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방정환 어린이 운동이 윤동주 삶과 문학에 끼친 영향 = The Effect of the Children’s Movement of Bang Jung-Hwan on Yoon Dong-ju’s Life and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01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윤동주 문학답사를 하다가 사진 한 장을 보았다. 1928년 8월 7일 북간도 명동촌 이북인 선바위 정상에서 찍은 사진이다. <명동기독소년회> 창립 1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찍은 사진이다. ...

      윤동주 문학답사를 하다가 사진 한 장을 보았다. 1928년 8월 7일 북간도 명동촌 이북인 선바위 정상에서 찍은 사진이다. <명동기독소년회> 창립 1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찍은 사진이다. 윤동주가 방정환 어린이 운동 영향을 이렇게 받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방정환(1899.11.9.∼1931.7.23.)은 어린이 운동을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동시 진행하였다.
      첫째가 소년회 조직과 지원이었다. 소년회는 종교단체에서 만든 것과 사회단체에서 만든 것과 지역사회에서 만든 것이 있었다. 천도교소년회, 기독교소년회, 불교소년회는 종교단체에서 만든 것이다. 두 번째가 소년회 회원들을 공부시키기 위한 교재 만들기 운동이었다. 방정환은 『어린이』를 만들어 소년회 회원들에게 ‘좋은 정신’을 기를 수 있는 교육 교재로 활용하였다. 세 번째가 이런 두 가지 일을 할 수 있는 어린이 운동가를 찾아내고 키워내고 조직하는 일이었다.
      윤동주가 어릴 때 이러한 소년회 활동을 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그 영향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명동학교는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북간도로 이주한 주민들이 만든 학교였다. 신학문을 가르칠 교사로 서울에서 모셔온 분이 독립운동 단체인 신민회 교육단 실무 담당자였던 정재면이었다. <신민회>는 안창호를 지도자로 이동휘, 양기탁, 김구, 이준, 전덕기를 비롯한 기독교인들이 중심이 되어 상동교회에서 만든 독립운동 단체였다. 따라서 서울에서 일어난 소년회 운동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명동촌과 명동학교와 윤동주에 관해 구술하거나 기록한 사람들이 많았는데도 소년회 활동에 대한 기록은 없었다. 이 사진이 남아 있기 때문에 소년회 활동을 활발하게 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게 되었으니 참으로 기적같은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명동학교 4학년 때 동주는 벌써 서울에서 나오는 소년소녀들을 위한 월간잡지를 구독했다. 한 집에서 태어난 송몽규는 『어린이』, 윤동주는 『아이생활』을 구독했고, 둘이다 읽은 잡지를 동리 아이들이 받아서 읽었다. 5학년이 되면서 동주와 몽규가 『새명동』이라는 잡지를 만들었다. 소년회에서 직접 잡지를 만드는 활동은 방정환이 어린이 운동을 펼치면서 적극 권장했던 활동이다.
      방정환은 ‘어린이는 모두 시인이다’라면서 소년회 회원들에게 시 쓰기를 적극 권유하였고, 그러한 권유로 동시작가로 등단해서 활동한 사람들이 많다. 윤동주도 동시를 꾸준히 쓰면서 시인의 꿈을 키웠고, 당시 명동에서 발행되던 『가톨릭소년』을 무대로 「병아리」(1936.11.)를 발표하고, 「빗자루」(1936.12.), 「오줌싸개 지도」(1937.1.), 「무얼 먹구 사나」(1937.3.), 「거짓부리」(1937.10.) 등을 집중적으로 발표하며 동시 작가로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방정환 어린이 운동 핵심인 소년회 활동을 했던 사람들이 얼마나 되고,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다. 앞으로 이렇게 작은 흔적들을 찾아서 모으다 보면 더 많은 영향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 독자들도 혹시 그런 흔적을 발견하면 알려주기 바란다. 방정환 어린이 운동이 우리 겨레 역사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한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서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saw a picture of Yun Dong-Ju while I was doing a literary survey. The picture was taken on a mountain in Myeong-dong Village, Bukgan-do, on August 7, 1928. The photo marks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the “Myeongdong Christian Boys...

      I saw a picture of Yun Dong-Ju while I was doing a literary survey. The picture was taken on a mountain in Myeong-dong Village, Bukgan-do, on August 7, 1928. The photo marks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the “Myeongdong Christian Boys’ Association”. I thought Yun Dong-Ju was influenced by the Bang Jung-Hwan Children’s Movement.
      Bang Jung-Hwan developed three child movements. First, organization of Children society, Second, the making of the textbook for Children, finally, the fostering of the chilndren’s leader. Yun Dong-Ju was a boy band member when he was young. The scene where Yun Dong-ju was found in the group shot of the “Myeongdong Christian Boys’ Association.” Yun Dong-Ju made a magazine called ‘New Myeongdong’(새명동) in Myeong-dong, published a poem in “Catholic Boy”(가톨릭소년) and published a work in “Boy”(소년), which was also made by Yun Seok-Joong.
      Yun Dong-Ju’s boyhood activities are similar to those led by Bang Jung-Hwan. The core of the Bang Jung-Hwan Children’s Movement was the organization of the Juvenile Society and the voluntary activities of the boys.
      From now on, we should look for small traces of juvenile activities. We need to continue to investigate how the Bang Jung-Hwan children’s movement influenced our history and how it affected one pers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