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 여성용 생리용품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개선 및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2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 여성의 신체에 더 적합하고 착용이 용이한 생리용품의 설계 변수를 제안하고, 휠체어 사용으로 인 해 월경 시 예상되는 피부질환으로부터 지체장애인 여성을 보호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지체장애인 여성의 월경 관리에 대 한 편리함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탐폰과 월경 컵과 같은 내부 위생 제품이 흡수율이 높고 피부 자 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생리대와 같은 외부 위생 제품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삽입형 생리용품을 대안으로 선택하였고, 동시에 기존 삽입형 생리용품의 단점이었던 착용 방법의 복잡함을 개선하여 질 안에서 손을 넣지 않고도 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보조용품의 설계변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 여성의 신체에 더 적합하고 착용이 용이한 생리용품의 설계 변수를 제안하고, 휠체어 사용으로 인 해 월경 시 예상되는 피부질환으로부터 지체장애인 여성을 ...

      이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 여성의 신체에 더 적합하고 착용이 용이한 생리용품의 설계 변수를 제안하고, 휠체어 사용으로 인 해 월경 시 예상되는 피부질환으로부터 지체장애인 여성을 보호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지체장애인 여성의 월경 관리에 대 한 편리함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탐폰과 월경 컵과 같은 내부 위생 제품이 흡수율이 높고 피부 자 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생리대와 같은 외부 위생 제품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삽입형 생리용품을 대안으로 선택하였고, 동시에 기존 삽입형 생리용품의 단점이었던 착용 방법의 복잡함을 개선하여 질 안에서 손을 넣지 않고도 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보조용품의 설계변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physically disabled, wheelchairconfined women may face in using feminine hygiene products; and b) present a solution to these difficulties by designing a product that is both easy to use and protects the skin from fungus and other irritant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at internal hygiene products such as tampons and menstrual cups were superior to their external counterparts, like sanitary napkins, due to their higher absorption rate and unlikeliness to cause skin irritation. We have also designed accessories that can be used with internal hygiene products that allow the devices to be inserted without needing to place fingers or hands inside the vagina, allowing a more comfortable experience for the us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physically disabled, wheelchairconfined women may face in using feminine hygiene products; and b) present a solution to these difficulties by designing a product that is both easy to u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physically disabled, wheelchairconfined women may face in using feminine hygiene products; and b) present a solution to these difficulties by designing a product that is both easy to use and protects the skin from fungus and other irritant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at internal hygiene products such as tampons and menstrual cups were superior to their external counterparts, like sanitary napkins, due to their higher absorption rate and unlikeliness to cause skin irritation. We have also designed accessories that can be used with internal hygiene products that allow the devices to be inserted without needing to place fingers or hands inside the vagina, allowing a more comfortable experience for the us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2. 연구의 내용 및 구성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2. 연구의 내용 및 구성
      • 2. 이론적 배경
      • 2.1. 연구 대상
      • 2.2. 생리용품
      • 2.3. 관련 연구 현황
      • 3. 연구방법
      • 3.1. 기존 생리용품 조사 및 분석
      • 3.2. 설문조사
      • 4. 연구결과 및 고찰
      • 4.1. 지체장애인 여성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 4.2. 대안 설계 및 불편함 개선 과정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