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터벤야민, "현대사회와 예술" 문학과 지성사 1988
2 헤겔, "헤겔미학 Ⅰ" 나남출판 1997
3 김상현, "판단력 비판" 책세상 2005
4 백유진, "컬트영화에 나타난 패션디자인의 미적 고찰" 홍익대학교 2006
5 김영범, "철학갤러리" 풀로엮은집 2009
6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9
7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 아트북스 2003
8 임마뉴엘 칸트, "순수이성 비판" 아카넷 2007
9 요한네스 휠시베르크, "서양철학사" 이문출판사 2003
10 빌렘 플루스,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 발터벤야민, "현대사회와 예술" 문학과 지성사 1988
2 헤겔, "헤겔미학 Ⅰ" 나남출판 1997
3 김상현, "판단력 비판" 책세상 2005
4 백유진, "컬트영화에 나타난 패션디자인의 미적 고찰" 홍익대학교 2006
5 김영범, "철학갤러리" 풀로엮은집 2009
6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9
7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 아트북스 2003
8 임마뉴엘 칸트, "순수이성 비판" 아카넷 2007
9 요한네스 휠시베르크, "서양철학사" 이문출판사 2003
10 빌렘 플루스,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1 뷰먼트 뉴홀, "사진의 역사" 열화당 1987
12 이경률, "사진의 여명" 사진마실 2006
13 로잘린드 클라우스, "사진, 인덱스, 현대미술" 2003
14 김광남, "벤야민의 미학에서 아우라의 몰락과 지각의 변화"
15 발터 벤야민, "발터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16 그램 질로크, "발터멘야민과 메트로 폴리스" 효형출판 2007
17 박설호,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에 대하여" 한국브레히트학회 9 : 2001
18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 휴머니스트 2004
19 심혜련, "대중매체에 관한 발터 벤야민의 미학적 고찰이 지니는 현대적 의의" 한국미학회 30 : 2001
20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세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도서풀판 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