진 ; 장윤선,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분석을 통해 본 한국교육사상학회 30년간 발표논문 동향과 시사점" 한국교육사상학회 36 (36): 184-205, 2022

      29 Johnston, B., "Applied Unsupervised Learning with Python: Discover hidden patterns and relationships in unstructured data with Python" Packt Publishing Ltd 528-,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