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의 이성이기론(二性二氣論)과 그 비판 = ‘Two-Nature Two-Ki Theory’ of Habin(河濱) and Its Criticis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빈 성리설의 특징은 ‘二性二氣論’과 ‘『中庸』의 喜怒哀樂과 『禮記』의 七情은 다르다’는 주장으로 요약된다. 二性二氣論에 입각하면 퇴계와 고봉 등 여러 학자들의 성리설을 각각...

      하빈 성리설의 특징은 ‘二性二氣論’과 ‘『中庸』의 喜怒哀樂과 『禮記』의 七情은 다르다’는 주장으로 요약된다. 二性二氣論에 입각하면 퇴계와 고봉 등 여러 학자들의 성리설을 각각의 本旨에 맞게 이해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또한 『中庸』의 喜怒哀樂과 『禮記』의 七情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인식하면 七情을 둘러싼 여러 무의미하고 불필요한 논쟁을 예방할 수 있다.
      論者는 하빈의 ‘二氣論’과 ‘『中庸』의 喜怒哀樂과 『禮記』의 七情은 다르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적극 동의한다. 그러나 하빈의 ‘二性論’에 대해서는 그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하빈의 二性論은 결국 기존의 ‘性命과 形氣’를 二性으로 간주한 것이다. 그런데 하빈은 ‘形氣’에 대해서 ‘理’로 규정하기도 하고 ‘氣’로 규정하기도 하여 일관된 입장을 견지하지 못했다. 하빈의 이러한 논법은 수긍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다.
      하빈의 二氣論은 사실 기호학파에서 氣를 지각의 주체인 ‘心氣(마음)’와 욕망의 근원인 ‘形氣(몸)’로 구분해서 논하는 흐름과 궤를 같이하는 것인바, 그렇다면 이는 ‘하빈의 독창적 주장’은 아닌 것이다. ‘二性論’은 하빈의 독창적 주장이라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그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하빈의 진정한 공헌은 ‘『中庸』의 喜怒哀樂과 『禮記』의 七情은 다르다’는 것을 명확히 해명한 데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hilosophical features of Habin(河濱 愼後聃) summarize the argument that “we have two natures and two Ki(氣)” and that “Zhong Yong(中庸)'s xi nu ai le(喜怒哀樂, pleasure, anger, sorrow, joy) and Li Ji(禮記)'s Chiljung(七情, S...

      The philosophical features of Habin(河濱 愼後聃) summarize the argument that “we have two natures and two Ki(氣)” and that “Zhong Yong(中庸)'s xi nu ai le(喜怒哀樂, pleasure, anger, sorrow, joy) and Li Ji(禮記)'s Chiljung(七情, Seven Feelings) are different.” Based on the two-nature two-Ki theory, there is a way to understand the theories of various scholars such as Toegye and Gobong. Also, a clear percep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Zhong Yong(中庸)'s xi nu ai le and Li Ji(禮記)'s Chiljung can prevent many meaningless and unnecessary disputes over the issue.
      I strongly agree with the arguments of “two-Ki theory” and “Zhong Yong's xi nu ai le and Li Ji's Chiljung are different.” But I find it hard to acknowledge the validity of Habin's “two-nature themory.” Habin's “two-nature themory” is what eventually considered the existing “xingming(性命) and xingqi(形氣)” as two natures. Habin's argument is very difficult to accept.
      Habin's “two-Ki theory” is in fact in line with the current trend of discussing Ki(氣) as the mind which is the subject of perception and the body that is the source of desire. So this is not Habin's original theory. “Two-nature theory” is Habin's original theory, but it's hard to accept its validity. Then, Habin's real contribution lies in clarifying that “Zhong Yong's xi nu ai le and Li Ji's Chiljung are differ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