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병도, "환경보호에 대한 인권적 접근" 대한국제법학회 48 (48): 3-102, 2003
2 고영훈, "환경법" 법문사 23-, 2000
3 환경부, "환경백서"
4 환경부, "환경백서"
5 서창록, "한국적 인권거버넌스의 특징과 아시아지역으로 확산 가능성" 국가관리연구원 15 (15): 65-96, 2011
6 정경수, "한국의 인권조약 비준ㆍ가입의 성취와 과제" 안암법학회 통 (통): 603-637, 2008
7 김민서, "한국에서의 자유권규약 이행 현황에 대한 논고" 법학연구원 (30) : 91-121, 2009
8 김기순, "지속가능발전 개념의 법적 지위와 적용사례 분석" 대한국제법학회 52 (52): 11-43, 2007
9 안경환, "좌우지간 인권이다" 도서출판 살림터 248-251, 2013
10 김명수, "장애인권리협약과 장애인 기본권 보장 :조약의 유보와 부대의견의 효력을 중심으로" 한국제도∙경제학회 6 (6): 169-209, 2012
1 박병도, "환경보호에 대한 인권적 접근" 대한국제법학회 48 (48): 3-102, 2003
2 고영훈, "환경법" 법문사 23-, 2000
3 환경부, "환경백서"
4 환경부, "환경백서"
5 서창록, "한국적 인권거버넌스의 특징과 아시아지역으로 확산 가능성" 국가관리연구원 15 (15): 65-96, 2011
6 정경수, "한국의 인권조약 비준ㆍ가입의 성취와 과제" 안암법학회 통 (통): 603-637, 2008
7 김민서, "한국에서의 자유권규약 이행 현황에 대한 논고" 법학연구원 (30) : 91-121, 2009
8 김기순, "지속가능발전 개념의 법적 지위와 적용사례 분석" 대한국제법학회 52 (52): 11-43, 2007
9 안경환, "좌우지간 인권이다" 도서출판 살림터 248-251, 2013
10 김명수, "장애인권리협약과 장애인 기본권 보장 :조약의 유보와 부대의견의 효력을 중심으로" 한국제도∙경제학회 6 (6): 169-209, 2012
11 박찬운, "자유권규약위원회 개인통보제도 결정의 국내적 이행을 위한 방안 小考" 한국법학원 (103) : 201-219, 2008
12 박찬운, "인권법" 한울 41-, 2011
13 박진아, "유엔인권이사회의 성과와 과제 — 2011년 “유엔인권이사회 재검토”(Review of the Human Rights Council) 논의를 중심으로 —" 안암법학회 (40) : 261-291, 2013
14 박병도, "유엔인권이사회의 보편적 정례검토제도- 한국의 실행과 평가를 중심으로 -" 법조협회 58 (58): 204-241, 2009
15 대한민국, "유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이행에 대한 제4차 국가보고서 [2011. 8]" 2011
16 송동수, "유럽환경규제법제의 변화와 한국법제의 대응" 한국토지공법학회 56 : 285-308, 2012
17 "외교부 홈페이지"
18 장복희, "아시아 지역인권협약 체결가능성과 한국의 역할" 법학연구원 18 (18): 57-86, 2008
19 "신하온환경연구소 자료"
20 정인섭, "신국제법강의 - 이론과사례" 박영사 816-, 2013
21 차경은, "법적 측면에서 본 글로벌 환경거버넌스 -기후변화협약체제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22 (22): 275-306, 2012
22 이재완, "대한민국에 대한 제2차 보편적 정례인권검토(UPR)" 155-163, 2012
23 정서용, "글로벌 기후변화 거버넌스와 국제법" 博英社 23-27, 2011
24 김진현, "국제환경협약의 국내적 수용과 규범적 통합 및 합치성" 5 : 101-, 2005
25 박병도, "국제환경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입법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법학회 28 (28): 203-249, 2006
26 노명준, "국제환경법상 환경권에 관한 연구" 47 (47): 39-55, 2002
27 서원상, "국제환경법상 우리나라의 법적 지위-선진국과 개도국의 구분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6 (6): 1-28, 2007
28 노명준, "국제환경법" 박영사 3-4, 1997
29 김홍균, "국제환경법" 홍문사 2-3, 2010
30 지영환, "국제인권조약의 한국적용에 관한 입법적 연구" 법학연구소 46 (46): 237-271, 2011
31 오승진, "국제인권조약의 국내 적용과 문제점" 대한국제법학회 56 (56): 113-140, 2011
32 채형복, "국제인권법" 높이깊이 15-, 2009
33 학회60년사, "국제법학회논총색인집(창간호~제40권, 1956~1995)" 1956
34 김대순, "국제법론(17판)" 삼영사 1258-1272, 2013
35 김대순, "국제법론(17판)" 삼영사 285-288, 2013
36 이발래, "국가인권위원회에 의한 인권보장과 과제" 유럽헌법학회 (9) : 271-300, 2011
37 박찬운, "국가인권위원회 10년, 인권정책분야를 평가한다" 부설법학연구소 34 : 39-78, 2011
38 박병도, "國際環境條約 履行의 障碍要因에 관한 硏究" 대한국제법학회 45 (45): 65-83, 2000
39 정진경, "UN 아동권리협약의 국내법적 및 실천적 수용성: 아동복지법과 아동복지시설을 중심으로1" 한국아동권리학회 14 (14): 219-244, 2010
40 "UN Doc. A/HRC/WG.6/14/KOR/1"
41 The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of the Law Third - Restatement of the Law, Foreign Relations Law of the United States, Vol.1" American Law Institute Publishers 42-43, 1987
42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Response of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recommendations" UN 2008
43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UN 2013
44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UN 2013
45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UN 124.1-124.70, 2013
46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UN 2013
47 Thomas Buerganthal,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 a nutshell" West Publishing Co 36-76, 2002
48 "CCPR/C/KOR/CO/3/CRP.1, para.8"
49 "CCPR/C/KOR/2005/3, paras. 4~9"
50 국가인권위원회, "2011국가인권위원회연간보고서" 2011
51 국가인권위원회, "2003국가인권위원회연간보고서" 17-19,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