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관예우의 근절책 = To Root Out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tired Public Officer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tired public officers is rampant in doing businesses which are related to his or her former jobs, still in Korea. It is deep-rooted in Korean culture itself. Korea has had a unitary culture and simple race in cultural meaning, which has ordinarily the subculture of nepotism. In humankind history, there has been no such a nation as Korea whose racial and culture composition is so simple. So its tendency to nepotism is particular even compared to other tradition strong countries, for example Japan or European nations. And the preferential treatment has flourished even in judiciary system, whose essential part is fairness. Therefore it has benefited lawyers as retired judges and prosecutors, resulting in the corruption of courts and prosecutor’s offices. At the same time, brokers dealing with judicial matters, whom advanced nations’ people have never heard of, have continuously existed and exploited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tired public officers. For so many years, Korean people have shouted out its evil effects, tried to eradicate it, but the efforts has almost failed in vain. This article’s main subject is to root it out successfully from Korean society.


      This article gets the start from saying that rooting out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tired public officers is very difficult. Maybe the failure of previous efforts were caused from not recognizing the difficulty. That is, the efforts were focused on easy-going or superficial solutions. We have to be more serious and more patient to cope with it.
      I tried to seek out several ways to root out the treatment. I admit my proposals are not sufficient. I just wish them to be useful in discussing the matter and to be a start of sincere efforts to deal with it.


      I proposed, in advance, to write in the concept of judicial democratization that includes the openness of judicial process related to the eradication of nepotism or judicial neutrality into the Korean constitution. And it might be needed to declare abolition of statute of limitations of the crimes of public officers deliberately failing in dealing with judicially disputed matters or the suspending of it during his or her term of office. The special office for investigations against high ranking officials comprised of judges and prosecutors may have to be installed if we think of particular Korean circumstances in which predominant status of the officials, especially judges and prosecutors, is guaranteed. After them, I suggested the reinforcement of the disciplinary system of judges and prosecutors, which some people say has worked even to conceal the faults. And the heightening of authority of the commission of lawyers’ ethics, which is struggling with how to deal with faults of lawyers, may have some effect.


      If the time would come, when we don’t hear anything about the faulty treatment, Korean society already has entered in advanced society, which Koreans are yearning for after accomplishing economic miracles. And we could have a society of real rule of law in its true meaning.
      번역하기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tired public officers is rampant in doing businesses which are related to his or her former jobs, still in Korea. It is deep-rooted in Korean culture itself. Korea has had a unitary culture and simple race in cultural ...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tired public officers is rampant in doing businesses which are related to his or her former jobs, still in Korea. It is deep-rooted in Korean culture itself. Korea has had a unitary culture and simple race in cultural meaning, which has ordinarily the subculture of nepotism. In humankind history, there has been no such a nation as Korea whose racial and culture composition is so simple. So its tendency to nepotism is particular even compared to other tradition strong countries, for example Japan or European nations. And the preferential treatment has flourished even in judiciary system, whose essential part is fairness. Therefore it has benefited lawyers as retired judges and prosecutors, resulting in the corruption of courts and prosecutor’s offices. At the same time, brokers dealing with judicial matters, whom advanced nations’ people have never heard of, have continuously existed and exploited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tired public officers. For so many years, Korean people have shouted out its evil effects, tried to eradicate it, but the efforts has almost failed in vain. This article’s main subject is to root it out successfully from Korean society.


      This article gets the start from saying that rooting out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tired public officers is very difficult. Maybe the failure of previous efforts were caused from not recognizing the difficulty. That is, the efforts were focused on easy-going or superficial solutions. We have to be more serious and more patient to cope with it.
      I tried to seek out several ways to root out the treatment. I admit my proposals are not sufficient. I just wish them to be useful in discussing the matter and to be a start of sincere efforts to deal with it.


      I proposed, in advance, to write in the concept of judicial democratization that includes the openness of judicial process related to the eradication of nepotism or judicial neutrality into the Korean constitution. And it might be needed to declare abolition of statute of limitations of the crimes of public officers deliberately failing in dealing with judicially disputed matters or the suspending of it during his or her term of office. The special office for investigations against high ranking officials comprised of judges and prosecutors may have to be installed if we think of particular Korean circumstances in which predominant status of the officials, especially judges and prosecutors, is guaranteed. After them, I suggested the reinforcement of the disciplinary system of judges and prosecutors, which some people say has worked even to conceal the faults. And the heightening of authority of the commission of lawyers’ ethics, which is struggling with how to deal with faults of lawyers, may have some effect.


      If the time would come, when we don’t hear anything about the faulty treatment, Korean society already has entered in advanced society, which Koreans are yearning for after accomplishing economic miracles. And we could have a society of real rule of law in its true mea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관예우는 우리 사회의 심층, 문화에 바탕을 둔 채 큰 작용력을 가진 연고주의가 발현된 것이다.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나타나는 것이나, 분쟁에 대한 엄격한 판정을 생명으로 하는 사법분야에서 이것이 나타나면 그 폐단이 두드러져 보인다. 엉뚱하게도 아직 사회의 일각에서는 이를 부정하는 견해도 없지는 않으나 여러 징후로 보아 이는 엄연히 존재하는 실체이다.
      전관예우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관예우가 우리의 연고주의 문화에 뿌리를 박은 것으로서 그 근절이 대단히 어렵다는 전제에 서야 한다. 지금까지 그 실체에 대한 분명한 인식의 결여로 몇 가지 간단한 대책으로 이를 없앨 수 있다는 안이한 인식에 젖어왔다. 우리가 이러한 잘못된 인식을 버리고, 전관예우의 근절이 정말 어렵다는 생각에 이를 때 비로소 전관예우에 대한 해결의 방도가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전관예우의 근절책 몇 가지를 들었다. 개헌의 기회에 사법의 민주화 혹은 사법의 중립성을 헌법에 명시하는 방안, 국가공무원에 의한 부당한 사건처리의 공소시효 배제 혹은 중단의 방안,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의 신설방안, 판․검사 징계제도의 충실화방안, 법조윤리협의회 권한의 강화방안 등을 들었다. 이러한 방안들은 서로가 조금씩 다른 측면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어울리며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으리라고 본다. 그리고 여기에서 든 것 외에 다른 다양한 전관예우 근절책의 제시를 기다리고 싶다. 혹자는 이와 같은 방안의 시행이 판․검사들에게 너무 가혹하다고 비판할지 모른다. 그러나 전관예우가 사법의 낙후성을 나타내는 가장 큰 징표인 점을 감안하여 그런 측면이 있다고 하더라도 과감하게 시행해나갔으면 한다.
      여러 방책들의 효율적인 시행 후 전관예우가 더 이상 국민들의 주목을 끌지 못하는 맑은 사회가 되었을 때, 우리는 훌쩍 법의 지배가 실현되는 선진사회로 넘어가 있을 것이다. 법의 지배를 함에 있어서 가장 중심적 역할을 하는 사법이 부끄러운 전관예우의 행태를 벗어나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한다면 이는 바로 명실상부한 법의 지배로 연결되는 것이다.
      번역하기

      전관예우는 우리 사회의 심층, 문화에 바탕을 둔 채 큰 작용력을 가진 연고주의가 발현된 것이다.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나타나는 것이나, 분쟁에 대한 엄격한 판정을 생명으로 하는 사법분야...

      전관예우는 우리 사회의 심층, 문화에 바탕을 둔 채 큰 작용력을 가진 연고주의가 발현된 것이다.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나타나는 것이나, 분쟁에 대한 엄격한 판정을 생명으로 하는 사법분야에서 이것이 나타나면 그 폐단이 두드러져 보인다. 엉뚱하게도 아직 사회의 일각에서는 이를 부정하는 견해도 없지는 않으나 여러 징후로 보아 이는 엄연히 존재하는 실체이다.
      전관예우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관예우가 우리의 연고주의 문화에 뿌리를 박은 것으로서 그 근절이 대단히 어렵다는 전제에 서야 한다. 지금까지 그 실체에 대한 분명한 인식의 결여로 몇 가지 간단한 대책으로 이를 없앨 수 있다는 안이한 인식에 젖어왔다. 우리가 이러한 잘못된 인식을 버리고, 전관예우의 근절이 정말 어렵다는 생각에 이를 때 비로소 전관예우에 대한 해결의 방도가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전관예우의 근절책 몇 가지를 들었다. 개헌의 기회에 사법의 민주화 혹은 사법의 중립성을 헌법에 명시하는 방안, 국가공무원에 의한 부당한 사건처리의 공소시효 배제 혹은 중단의 방안,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의 신설방안, 판․검사 징계제도의 충실화방안, 법조윤리협의회 권한의 강화방안 등을 들었다. 이러한 방안들은 서로가 조금씩 다른 측면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어울리며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으리라고 본다. 그리고 여기에서 든 것 외에 다른 다양한 전관예우 근절책의 제시를 기다리고 싶다. 혹자는 이와 같은 방안의 시행이 판․검사들에게 너무 가혹하다고 비판할지 모른다. 그러나 전관예우가 사법의 낙후성을 나타내는 가장 큰 징표인 점을 감안하여 그런 측면이 있다고 하더라도 과감하게 시행해나갔으면 한다.
      여러 방책들의 효율적인 시행 후 전관예우가 더 이상 국민들의 주목을 끌지 못하는 맑은 사회가 되었을 때, 우리는 훌쩍 법의 지배가 실현되는 선진사회로 넘어가 있을 것이다. 법의 지배를 함에 있어서 가장 중심적 역할을 하는 사법이 부끄러운 전관예우의 행태를 벗어나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한다면 이는 바로 명실상부한 법의 지배로 연결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예랑, "현직 부장판사 ‘전관예우’ 비판 글"

      2 "헤럴드경제"

      3 신 평, "한국의 사법개혁" 높이깊이 2011

      4 "조선일보"

      5 "조선일보"

      6 김주영, "전관예우의 발생구조 및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방향" 서울시립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9 : 2002

      7 한상희, "전관예우방지법"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7 (17): 217-224, 2011

      8 천광암, "전관예우 일본선 상상조차 할 수 없어/법-검 갈등 계속 땐 국민 신뢰 잃을 것"

      9 "오마이뉴스"

      10 "서울신문"

      1 황예랑, "현직 부장판사 ‘전관예우’ 비판 글"

      2 "헤럴드경제"

      3 신 평, "한국의 사법개혁" 높이깊이 2011

      4 "조선일보"

      5 "조선일보"

      6 김주영, "전관예우의 발생구조 및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방향" 서울시립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9 : 2002

      7 한상희, "전관예우방지법"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7 (17): 217-224, 2011

      8 천광암, "전관예우 일본선 상상조차 할 수 없어/법-검 갈등 계속 땐 국민 신뢰 잃을 것"

      9 "오마이뉴스"

      10 "서울신문"

      11 "서울신문"

      12 "서울신문"

      13 김재곤, "서울 구속사건 ‘싹쓸이’ 수임: 개업 3년도 안 된 판․검사 출신변호사들"

      14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사법선진화를 위한 개혁 (상)" 2006

      15 김선수, "사법개혁리포트" 박영사 2008

      16 김도현, "사법개혁과 법관인사제도― 정당한 사법권력의 창출을 위하여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9) : 69-96, 2005

      17 법률신문, "법률신문 2008. 11. 27.자 사설"

      18 "법률신문"

      19 문화일보, "문화일보, 2006. 10. 17.자, 31면 사설"

      20 동아일보, "동아일보 2013. 4. 13.자 8면 기사"

      21 사법개혁위원회, "국민과 함께 하는 사법개혁" 2005

      22 김재훈, "공직임용제도와 공직부패" 한국경제학회 60 (60): 137-176, 2012

      23 윤동호,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의 정당성과 필요성"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2 (22): 1-20, 2011

      24 "경향신문"

      25 김희수, "검찰공화국, 대한민국" 삼인 2011

      26 申平, "朴正熙 時代의 司法府, 그에 대한 憲法的 省察― 司法權 獨立의 問題를 中心으로 ―" 한국공법학회 31 (31): 5-5, 2002

      27 강준만, "‘전관예우’ 이데올로기" 인물과 사상 8-, 2007

      28 Prillman William, "The Judiciary and Democratic Decay in Latin America: Decling Confidence in the Rule of Law Westport" Praeger 2000

      29 Chodosh Hiram E., "Global Justice Reform"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5

      30 Rinaldi Sergio, "Corruption Dynamics in Democratic Societies"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AW JOURNAL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0.912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