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돌봄 서비스 영역에서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부산ㆍ경남 지역의 시설들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31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감정노동을 다차원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를 척도로 하여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봄으로써 감정노동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실증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사는 현재 사회복지 입소시설에 근무하면서 돌봄(care)서비스를 주 업무로 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편의표집 방식으로 설문조사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것은 401부이다. 감정노동 측정도구는 Zapf et al. (1999, 2001)이 개발한 Frankfurt Emotion Work Scales(FEWS)를 참고로 하여 영역별로 ‘공감ㆍ긍정적 감정표출(5항목)’, ‘부정적 감정표출(6항목)’, ‘감정불일치(4항목)’의 3영역으로 수렴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고, 종교가 있는 사회복지사의 경우, 소진 정도가 낮았고, 심리사회적 건강 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의 영향을 살펴보면, 공감ㆍ긍정적 표출은 성취감 저하와 비인격화를 줄이며, 심리사회적 건강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감정표출은 정서적 소모를 높이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정불일치는 정서적 소모와 비인격화를 높이며, 심리사회적 건강을 낮추는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긍정적ㆍ공감표출의 감정노동의 경우 성취감을 증대시키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 향후 돌봄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나 서비스의 질 향상에 중요한 변수로서 감정노동을 인식하고, 이를 경감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감정노동을 다차원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를 척도로 하여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봄으로써 감정노동의 긍정적인 측...

      본 연구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감정노동을 다차원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를 척도로 하여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봄으로써 감정노동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실증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사는 현재 사회복지 입소시설에 근무하면서 돌봄(care)서비스를 주 업무로 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편의표집 방식으로 설문조사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것은 401부이다. 감정노동 측정도구는 Zapf et al. (1999, 2001)이 개발한 Frankfurt Emotion Work Scales(FEWS)를 참고로 하여 영역별로 ‘공감ㆍ긍정적 감정표출(5항목)’, ‘부정적 감정표출(6항목)’, ‘감정불일치(4항목)’의 3영역으로 수렴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고, 종교가 있는 사회복지사의 경우, 소진 정도가 낮았고, 심리사회적 건강 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의 영향을 살펴보면, 공감ㆍ긍정적 표출은 성취감 저하와 비인격화를 줄이며, 심리사회적 건강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감정표출은 정서적 소모를 높이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정불일치는 정서적 소모와 비인격화를 높이며, 심리사회적 건강을 낮추는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긍정적ㆍ공감표출의 감정노동의 경우 성취감을 증대시키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 향후 돌봄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나 서비스의 질 향상에 중요한 변수로서 감정노동을 인식하고, 이를 경감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classify emotional work in caregiving with a multidimensional measure, 2) to identify impact on burnout and psychosocial well-being for social workers, and 3) to examine not only negative aspects but also positive aspects empiricall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ocial workers in social care facilities who conduct caring work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401 was used to analyze data. The instrument for emotional work was based on Frankfurt Emotion Work Scales (FEWS) by Zapf et a1. (2001, 1999). The sub-scales such as 'emotional sympathyㆍdisplay of positive emotions (5 items)', 'display of negative emotions (6 items)', 'emotional dissonance (4 items)' were used to converge on the three categorie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participants grow older, while they have spouses and when they believe religion they run a less risk of burnout and are more likely to get psychosocial well-being. Second, the influence of emotional work showed that to display of positive emotions prevented the decline in personal accomplishment and emotional work increased depersonalization. To display of negative emotions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lower psychosocial well-being. Emotional dissonance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lower psychosocial well-being too.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motional work for the display emotional sympathy' display of positive emotions results in improving personal accomplishment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s. Thus this research makes a contribution in providing the fact that emotional work is an important managing factor in improvement for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and the quality of service. To reduce the strain of emotional work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systematic interven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classify emotional work in caregiving with a multidimensional measure, 2) to identify impact on burnout and psychosocial well-being for social workers, and 3) to examine not only negative aspects but also positive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classify emotional work in caregiving with a multidimensional measure, 2) to identify impact on burnout and psychosocial well-being for social workers, and 3) to examine not only negative aspects but also positive aspects empiricall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ocial workers in social care facilities who conduct caring work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401 was used to analyze data. The instrument for emotional work was based on Frankfurt Emotion Work Scales (FEWS) by Zapf et a1. (2001, 1999). The sub-scales such as 'emotional sympathyㆍdisplay of positive emotions (5 items)', 'display of negative emotions (6 items)', 'emotional dissonance (4 items)' were used to converge on the three categorie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participants grow older, while they have spouses and when they believe religion they run a less risk of burnout and are more likely to get psychosocial well-being. Second, the influence of emotional work showed that to display of positive emotions prevented the decline in personal accomplishment and emotional work increased depersonalization. To display of negative emotions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lower psychosocial well-being. Emotional dissonance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lower psychosocial well-being too.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motional work for the display emotional sympathy' display of positive emotions results in improving personal accomplishment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s. Thus this research makes a contribution in providing the fact that emotional work is an important managing factor in improvement for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and the quality of service. To reduce the strain of emotional work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systematic interven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의 분석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의 분석
      • Ⅴ. 논의와 함의
      • 참고문헌
      • 〈Abstract〉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효진,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1

      2 성혜진, "패밀리 레스토랑 직원의 감정노동과 소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3 이혜련, "직업상담원의 소진현상과 작업환경과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597-611, 2004

      4 박정선, "직무스트레스 평가방법" 고려의학 2004

      5 용홍출, "장애아동 보육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burnout)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4 (24): 135-156, 2008

      6 이선영, "수퍼바이저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복지서비스조직 구성원의 스트레스, 소진,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미국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373-401, 2007

      7 장신재,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업무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19 : 253-274, 2008

      8 이태경,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연구" 대구대 재활과학대학원 2007

      9 최수찬, "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직업관련 요인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9) : 5-31, 2008

      10 이유정, "노인전문요양시설 생활지도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 사회복지대학원 2004

      1 박효진,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1

      2 성혜진, "패밀리 레스토랑 직원의 감정노동과 소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3 이혜련, "직업상담원의 소진현상과 작업환경과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597-611, 2004

      4 박정선, "직무스트레스 평가방법" 고려의학 2004

      5 용홍출, "장애아동 보육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burnout)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4 (24): 135-156, 2008

      6 이선영, "수퍼바이저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복지서비스조직 구성원의 스트레스, 소진,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미국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373-401, 2007

      7 장신재,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업무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19 : 253-274, 2008

      8 이태경,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연구" 대구대 재활과학대학원 2007

      9 최수찬, "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직업관련 요인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9) : 5-31, 2008

      10 이유정, "노인전문요양시설 생활지도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 사회복지대학원 2004

      11 박정화, "노인시설 종사자가 경험한 감정노동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삼육대 보건복지대학원 2007

      12 이인수,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소진(消盡)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55-69, 2006

      13 김인주, "노인복지시설 생활지도원의 소진에 관한 경험적 연구: 충청북도 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2 (12): 303-321, 2008

      14 최희경, "노인 돌봄 종사자의 소진 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157-176, 2008

      15 임지영,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한 노인주간․단기보호시설 종사자들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변수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사회복지대학원 2008

      16 武井麻子, "感情と看護:人とのかかわりを職業とする意味" 医学書院 2001

      17 久保真人, "バーンアウト(燃え付き症候群)- ヒューマンサービス職のストレス" 558 : 54-64, 2007

      18 Abel, E. K., "Who Cares for the Elderly? Public Policy and the Experiences of Adult Daughters" Temple University Press 1991

      19 Grandey, A. A.,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n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44 : 86-98, 2003

      20 Chiriboga, D. A., "The stress of caregivers in Aging and Caregiving" Sage 1990

      21 Maslach, C.,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2 : 91-133, 1981

      22 Smith, P., "The emotional Labour of Nursing: How Nurses care" The macmillan Press Ltd 1992

      23 Morris, J. A.,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 986-1010, 1996

      24 Hochschild A. R., "The Managed He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25 Rafaeli, A., "The Expression of Emotion in organizational life" 11 : 1-42, 1989

      26 Rogers, C., "The Characteristic of a Helping Relationship" 37 : 95-103, 1958

      27 Biestek, F. P., "The Casework Relationship" Loyola University 1987

      28 Shein, E., "Process Consultation revisited: Building the Helping Relationship" Addison-Wesley 1999

      29 Zapf, D.,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motion work in organizations" 15 (15): 1-28, 2006

      30 MacRae H., "Managing Feelings: Caregiving as Emotion Work" 20 (20): 137-160, 1998

      31 Ashforth,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18 (18): 88-115, 1993

      32 Davies, Scott Alan, "Emotional labor in academia: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new measure" The Ohio State University 2002

      33 Zapf, D., "Emotion work as a source of stres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8 : 371-400, 1999

      34 Zapf, D., "Emotion wor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12 : 237-268, 2002

      35 Zapf, D., "Emotion work and job stressors and their effects on burnout" 16 : 527-545, 2001

      36 Totterdell, P., "Emotion Regulation in Customer Service Roles: Testing a Model of Emotional Labor" 8 (8): 55-73, 2003

      37 Chenoweth, B., "Dementia: The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26 : 267-172, 1986

      38 Dormann, C., "Customer-related social stressors and burnout" 9 (9): 61-82, 2004

      39 Baines, C. T., "Caring: Its Impact on the Lives of Women in Women's Caring" McClelland and Stewart 1991

      40 Himmelweit, S., "Caring Labor. in :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Emotional Labor in the Service Economy" Sage 22-38, 1999

      41 James, N., "Care=Organization + Physical Labour + Emotional Labour" 14 (14): 488-509, 1992

      42 Maslach C., "Burnout. Malor books" Prentice-Hall 1982

      43 Ungerson, C., "A Labour of Love: Women, Work and Caring" Routledge and Kegan Paul plc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