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창업보육센터 내 멘토링 기능과 창업기업 종사자들의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 : 신뢰, 공정성의 간접효과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67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창업은 경제에 활력을 부여하고, 일자리 창출 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선·후진국 모두 창업 촉진을 위한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청년창업사관학교 외 전국 260여 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운영 중이며 다양한 정부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창업보육센터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중에서 창업자가 손꼽는 중요한 정책은 창업 및 성장자금 지원(32.8%), 창업 및 실무 교육지원(21.2%), 창업 인프라 지원(14.8%), 네트워킹 및 멘토링(8.7%)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는데(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2017∼2018) 창업기업 대부분은 자신의 사업 아이템이 아직은 아이디어 단계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아 기업의 본 모습을 온전히 갖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스스로 해야 할 일과 책임은 크나 이에 상응하는 매출이나 수익이 크지 않으니 정부나 기관의 지원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멘토링을 중요한 지원정책으로 꼽는 것은 실제 기업경영에 도사리고 있는 다양한 위험요소를 창업기업 스스로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이에 대한 해법으로 멘토의 사전경험, 노하우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행연구 또한 창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있어도 그 성공률이 매우 낮은 것은(최종인, 황보윤, 2012) 단지 지원정책이나 교육만으로는 성공적인 창업을 견인하기 어렵고 해당 분야의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가진 멘토링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멘토링이 창업교육을 보완하기에 창업기업의 성장이나 창업기업의 성공을 견인하는 요소로써 멘토링을 연구한 선행연구가 대부분으로 사회복지, 외식업, 비서, R&D, 보안조직, 군대, 무용, 조리 분야 등 다양한 영역의 연구에서와같이 멘토링을 통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사례는 많지 않다.
      이에 다양한 영역의 선행연구(김선구, 2011; 모미현, 2011 외)에서 밝히고 있는 바를 근거로 창업기업에서의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 및 멘토 신뢰와 공정성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창업보육센터 내에서 시행하는 멘토링에 대한 이해가 있고 참여한 경험이 있는 전국 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한 238부의 설문을 표본으로 SPSS 18과 AMOS 18을 이용하여 기초통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기술통계 그리고 경로분석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멘토링기능은 조직몰입, 직무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 관계에 있어서 멘토에 대한 멘티의 신뢰는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정성지각이 높을수록 멘토링기능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멘토링기능과 공정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이만기, 2007)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연구를 통해 창업보육센터의 멘토링기능은 창업기업 종사자들의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에 있어 신뢰를 통해 조직몰입을 견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창업보육센터 내의 멘토링 기능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를 검증함으로 멘토는 열정과 에너지를 가지고 긍정적인 생각과 태도로 임해야 하고 창업기업 종사자들 또한 의미 있는 멘토링을 위해서 멘토링 구성 전반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창업은 경제에 활력을 부여하고, 일자리 창출 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선·후진국 모두 창업 촉진을 위한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청년창업사관...

      창업은 경제에 활력을 부여하고, 일자리 창출 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선·후진국 모두 창업 촉진을 위한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청년창업사관학교 외 전국 260여 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운영 중이며 다양한 정부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창업보육센터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중에서 창업자가 손꼽는 중요한 정책은 창업 및 성장자금 지원(32.8%), 창업 및 실무 교육지원(21.2%), 창업 인프라 지원(14.8%), 네트워킹 및 멘토링(8.7%)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는데(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2017∼2018) 창업기업 대부분은 자신의 사업 아이템이 아직은 아이디어 단계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아 기업의 본 모습을 온전히 갖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스스로 해야 할 일과 책임은 크나 이에 상응하는 매출이나 수익이 크지 않으니 정부나 기관의 지원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멘토링을 중요한 지원정책으로 꼽는 것은 실제 기업경영에 도사리고 있는 다양한 위험요소를 창업기업 스스로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이에 대한 해법으로 멘토의 사전경험, 노하우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행연구 또한 창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있어도 그 성공률이 매우 낮은 것은(최종인, 황보윤, 2012) 단지 지원정책이나 교육만으로는 성공적인 창업을 견인하기 어렵고 해당 분야의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가진 멘토링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멘토링이 창업교육을 보완하기에 창업기업의 성장이나 창업기업의 성공을 견인하는 요소로써 멘토링을 연구한 선행연구가 대부분으로 사회복지, 외식업, 비서, R&D, 보안조직, 군대, 무용, 조리 분야 등 다양한 영역의 연구에서와같이 멘토링을 통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사례는 많지 않다.
      이에 다양한 영역의 선행연구(김선구, 2011; 모미현, 2011 외)에서 밝히고 있는 바를 근거로 창업기업에서의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 및 멘토 신뢰와 공정성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창업보육센터 내에서 시행하는 멘토링에 대한 이해가 있고 참여한 경험이 있는 전국 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한 238부의 설문을 표본으로 SPSS 18과 AMOS 18을 이용하여 기초통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기술통계 그리고 경로분석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멘토링기능은 조직몰입, 직무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 관계에 있어서 멘토에 대한 멘티의 신뢰는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정성지각이 높을수록 멘토링기능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멘토링기능과 공정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이만기, 2007)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연구를 통해 창업보육센터의 멘토링기능은 창업기업 종사자들의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에 있어 신뢰를 통해 조직몰입을 견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창업보육센터 내의 멘토링 기능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를 검증함으로 멘토는 열정과 에너지를 가지고 긍정적인 생각과 태도로 임해야 하고 창업기업 종사자들 또한 의미 있는 멘토링을 위해서 멘토링 구성 전반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concentrating their policy capability on the acceleration of start-ups for its critical role on invigorating economic vitality and job creation. South Korea also runs more than 260 research centers for business start-up including Youth Start-up Academy, affiliated organization of the KOSME, Korea Small & Medium Enterprises and Startups Agenc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KoEF) in 2017∼2018, some of the crucial policies that start-up entrepreneurs wanted the most among the various support programs of the research center are financial support for initiation and growth of the business (32.8%), educational support for start-up and business practices (21.2%), start-up related infrastructural support (14.8%), mentoring and networking (8.7%), etc. in rank. The reason why the financial support ranked the highest is that most of start-ups’ business items are not only impalpable enough to set up the image of company itself but also on inchoate idea level. Having a myriad of responsibilities and duties to figure out themselves, start-ups rely on government or organization subvention because their sales and profits aren’t big enough to catch up their burdens.
      Mentoring’s significance is important because it’s difficult for start-ups to forecast a variety of risk factors surrounding actual company management.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it was found that mentor’s previous experience and risk-control ability were to be utilized.
      Previous study(Choe jong in, Hwang bo yun, 2012) also said that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is low in spite of various supporting programs such as policies or start-up education and that mentoring with specialty and network in the field i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company.
      Most of the cases are studies that mentoring is a leading factor of start-up’s growth and success as it makes up for the start-up education. Nevertheless, cases studying about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n account of mentoring in many fields such as social welfare, restaurant business, personal assistance, R&D, security organization, army, dancing, culinary are f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 of trust in mentors and imparti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mentoring on start-up compani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assertions of previous studies on other various fields.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8 and AMOS 18 with a sample of 238 surveys by those who are older than 19 nationwide and have understandings of mentoring conducted by the start-up research center. Results were described by conduct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path analysis. Research has shown that mentoring functions significantly predi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hat mentee's trust of mentors in the relationship has no mediating effect with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The same idea as a prior study (Lee man ki, 2007), the higher the fairness perception, the more positive the mentoring function is, was also shown on this study and verifi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mentoring function with fair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mentoring function of the start-up research center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tart-up entrepreneurs. It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he way to elici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rust in not only the mentoring function but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s,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tion inside the start-up research center, mentors should stay positive and bring up passion for their mentees. Start-up workers, in the same vein, also suggest that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overall mentoring composition is required for meaningful mentoring.
      번역하기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concentrating their policy capability on the acceleration of start-ups for its critical role on invigorating economic vitality and job creation. South Korea also runs more than 260 research centers for busin...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concentrating their policy capability on the acceleration of start-ups for its critical role on invigorating economic vitality and job creation. South Korea also runs more than 260 research centers for business start-up including Youth Start-up Academy, affiliated organization of the KOSME, Korea Small & Medium Enterprises and Startups Agenc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KoEF) in 2017∼2018, some of the crucial policies that start-up entrepreneurs wanted the most among the various support programs of the research center are financial support for initiation and growth of the business (32.8%), educational support for start-up and business practices (21.2%), start-up related infrastructural support (14.8%), mentoring and networking (8.7%), etc. in rank. The reason why the financial support ranked the highest is that most of start-ups’ business items are not only impalpable enough to set up the image of company itself but also on inchoate idea level. Having a myriad of responsibilities and duties to figure out themselves, start-ups rely on government or organization subvention because their sales and profits aren’t big enough to catch up their burdens.
      Mentoring’s significance is important because it’s difficult for start-ups to forecast a variety of risk factors surrounding actual company management.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it was found that mentor’s previous experience and risk-control ability were to be utilized.
      Previous study(Choe jong in, Hwang bo yun, 2012) also said that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is low in spite of various supporting programs such as policies or start-up education and that mentoring with specialty and network in the field i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company.
      Most of the cases are studies that mentoring is a leading factor of start-up’s growth and success as it makes up for the start-up education. Nevertheless, cases studying about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n account of mentoring in many fields such as social welfare, restaurant business, personal assistance, R&D, security organization, army, dancing, culinary are f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 of trust in mentors and imparti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mentoring on start-up compani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assertions of previous studies on other various fields.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8 and AMOS 18 with a sample of 238 surveys by those who are older than 19 nationwide and have understandings of mentoring conducted by the start-up research center. Results were described by conduct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path analysis. Research has shown that mentoring functions significantly predi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hat mentee's trust of mentors in the relationship has no mediating effect with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The same idea as a prior study (Lee man ki, 2007), the higher the fairness perception, the more positive the mentoring function is, was also shown on this study and verifi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mentoring function with fair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mentoring function of the start-up research center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tart-up entrepreneurs. It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he way to elici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rust in not only the mentoring function but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s,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tion inside the start-up research center, mentors should stay positive and bring up passion for their mentees. Start-up workers, in the same vein, also suggest that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overall mentoring composition is required for meaningful mentoring.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