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과교과 농업 생명 기술 영역에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 방안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581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실과교과의 농업 생명 기술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은 실과 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실과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에 기초한 농업 생명 기술 교육의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내용을 성취하기 위하여 ‘P 학교’를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과교과에서의 농업 생명 기술 영역에서 지속가능성은 친환경 미래 농업의 개념뿐만 아니라 사회적‧교과 간‧세대간‧경제적인 ‘통합’개념에서 지속될 수 있는 가치로서 제시되어야 한다. 아울러 초등학생의 전인적 성장이 삶 속에서 농업교육의 노작 활동을 통해 교육과 자연의 순환구조 속에서 가치로운 실천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실과교과의 농업 생명 기술 교육 영역에서 ‘통합’에 근거한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하며,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가치 있는 체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실과교과의 농업 생명 기술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은 실과 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에 ...

      본 연구는 실과교과의 농업 생명 기술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은 실과 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실과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에 기초한 농업 생명 기술 교육의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내용을 성취하기 위하여 ‘P 학교’를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과교과에서의 농업 생명 기술 영역에서 지속가능성은 친환경 미래 농업의 개념뿐만 아니라 사회적‧교과 간‧세대간‧경제적인 ‘통합’개념에서 지속될 수 있는 가치로서 제시되어야 한다. 아울러 초등학생의 전인적 성장이 삶 속에서 농업교육의 노작 활동을 통해 교육과 자연의 순환구조 속에서 가치로운 실천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실과교과의 농업 생명 기술 교육 영역에서 ‘통합’에 근거한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하며,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가치 있는 체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actical method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griculture technology. To archive this purpose, a case-study involving the specialized "P school" was undertake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stimated value to not onl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but also integrated social, disciplinary, generation, intra-generation, and economic perspectives.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ggested plans for practical activities featuring which was all-rounded growth in circulating between education and the nature of the life. This study concludes tha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integration of agriculture, technology, and education, as well as hands-on activities are most effectiv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actical method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griculture technology. To archive this purpose, a case-study involving the specialized "P school" was undertaken. Results of the st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actical method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griculture technology. To archive this purpose, a case-study involving the specialized "P school" was undertake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stimated value to not onl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but also integrated social, disciplinary, generation, intra-generation, and economic perspectives.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ggested plans for practical activities featuring which was all-rounded growth in circulating between education and the nature of the life. This study concludes tha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integration of agriculture, technology, and education, as well as hands-on activities are most effec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교육적 고찰
      • 3.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교육적 고찰
      • 3. 연구방법
      • 4. 연구 결과 및 논의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지연, "적정기술을 활용한 초등학교 녹색기술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9 (19): 129-151, 2013

      2 박성현,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UN의 밀레니엄 발전 목표(MDGs)와 지속가능 발전 목표(SDGs)에 관한 고찰" 한국품질경영학회 42 (42): 529-542, 2014

      3 윤지현, "실과교육에 영향을 미친 노작교육 사상의 비교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7 (17): 2004

      4 정남용, "실과교과 농업생명과학영역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69-100, 2012

      5 정남용,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현을 위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과 농업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5 (45): 1-20, 2013

      6 "http://ncsd.go.kr/"

      7 "http://ncic.go.kr/"

      8 S, H. Park, "Understanding on Qualitative Methodology" Wonmisa 2004

      9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riry & Research Design" Sage Publication, Inc. 2010

      10 K. H. Kim, "A Study on the Policy Measures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Adolescents' Quality of Life" NYPI 2015

      1 최지연, "적정기술을 활용한 초등학교 녹색기술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9 (19): 129-151, 2013

      2 박성현,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UN의 밀레니엄 발전 목표(MDGs)와 지속가능 발전 목표(SDGs)에 관한 고찰" 한국품질경영학회 42 (42): 529-542, 2014

      3 윤지현, "실과교육에 영향을 미친 노작교육 사상의 비교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7 (17): 2004

      4 정남용, "실과교과 농업생명과학영역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69-100, 2012

      5 정남용,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현을 위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과 농업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5 (45): 1-20, 2013

      6 "http://ncsd.go.kr/"

      7 "http://ncic.go.kr/"

      8 S, H. Park, "Understanding on Qualitative Methodology" Wonmisa 2004

      9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riry & Research Design" Sage Publication, Inc. 2010

      10 K. H. Kim, "A Study on the Policy Measures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Adolescents' Quality of Life" NYPI 2015

      11 S. M. Homg, "A Story of The Poolmoo School" Soul, Booki 2006

      12 H. S. Oh, "A Poolmoo School that Lives Together" Korean - Japanese Education Society 150-158, 2017

      13 장유진, "2015 실과 개정교육과정에 기반한 농업내용 분석과 지속가능한 농업교육에 대한 제언" 한국실과교육학회 29 (29): 213-229,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