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캠퍼스는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된 하나의 소도시이자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하며 많은 학생들이 향후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실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다. 또 교육시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58188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77-586(1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캠퍼스는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된 하나의 소도시이자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하며 많은 학생들이 향후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실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다. 또 교육시설...
대학캠퍼스는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된 하나의 소도시이자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하며 많은 학생들이 향후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실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다. 또 교육시설은 교육이 행해지는 물리적인 공간과 사용자가 동시에 접할 수 있는 건물의 형태라는 점에서 특히 그린캠퍼스는 중요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그린캠퍼스의 정책과 평가기준, 미국의 AASHE의 정책과 국제기구인 UNEP, ISCN-GULF의 그린캠퍼스 평가기준과 항목들을 비교분석하여 한국대학의 그린캠퍼스 조성의 활성화와 그린캠퍼스 인증 시행에 대비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그린캠퍼스 평가기준에서 개별 건축물의 경우 현재는 G-SEED에 의존한다. 하지만 인증의 시행을 위해 전체 건축물 총 연면적 대비 G-SEED인증 건축물 연면적의 비율로 평가항목을 마련하여 차등점수를 부여하여야한다. 둘째, 한국의 그린캠퍼스 평가기준은 캠퍼스별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전체 평가항목의 수를 늘려서 평가항목과 점수를 신청 캠퍼스의 특성에 부합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STARS의 비교에도 나타나듯이 한국은 다른 친환경 건축물 인증과의 차별화를 위해 그린캠퍼스의 교육부문 평가영역에서 대학의 지속가능한 교육과정개발의 피드백이나 결과물의 관리와 이에 대한 명확한 보상을 보장하는 평가항목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sustainability is mandatory in every field. University campuses are educational facilities that consume considerable amounts of energy. Therefore, many universities have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e last opportunity to prepare students wit...
In Korea, sustainability is mandatory in every field. University campuses are educational facilities that consume considerable amounts of energy. Therefore, many universities have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e last opportunity to prepare students with sustainability and leadership. This study compared the green campus policy and evaluation criteria among Korea, US AASHE, UNEP, and ISCN-GULF to vitalize the green campus movement and suggest recent research data for the Korea green campus accredit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ew evaluation criteria need to be added to the certified green building total floor area ratio instead of adapting the G-SEED system in the Campus Resource & Environments category; 2. Korean Green Campus Evaluations need to be improved when expressing the campus individuality by choosing an increased number of credits and criteria; and 3. new evaluation criteria are required to secure the result, feedback, and products from curriculum updates in the Campus Education catego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영, "한국ㆍ일본 그린캠퍼스 법제도 및 추진사례 비교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7 (17): 39-48, 2016
2 윤용권, "지속 가능한 그린 캠퍼스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20 (20): 19-26, 2013
3 조기찬, "그린캠퍼스의 구성요소에 대한 대학별 비교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91-102, 2011
4 신은영, "그린캠퍼스를 위한 국내·외 대학시설관리(FM) 비교분석 -에너지관리 중심-" 한국교육시설학회 19 (19): 45-53, 2012
5 나태준, "그린캠퍼스 조성사업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국정관리학회 22 (22): 91-112, 2012
6 김동현, "그린캠퍼스 운영체계에 대한 사례연구 -미국 그린캠퍼스 지원기관 및 하버드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 20 (20): 11-22, 2013
7 "www.kagci.org"
8 "www.international-sustainable-campus-network.org"
9 "www.gihoo.or.kr/greencampus/main/index.do"
10 "www.endowmentinstitute.org"
1 김태영, "한국ㆍ일본 그린캠퍼스 법제도 및 추진사례 비교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7 (17): 39-48, 2016
2 윤용권, "지속 가능한 그린 캠퍼스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20 (20): 19-26, 2013
3 조기찬, "그린캠퍼스의 구성요소에 대한 대학별 비교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91-102, 2011
4 신은영, "그린캠퍼스를 위한 국내·외 대학시설관리(FM) 비교분석 -에너지관리 중심-" 한국교육시설학회 19 (19): 45-53, 2012
5 나태준, "그린캠퍼스 조성사업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국정관리학회 22 (22): 91-112, 2012
6 김동현, "그린캠퍼스 운영체계에 대한 사례연구 -미국 그린캠퍼스 지원기관 및 하버드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 20 (20): 11-22, 2013
7 "www.kagci.org"
8 "www.international-sustainable-campus-network.org"
9 "www.gihoo.or.kr/greencampus/main/index.do"
10 "www.endowmentinstitute.org"
11 "www.aashe.org/about-us/aashe-history/"
12 "www.aashe.org"
13 "https://www.international-sustainable-campus-network.org/awards"
14 "http://gupes.org/"
15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LEED Implementation Guide" 2013
16 AASHE, "Sustainable Campus Index 2016 Top Performers & Highlights" 2016
17 "Sustainable Campus Index 2016 Top Performers & Highlights"
18 M. S. Lim,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Green Campu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ypes of Universities" Daegu Haany University 2015
19 USGBC, "Roadmap to a Green Campus"
20 GUPES, "Quarterly Newsletter no.13, April-June 2016"
21 GUPES, "Quarterly Newsletter No.13"
22 USGBC, "LEED Campus Guidance"
23 USGBC, "LEED Campus Guidance" 2014
24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Korea Energy Agency, 2016' Statistics of Energy Use"
25 ISCN, "Implementation Guidelines to the ISCN-GULF Sustainable Campus Charter" 2016
26 ISCN, "Implementation Guidelines to the ISCN-GULF Sustainable Campus Charter" 3-, 2016
27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Greening Universities Toolkit v2.0" 2014
28 Ministry of Environment, "Green Leader's Dream for Future, Green Campus Guideline" 5-, 2017
29 Ministry of Environment, "Green Leader's Dream for Future, Green Campus Guideline" 3-4, 2017
30 Ministry of Environment, "Green Leader's Dream for Future, Green Campus Guideline" 3-, 2017
31 Ministry of Environment, "Green Leader's Dream for Future, Green Campus Guideline"
32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Dept. of Climate Change Action, "Green Campus Credit Criteria & Guideline"
33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Dept. of Climate Change Action, "Green Campus Credit Criteria & Guideline"
34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ampus Green House Gas Inventory Guideline, ver. 2.0"
35 www.aashe.org, "Annual Report" 14-, 2016
36 전완, "Analysis of Green Campus Initiatives Led by Voluntary Participants of University Students"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7 (17): 21-32, 2017
37 C. W. Kim, "A Study on Comparison of Ranking System for Green Campus Evaluation" Korea University 2010
38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6' Statistics of Energy Use"
39 AASHE, "2016 Annual Report" 05-, 2016
40 AASHE, "2016 Annual Report" 2016
실과교과 농업 생명 기술 영역에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 방안 탐색
국산 식품에서 이눌린타입과 레반타입 플럭탄 정량분석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7-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8-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2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