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成化譜』에서는 權幸의 후손들이 어떤 지위에 이르렀는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였다. 그러한 사례를 들면 鄕吏 · 官人 · 僧侶 등 職役에 따라 鄕職 · 武散階 · 州縣軍職, 官職 · 封君號,...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48076
2006
Korean
911
KCI등재
학술저널
271-301(31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成化譜』에서는 權幸의 후손들이 어떤 지위에 이르렀는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였다. 그러한 사례를 들면 鄕吏 · 官人 · 僧侶 등 職役에 따라 鄕職 · 武散階 · 州縣軍職, 官職 · 封君號,...
『成化譜』에서는 權幸의 후손들이 어떤 지위에 이르렀는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였다. 그러한 사례를 들면 鄕吏 · 官人 · 僧侶 등 職役에 따라 鄕職 · 武散階 · 州縣軍職, 官職 · 封君號, 僧階 · 僧職 등 다양한 것이 있었다. 그 가운데 고려후기의 관인의 경우 최종 관직 또는 최고 관직으로서 여러 개를 兼하였다고 하더라도 원칙적으로 ‘官職’은 하나만 기재하였는데, 문무 반직, 수령직, 검교직, 동정직과 더불어 문산계 등이 있었다.
특히 본품 관직이 가장 많았던 것은 하는 일을 나타낼 뿐 아니라 해당 관인의 지위를 표현하는 기능도 함께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고려말에는 문산계가 관직의 품계와 일치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분명하지만, 여전히 高麗後期의 관제 운영의 중심은 前期와 같이 관직에 있었던 것이다. 服飾을 정하거나 祿俸과 科田의 다소가 모두 본품 관직과 관련되었던 것은 그러한 사정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결국 『成化譜』의 고려후기 관직은 그 당시 인물의 관직 기재 원칙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고려말 관제 운영의 특징을 알려주고 있다고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onghwabo(成化譜)〉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titles which the descendents of Gwon Haeng receiv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se titles ranged from Hyangjik, Military Service Rank(武散階), and Chuhyongunjik for the local function...
The 〈Seonghwabo(成化譜)〉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titles which the descendents of Gwon Haeng receiv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se titles ranged from Hyangjik, Military Service Rank(武散階), and Chuhyongunjik for the local functionaries(鄕吏) to government official titles(官職) and Bonggunho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Monk Rank(僧階) or Monk Titles(僧職) for the monk. Although the government officials could hold down more than one positio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Goryeo, such as Titles of Civil and Military branches(文武班職), District magistrate titles(守令職), Geomgyojik, and Dongjongjik, as well as the Civil Service Rank(文散階) only one position, usually the highest, was included in the registry.
The Bonpumgwanjik(official government titles) was usually recorded because it not only demonstrated the individual’s responsibilities but also displayed his status as a government official. While this was of course closely related to the trend towards matching the Civil Service Rank(文散階) title given to the official’s grade which emerged during the final period of Goryeo, the government structure during the latter half of Goryeo was managed in much the same grade-based manner as during the early period of Goryeo. The fact that the type of ornament which was worn by officials, as well as the Rokbong(salaries) and Kwajon(rank land) which they received, was heavily dictated by one‘s rank clearly reflects this reality. As such, the Government posts recorded in the 〈Seonghwabo〉 shed some light on the principles used to Register government post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structure during the latter half of Goryeo.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고려시대 본품항두(本品行頭)" 53 : 2004
2 "고려시대 中書門下省宰臣 연구" 一志社 2000
3 강은경, "고려 戶長層의 형성과 그 지위:高麗時代 戶長層 硏究" 혜안 2002
4 "高麗時代의 淸要職에 대한 고찰:高麗時代 官階·官職 硏究"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5 朴龍雲, "高麗時代의 文散階:高麗時代 官階·官職 硏究" 고려대출판부 52 : 1997
6 "高麗時代의 同正職" 1969
7 "高麗時代 尙書省 硏究" 景仁文化社 2000
8 "高麗時代 守令의 京職 兼帶" 95 : 2003
9 "高麗時代 守令職의 除授 資格" 55 : 2002
10 "高麗時代 中樞院 硏究"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1 "고려시대 본품항두(本品行頭)" 53 : 2004
2 "고려시대 中書門下省宰臣 연구" 一志社 2000
3 강은경, "고려 戶長層의 형성과 그 지위:高麗時代 戶長層 硏究" 혜안 2002
4 "高麗時代의 淸要職에 대한 고찰:高麗時代 官階·官職 硏究"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5 朴龍雲, "高麗時代의 文散階:高麗時代 官階·官職 硏究" 고려대출판부 52 : 1997
6 "高麗時代의 同正職" 1969
7 "高麗時代 尙書省 硏究" 景仁文化社 2000
8 "高麗時代 守令의 京職 兼帶" 95 : 2003
9 "高麗時代 守令職의 除授 資格" 55 : 2002
10 "高麗時代 中樞院 硏究"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11 閔賢九, "高麗後期 安東權氏 家門의 展開 元 干涉期의 政治的 位相을 中心으로" 5 : 1996
12 李益柱, "高麗後期 兼職制의 연구 忠烈王代 4司 관직의 겸직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인문과학연구소 9 : 2002
13 "高麗 祿俸制의 整備와 運營實態 및 그 性格" 2-, 1980
14 "高麗 前期 兼職制에 對하여" 張東翼19761979
15 정병완, "韓國族譜의 舊譜序 比較硏究" 1986
16 "解題 安東權氏 成化譜에 대하여" 1992
17 "科田法의 成立과 그 性格" 37-, 1982
18 "私田 弊策과 科田法" 1986
19 "田柴科制度의 制定 및 그 內容" 1980
20 李鎭漢, "武班의 構成과 그 地位" 37 : 1998
21 "朝鮮前期 姓貫體系와 族譜의 編纂體制" 1992
22 심승구, "朝鮮初期 族譜의 刊行形態에 관한 硏究" 89 : 2000
23 "朝鮮初期 官階의 構造와 機能" 서울大學校 博士學位 論文 1993
24 김기덕, "封爵制의 變化와 封君制의 施行:高麗時代 封爵制 硏究" 청년사 1998
25 "安東權氏 사례를 통해 본 高麗社會의 一斷面 '成化譜'를 참고로 하여" 94 : 2005
26 "勳官 '檢校'考 그 淵源에서 起論하여 鮮初 整備過程에 미침" 1966
27 "兩班과 官職" 1980
28 EDWARD W, "1476年 安東權氏 族譜와 1565年 文化柳氏 族譜 그 性格과 意味에 대한 考察" 198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2-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2.254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