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래지향적 예술인재양성 교육에 대한 소고 - 초.중등교육을 중심으로 - = A Review on the Future-oriented Fostering and Training of Artistic Human Resourc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value of fostering and training artistic talent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social environment due to the advent of a hyper-connected society.
      In doing so,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ar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ducation paradigm. Secondly, it presents not only the ne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at is no longer college admission and competition-driven, but more tailored to students’ career paths, and also with the need to foster artistic talent in the changing environment where art is no longer exclusive to one particular class. On these ground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art talent fostering and education in order to illustrate problems and improvements that can be made within the changing socio-economic structure. This study then conclusively proposes a future-oriented way of fostering artistic talent by: firstly providing a model for an ideal Neo-renaissance art talent with creative capacities; secondly acknowledging the need for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fostering artistic talent; amd thirdly establishing a tailored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at also meets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This review can be used as basic support material for developing a policy level support system strategy, and a specific roadmap, as well as improving the current curriculum for artistic human resource education and professional art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value of fostering and training artistic talent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social environment due to the advent of a hyper-connected society. In doing so,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expansion o...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value of fostering and training artistic talent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social environment due to the advent of a hyper-connected society.
      In doing so,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ar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ducation paradigm. Secondly, it presents not only the ne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at is no longer college admission and competition-driven, but more tailored to students’ career paths, and also with the need to foster artistic talent in the changing environment where art is no longer exclusive to one particular class. On these ground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art talent fostering and education in order to illustrate problems and improvements that can be made within the changing socio-economic structure. This study then conclusively proposes a future-oriented way of fostering artistic talent by: firstly providing a model for an ideal Neo-renaissance art talent with creative capacities; secondly acknowledging the need for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fostering artistic talent; amd thirdly establishing a tailored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at also meets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This review can be used as basic support material for developing a policy level support system strategy, and a specific roadmap, as well as improving the current curriculum for artistic human resource education and professional art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연결 환경 인공지능시대에 예술이 더 이상 고정된 개념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장르별 전통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변모하는 미래사회 환경에 따른 예술인재양성교육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예술의 개념 확장과 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한국의 예술인재양성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초.중등교육이 대학 입시위주의 경쟁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진로 맞춤형 교육으로서 변화하는사회경제구조에 부응하는 인재양성 운영의 개선점을 탐색한다. 결론적으로 미래지향적 예술인재양성교육이 누구를(WHO: 어떤 예술인재)위해, 어디에서(WHERE: 어떤 교육 환경), 무엇을(WHAT: 어떤 교육과정) 위한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방안을 첫째, 인공 지능 시대가 요구하는예술인재 선발 기준 마련; 둘째, 지역사회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스마트 교육 환경 시스템 구축;셋째, 융합형 예술인재양성을 위한 예술통합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함으로 제안하였다. 이 소고는현재 운영되는 예술영재교육과 예술전문교육의 교육과정과 시설개선 및, 정책적인 지원 시스템의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세우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예술인재양성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교육실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 상황에서 요구되는 예술인재상에 대한 연구가 획일화된 합목적적인 측면이 아닌 개별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적인(HOW:정책과 전략) 측면에서의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초연결 환경 인공지능시대에 예술이 더 이상 고정된 개념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장르별 전통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변모하는 미래사회 환경에 따른 예술인재양성교육의 발...

      이 연구는 초연결 환경 인공지능시대에 예술이 더 이상 고정된 개념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장르별 전통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변모하는 미래사회 환경에 따른 예술인재양성교육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예술의 개념 확장과 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한국의 예술인재양성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초.중등교육이 대학 입시위주의 경쟁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진로 맞춤형 교육으로서 변화하는사회경제구조에 부응하는 인재양성 운영의 개선점을 탐색한다. 결론적으로 미래지향적 예술인재양성교육이 누구를(WHO: 어떤 예술인재)위해, 어디에서(WHERE: 어떤 교육 환경), 무엇을(WHAT: 어떤 교육과정) 위한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방안을 첫째, 인공 지능 시대가 요구하는예술인재 선발 기준 마련; 둘째, 지역사회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스마트 교육 환경 시스템 구축;셋째, 융합형 예술인재양성을 위한 예술통합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함으로 제안하였다. 이 소고는현재 운영되는 예술영재교육과 예술전문교육의 교육과정과 시설개선 및, 정책적인 지원 시스템의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세우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예술인재양성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교육실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 상황에서 요구되는 예술인재상에 대한 연구가 획일화된 합목적적인 측면이 아닌 개별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적인(HOW:정책과 전략) 측면에서의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소영, "한국 예술고등학교 제도 변화 과정 분석" 고려대학교 2018

      2 정옥희, "충북예술고등학교 발전 방안 연구(충북-2019-82)" 충북교육청 2019

      3 김현수, "조형예술 교육론 : 내용·목표·궁극목적" 나남 2011

      4 양장미, "정부의 미래연구(foresight) SWOT 분석" 1-, 2017

      5 강주희, "우리미술의 감상과 교육" 교육과학사 2017

      6 이지훈, "우리가 만드는 문화도시: 부산시민 문화운동을 중심으로" 산지니 2010

      7 한수연, "예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사례: 시각예술에서의 기초예술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149-170, 2009

      8 정연희, "예술교육을 통한 지속가능성 사고의 확장"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2 (12): 51-71, 2011

      9 정옥희, "예술고등학교의 국내 정책운영현황 및 국외 사례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119-140, 2020

      10 Tatarloewicz, W, "예술개념의 역사: 테크네에서 아방가르드까지" 열화당 2017

      1 주소영, "한국 예술고등학교 제도 변화 과정 분석" 고려대학교 2018

      2 정옥희, "충북예술고등학교 발전 방안 연구(충북-2019-82)" 충북교육청 2019

      3 김현수, "조형예술 교육론 : 내용·목표·궁극목적" 나남 2011

      4 양장미, "정부의 미래연구(foresight) SWOT 분석" 1-, 2017

      5 강주희, "우리미술의 감상과 교육" 교육과학사 2017

      6 이지훈, "우리가 만드는 문화도시: 부산시민 문화운동을 중심으로" 산지니 2010

      7 한수연, "예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사례: 시각예술에서의 기초예술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149-170, 2009

      8 정연희, "예술교육을 통한 지속가능성 사고의 확장"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2 (12): 51-71, 2011

      9 정옥희, "예술고등학교의 국내 정책운영현황 및 국외 사례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119-140, 2020

      10 Tatarloewicz, W, "예술개념의 역사: 테크네에서 아방가르드까지" 열화당 2017

      11 정옥희, "예술 체험을 통한 인문학적 배움의 가능성"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56 : 1-24, 2019

      12 국가법령정보센터, "영재교육진흥법 (법률 제 15231호)"

      13 Levi-Strauss, C, "야생적 사고" 한길사 2003

      14 Root-Bernstein, R. S, "생각의 탄생: 다빈치에서 파인먼까지 창조성을 빛낸 사람들의 13가지 생각도구" 에코의 서재 2007

      15 강병직, "미술영재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1-44, 2010

      16 김정희, "미술영재성 발현 변인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8 : 77-100, 2017

      17 강주희, "미술영재교육 선행연구와 현황 분석 및 제언" 교육연구원 35 (35): 255-271, 2019

      18 김도기, "미래학교의 개념 및 공간 설계의 방향 탐색" 교육연구원 35 (35): 119-146, 2019

      1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사회 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20 진경엽, "미래교사의 역할 및 교수역량 구인 타당화" 숭실대학교 2018

      21 이어령, "디지로그 : 선언=Digilog : 한국인이 이끄는 첨단 정보사회, 그 미래를 읽는 키워드|digital + analog" 생각의 나무 2006

      22 KAIST 문순미래전략대학원, "대한민국 국가미래전략 2018" 이콘출판(주) 2017

      23 정옥희, "경기형 문화예술교육 발전 방안 연구(경기-2017)" 경기도교육청 2017

      24 Schuwab, 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2016

      25 Efland, A, "The arts and the creation of mind: Eisner’s contributions to the arts in education" 38 (38): 71-80, 2004

      26 Csikszentmihalyi, M,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3-335, 1999

      27 코칭n라이프의 삶을 보는 새로운 패러다임 코칭n라이프 에코코칭, "4차 산업혁명이 교육에 미칠 영향과 새 정부의 교육 개혁 과제"

      28 류태호,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29 박영숙, "2020 미래교육보고서" 2010

      30 정채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 교과용도서 개발 및 검/인정 심사를 위한 어휘 사용 지침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