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논의의 변천 과정과 배경 분석을 통해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군의 1970년대 후반 작전통제권이 유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논의의 변천 과정과 배경 분석을 통해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군의 1970년대 후반 작전통제권이 유엔...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논의의 변천 과정과 배경 분석을 통해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군의 1970년대 후반 작전통제권이 유엔군 사령관에서 한미연합사령관으로 이양된 박정희 대통령 통치 시기부터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조건’이 충족 되리라고 판단되는 문재인 대통령 통치 시기인 2022년대 전반기로 기간적 범위를 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결정은 한미 간의 상호 합의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사안이기 때문에 미국의 한반도 안보전략과 이해관계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미국의 전략적 이익이 감소할 경우 주한미군 병력유지에 따르는 비용과 책임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시작전 통제권의 한국측 전환에 동의할 가능성이 충분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는 미국의 한반도 안보전략과 이익이 감소할수록 한국 측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결정이 탄력을 받는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둘째, 북한의 정세 변화에 따라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결정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북한의 군사도발 수위가 높아질수록, 이에 대응하는 우리의 군사력이 상대적으로 열세하다고 인식될수록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추진에 제동이 걸릴 수 있는 것이다.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을 추진하기로 결정한 2007년과 2017년 모두 북한의 군사력이 남한보다 상대적으로 우세하다는 인식이 압도적으로 높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노무현 정부시절에는 북한의 군사도발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에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을 추진하는데 추진력을 얻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국가안보에는 자주국방, 동맹, 군비통제, 군사외교 등 다양한 안보기제가 작용하지만, 대통령의 성향과 정권이 주로 국가안보에 무게를 두는지 자주국방에 중점을 두는지에 따라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을 추진하는 입장과 결과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2000년 이후의 정책결정을 살펴보았을 때, 진보성향의 노무현, 문재인 정부는 자주국방을 국정목표로 삼고 통수권 차원에서 조속한 시기에 환수하려는 적극적 의지를 표명했다. 반면 보수성향의 이명박, 박근혜 정부는 기본적으로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을 추진하면서도 북한의 위협에 따른 국내안보환경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조건과 시기를 조정했다.
본 연구는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논의의 변천과정과 배경을 통해 정책결정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환경들을 평가함으로써, 한국군에게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이 최종적으로 이양되기 까지 정책 추진에 있어서 고려해야할 교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시작전 통제권을 조속하게 반환하기 위해서는 한국군의 독자적인 능력 강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고 완성해가기 위해서는, 먼저 정권의 이념적 틀 속에서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문제를 가둬놓지 않고, 북한의 위협에 대한 독자적 대응 능력을 조속하게 마련하기 위해 힘써야 하며, 이를 위해서 한미 간의 군사동맹훈련 등을 적극적 활용하고 외교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나가는 다차원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factors to affect the policy decision by background analysis and reviewing the discussion history on the handov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roops. The study scope was limited from President Chung Hee 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factors to affect the policy decision by background analysis and reviewing the discussion history on the handov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roops. The study scope was limited from President Chung Hee Park’s regime when the operational control right had been transferred from the commander of the UN Forces to the commander of the US Forces Korea in late 1970s till President Jae In Moon’s regime when the conditions for the handov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had been determined to be satisfied in early 2022.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on the handov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roops can be affected by the security strategies and changes of interests i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it can be realized by mutual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USA. In case that strategic benefits to USA was declined, the US was highly likely to agree the handover of the control to lessen the costs and burden to maintain the troops of the US Forces Korea.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decision on the handov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roops picked up speed as the security strategies and benefits in the Korean peninsula to USA were declined. Second, the decision on the handover could be affected by the changes of the political situation in North Korea. As the level of the North Korean military provocation was raised and the South Korean military power to respond this was perceived weaker, driving force of the handover could be decl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n the North Korean military power was relatively superior to South Korea both in 2007 and 2017 when the handover of the control was determined to be handled. However, the driving force on the handover of the control seemed to be added during President Moo Hyun Roh’s regime since the military provocation potential from North Korea was relatively low. Third, although a variety of security measures could be functioned such as independent national defense, alliances, control of armaments, military diplomacy, and so on, the positions and outcomes to pursue the handover of the control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Presidents and their regimes focused on national security or independent national defense. With respect to the policy decisions after 2000 when the handover of the control was officially driven in full swing, liberal governments including Moo Hyun Roh’s and Jae In Moon’s set the independent national defense as the national policy goal and showed the active will to takeover the control with the supreme command as soon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conservative regimes including Myung Bak Lee’s and Geun Hye Park’s responded to the changes of domestic security environment from the North Korean threats more sensitively to adjust the conditions and timing while they tried the handover of the control basically. Some lessons were raised from this study to consider the policy follow up until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roops is ultimately handed to the Korean Forces upon evaluation of the core factors to affect the decision making on the policy through background analysis and reviewing the discussion history. To takeover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roops promptly, strengthening for independent capability of the Korean Forces should be required beforehand. Therefore, to drive and complete the handover policy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roops in a stable manner, the issue on the handover should not be trapped within the ideological framework of the regime but try to prepare the independent reaction capability against the North Korean threats. To do so, multidimensional strategies are necessary such as active utilization of military alliance exercises between South Korea and USA and maintaining amicable relationship with them, diplomatical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외교의 길, 한승주, (서울: 올림, , 2017
2. 국방정책론, 한용섭, (서울: 박영사, , 2012
3. 국제정치학, 박상식, (서울: 집문당, , 1995
4. 국제관계이론, 이상우, (서울: 박영사, , 2001
5. 조소받는 혈맹,, 고청명, 아리랑 메아리, 년 7월 30일, , 2020
6. 안보문제연구소, 국방대, 범국민 안보의식 론조사〜2017), , 2008
7. 세계화 국가전략, 한용섭, (서울: 21세기 정책연구원, , 1995
8. 미국의 안보정책,, 이상현, 송대성 편, 주변국 안보정책과 우리의 대응 전략: 9․11 테러사태 이후(경기: 세종연구소, , 2003
9. 북한의 군사전략,, 정영태, 한반도 전략평가 〜2010(서울: 국방대학 교 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09), , 2009
10. America's Pacific Century, Clinton, Hillary, vol. 189, , 2011
1. 외교의 길, 한승주, (서울: 올림, , 2017
2. 국방정책론, 한용섭, (서울: 박영사, , 2012
3. 국제정치학, 박상식, (서울: 집문당, , 1995
4. 국제관계이론, 이상우, (서울: 박영사, , 2001
5. 조소받는 혈맹,, 고청명, 아리랑 메아리, 년 7월 30일, , 2020
6. 안보문제연구소, 국방대, 범국민 안보의식 론조사〜2017), , 2008
7. 세계화 국가전략, 한용섭, (서울: 21세기 정책연구원, , 1995
8. 미국의 안보정책,, 이상현, 송대성 편, 주변국 안보정책과 우리의 대응 전략: 9․11 테러사태 이후(경기: 세종연구소, , 2003
9. 북한의 군사전략,, 정영태, 한반도 전략평가 〜2010(서울: 국방대학 교 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09), , 2009
10. America's Pacific Century, Clinton, Hillary, vol. 189, , 2011
11. 국제정치 패러다임, 박재영, (서울: 법문사, , 2002
12. 대통령 취임사 전문, 박근혜, 행정안전부 국기기록원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 http://pa.go.kr/research/contents/speech/index.jsp(검색일: 년 5월 29일), , 2021
13. 약소국 외교정책론,, 이석호, 이상우․하영선 편, 현대국제정치학(서울: 나 남, , 1992
14. 탈냉전과 동맹이론,, 전재성, 한국정치학회 년도 학술회의(2000. 12. 6. 〜18.) 발표논문, , 2000
15. IMF 시대와 한미관계,, 이대우, 정책과제보고서 98-05(세종연구소, , 1998
16. 국방개혁과 안보외교, 황병무, (서울: 오름, , 2009
17. 한국군의 군제 개혁사, 윤우주, (한성애드컴, , 2010
18. Rationalist Explanation for War?, Kirshner, Jonathan, vol. 10, no.1, , 2000
19. Why Alliances Endure or Collapse, Walt, Stephen M., vol. 39, no. 1, , 1997
20. 북한의 위기와 선군정치, 오경섭, (서울: 도서출판 시대정신, , 2015
21. 한국외교 반세기의 조명, 한승주, (서울: 나남, , 1993
22. 이라크 파병과 국가이익,, 김성한, 21세기 한국외교 대전략(동아시아연구 원, , 2009
23. 한국의 신 군사전략 개념,, 박창희, 국가전략, 제17권 3호, , 2011
24. 군사분계선과 남북한 갈등, 조성훈, (서울: 군사편찬연구소, , 2012
25. 뉴테러리즘의 오늘과 내일, 문광건,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 2003
26. 노무현, 시대의 문턱을 넘다, 김종대, (서울: 나무와숲, , 2010
27. 신국제질서와 한반도의 통일, 임용순,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1993
28. 한미 안보협력 50년의 재조명, 서주석,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 1996
29. Alliance Theory: A Neorealist First Cut, Snyder, Glenn H., vol. 44, no. 1, , 1990
30. 전시작전 통제권 오해와 진실, 류병현, (서울: 플래닛미디어, , 2006
31. 한국과 미국의 군사안보관계,, 서주석, 김계동 외 공편, 한미관계론(서울: 명인문화사, , 2014
32. The Future of Power. Issues and Insights, Nye, Joseph S., vol. 11, no. 8, , 2011
33. 미국의 GPR과 주한미군의 장래,, 한용섭, 주한미군 조정과 동북아 국가의 대 응전략(서울: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문제연구소, , 2004
34. 북한의 군사위협을 바로 알자,, 김구섭, 한국발전리뷰, , 2010
35. 북한의 권력승계에 관한 연구,, 설경화,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36. 파키스탄-인도-북한의 핵정책,, 정영태, 연구총소 -12(서울: 통일 연구원, 2002), , 2002
37. 한미동맹의 분석: 지속과 변화, 윤정원, (서울: 화랑대연구소, , 2009
38. The Security Dilemma in Alliance Politics, Snyder, Glenn H., vol. 36, no. 4, , 1984
39. 한국의 적정 방위비 분담 연구,, 남창희, 국가전략, 제7권 제2호, , 1999
40. 한 미확장억제정책위원회 소개,, 천명국, 합참, 제50호(서울: 합동참모본 부, , 2012
41. 동북아 전략환경과 한․미 동맹,, 박봉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6집 1호, , 2004
42. 북한 군사전략과 군사력의 변화,, 김태현, 한반도 전략평가 (서울: 국 방대학교 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2), , 2012
43. 사실들이 명백히 보여주는 것은,, 홍명훈, 우리민족끼리, 년 8월 14 일, , 2019
44. 육군 패권주의와 해공군의 저항,, 김종대, 주간동아, 년 6월 12일), , 2012
45. 북한문제 해결은 과연 가능한가?,, 백학순, 정세와 정책, 제168호, , 2010
46.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지휘통일,, 박휘락, 국방정책연구, 제24권 제3호, , 2008
47. 한미군사지휘체계의 변동, 1971-1978, 한석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13
48. 21세기 한미 전략동맹 구현의 과제,, 엄태암, 국가안보와 전략, 제9권 제4 호, , 2009
49. Transforming Korea-US Defense: The Agenda Ahead, Weitz, Richard, vol. 19, no. 1, , 2014
50. 김정은 정권의 출범과 정치적 과제,, 김갑식, 통일정책연구, 제21권 제1호, , 2012
51. 미국 외교 정책의 일방주의의 기반,, 백창제, 국가전략, 제9권 제1호, , 2003
52. 김정일의 선군리더십과 조선인민군,, 이성권,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12
53. 첨단기술전력에 의한 비핵억제전략,, 권태영, 전략연구, 제3호, , 2004
54. (국방부 부대변인), 일일 정례 브리핑, 문홍식, 년 6월 11일, , 2020
55. 트럼프 행정부의 세계전략과 한반도,, 이대우, 세종정책브리프, 제 2019-02호, , 2019
56. 한미 전략동맹과 한국군의 대비방향,, 정경영,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대외 발 표논문집, , 2008
57. 북한과 인도-파키스탄의 핵 정책 비교,, 이상근, 전환기 한국 안보현안과 전 망(서울: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문제연구소, , 2014
58. 한국의 안보 딜레마와 한미동맹의 가치,, 정천구, 통일전략, 제12권 제3호, , 2012
59.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논의의 이상 기류,, 김종대, D&D Focus, (6월호, , 2009
60.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이슈와 정책방향,, 부형욱, 신안보연구, 제178권, , 2013
61. 한미동맹 50년 : 법적 쟁점과 미래의 전망, 한용섭, (서울: 백산서당, , 2004
62. An Emprical Typology of International Military Alliance, Russett, Bruce M., vol. 15, no. 2, , 1971
63.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한국의 안보과제,, 김강령, 해병대전략연구소 안보논 단Ⅲ, , 2009
64. 한미 연합방위체제의 구조조정방안 모색,, 이수형, 국제정치논총, 제40집 제3호, , 2000
65. 국제사회 대북제재의 현황과 경제적 영향,, 박동국, 박병철, 평화학연구 , 제 11집 제1호, , 2010
66. 더욱 로골화되는 강점자의 날강도적 본색,, 진광, 우리민족끼리, 년 9 월 24일, , 2019
67. 이상희 국방장관의 퇴행적 국방개혁 비판,, 김종대, 월간조선, 년 1 월), , 2008
68. 한미동맹의 변화와 자주국방 정책의 역사,, 박민형, 한국제정치학회(KAIS) 60주년 기념 연례학술회의발표 논문, , 2016
69. 한미동맹의 내부적 역동서: 분석틀의 모색,, 신욱희, 국가전략, 제7권 제2호, , 2001
70. 9․11 이후 미국의 대외정책 전환과 그 의의,, 김종완, 정세와 정책 -1 호(경기: 세종연구소, 2003), , 2003
71. 우주 발사체 고체연료 사용 제한 완전 해제,, 이주형, 국방일보, 년 7 월 29일, , 2020
72. 동맹이론을 통한 한미전략동맹의 함의 분석,, 김준형, 국제정치연구, 제12 집 제2호, , 2009
73.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과 한미동맹의 제문제,, 이상현, 군사논단, 제50호, , 2007
74. 전시작전권 환수는 왜 번번이 무산되어왔나?, 정욱식, 황해문화, 제109호, , 2020
75. A Balance Strategy: Reprogramming the Pentagon for a New Age, Gates, Robert M., vol. 88, no. 1, , 2009
76. 전시 작전통제권 한국군 환원과 한반도 평화,, 김재철, 한국동북아논총, 제 38호, , 2006
77.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의 역사적 경험과 쟁점,, 임수호, 한국정치연구, 제18 집 제2호, , 2009
78. 한미연합작전체제와 작전통제권에 관한 연구,, 이서영, 국방참모대학 연구보 고서, , 1996
79.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미동맹관계의 변화,, 이기종, 고황정치학회보, 제2권, , 1999
80. 미래 합동작전개념에서 지상군의 중심적 역할,, 김정익, 년 육군전투발 전: 대전환기 정예화선진육군의 비전과 전략(서울: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8), , 2008
81. 전시작전 통제권 환수 연기, 무엇이 문제인가?,, 문정인, 내일을 여는 역사, 제58호, , 2015
82. 9․11 테러사태 이후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반도,, 이동희, 정책연구과제 -12(서울: 외교안보연구원, 2001), , 2001
83. A New Kind of Korea: Building Trust Between Seoul and Pyongyang, Park, Geun-hye, vol. 90, no. 5, , 2011
84.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및 한반도 동맹정책,, 신성호, EAI 국가안보패널 보고서, 제39호, , 2009
85.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연기에 따른 쟁점과 과제,, 형혁규, 이슈와 논점(국회 입법조사처, 년 7월 2일자), , 2010
86. Lilliputians’ Dilemmas: Small States in International Politics, Keohane, Robert O, vol. 23, no. 2, , 1969
87. 위기의 장군들: 권력과 진급을 향한 별들의 전쟁, 김종대, (서울: 메디치미디어, , 2015
88.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과 인도ㆍ태평양전략,, 박원곤, 국방연구, 제62권 제4호, , 2019
89. 한미동맹에서의 작전통제권의 의미에 관한 연구,, 유상범, 국방대학교 안전보장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90. 칼날위의 평화: 노무현 시대 통일외교안보 비망록, 이종석, (서울: 개마고원, , 2014
91. 한미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준비의 진단과 대비,, 김재철, 아시아연구, 제 13권 제1호, , 2010
92.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연기 및 재연기에 관한 연구,, 장순휘,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93.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과 신연합방위체계의 효율성,, 박창희, 국방정책연구, 제26집 제2호, , 2010
94.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정책의 변경요인 분석과 대안, 김재철, 한국동북아논 총, 제18집 4호, , 2013
95.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미관계-변화와 전망,, 박병철, 통일전략, 제12집 제3호, , 2012
96. 한국의 미사일 적극방어(Active Defense)체제 구축 방향,, 박휘락, NEW ASIA(신아시아)(Autumn, , 2009
97. 미국의 맞춤형 억제전략과 북한의 핵위협 해소 방안,, 한용섭, 국방연구, 제 50권 제2호, , 2007
98. 북한 핵미사일 공격 위협 시 한국의 대안과 대비방향,, 박휘락, 국방연구, 제56권 제1호, , 2013
99. 사회안보이론의 한국적 활용: 도입, 채택, 활용, 보완,, 김병조, 국방대학교 안 보총서, 제4호, , 2012
100. 북한 장사정포 대비 방어체계(C-RAM)필요성과 발전방향,, 김종국, 주간국 방논단, 제1426호, , 2012
101. 안보와 자주성의 딜레마: 비대칭 동맹이론과 한미동맹, 이상철, (서울: 연경문화 사, , 2004
102. 한미 동맹군사구조와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정책 연구,, 김훈, 경기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 2018
103. [단독]한미 상반기 훈련 연기하자 코로나에 미국이 제안,, 이근평, 중앙일 보, 년 2월 25일, , 2020
104. 이명박 정부의 대외정책 변화에 따른 안보정책 추진방향,, 김재철, 서석 사회 과학논총, 제1집 제1호, , 2008
105. 21세기 전장 환경에 대한 재검토 및 군사혁신에 관한 연구,, 노훈, 권태영, KRIS 정책연구보고서(09-01) (서울: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2009
106. 미국의 신군사정책과 아․태지역 및 대한 군사전략 전 망,, 윤현근, 유재갑, 이성규, 정책연구보고서 94-3 , (서울: 국대원 안보문제연구소, , 1994
107. 관계적 계약이론과 한미 전략동맹에서의 잔여통제권 문제,, 이수형, 한국과 국제정치, 제27집 제3호, , 2015
108. 국제정치이론 관점에서 본 오바마 행정부의 외교안보정책,, 안문석, 국제정치 논총, 제51집 제3호, , 2011
109. 미국의 베트남 개입 확대와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 1963-1965,, 조진구, 국 방정책연구, 2006년 봄, , 2006
110. 박정희의 동아시아 인식과 아시아⋅태평양 공동사회 구상,, 박태균, 역사비 평, 2006년 8월호, , 2006
111. 이승만 대통령과 한미동맹 : 동맹의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장훈각, 사회과학 논총, 제42집 1호, , 2011
112. 트럼프 행정부 국가안보전략 2017의 시사점과 한국의 대 응,, 최강수,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 제17-32호, , 2017
113. 포괄적 안보시대의 뉴테러리즘에 대비한 한국의 대응전략,, 이삼기,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114. 김정일 체제의 지배이데올로기 연구: 선군정치를 중심으로,, 서옥식, 경기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115. 동맹딜레마 극복을 위한 한국의 대미 동맹전략의 발전방향,, 김기덕, 전략연 구, 제56호, , 2012
116. 부시독트린의 재해석-미국 외교의 변화 가능성과 관련하여,, 권용립, 사회과 학연구, 제25권 제1호, , 2009
117. 1998〜2007년 로동신문 분석을 통해 본 북한의 선군정치 논 리,, 정성임, 통일문제연구, 제21권 제2호, , 2009
118. 부시 2기 외교정책의 딜레마: 미국 및 세계 여론의 제약요인,, 김성한, 이한울, 국제정치논총 , 제46집 제1호, , 2006
119. 참여정부의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추진 배경의 평가와 교훈,, 박휘락, 군사, 제90호, , 2014
120.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관련 쟁점사항 분석과 한국안보의 과제,, 김재철, 동북 아연구, 제21권 제2호, , 2006
121. 오바마 행정부 국제주의 외교정책 이념의 역사적 유산과 실제,, 남궁곤, 국제 정치논총, 제50집 제1호, , 2010
122.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정책 추진방향, 박영호, 통 일정책연구, 제22권 제1호, , 2013
123. 헌법상 군사제도에 관한 연구: 한반도 작전 지휘권을 중심으로,, 안광찬, 동국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2
124. North Korea’s WMD capability and the regional military balance: A U. S. perspective, Bennett, Bruce W., vol. 14, no. 2, , 2009
125. 북핵문제의 복합성, 미국의 딜레마, 그리고 동북아 안보의 변화,, 박인휘, 한 국외교사논총, 제28집 제2호, , 2007
126. 오바마 행정부의 동북아시아 외교전략과 우리 정부의 정책방향,, 김종욱, 통 일정책연구, 제18집 제1호, , 2009
127. Toward an Alliance of Moderates: The Nuclear Crisis and Trilateral Policy Coordination, Park, Ihn-hwi, vol. 16, no.2, , 2004
128.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정책 비교 연구,, 장혁, 경남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129. Alliance and Asymmetry : An Alternative to the Capability Aggregation Model of Alliance, Morrow, James D., vol. 4, , 1991
130. 20세기 한국의 대 베트남 관계와 인식: 1945년 해방이후를 중심으로,, 윤충로, 사회와역사, 제97집, , 2013
131. 북한 핵보유 상황 대비 자위적 선제공격론의 개념과 전략적 선 택방향,, 권태영, 신범철, 전략연구 , 제51호, , 2011
132. 1965년 한일국교정상회의와 베트남파병을 둘러싼 미국의 대한 외교정 책,, 전재성,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6-1, , 2004
133. 동맹 모델과 한국의 작전통제권 환수정책: 노태우․노무현 정부의 비교,, 서욱, 경 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134. 대북정책과 국제관계이론: 4자회담과 햇볕정책을 중심으로 비판적 고 찰,, 김용호, 한국정치학회보, 제36집 제3호, , 2002
135. 한국 정부의 작전통제권 전환 결정 분석: 대통령의 문제표현을 중심으 로,, 고대원, 평화연구, 제18권 제2호, , 2010
136. 노무현 대통령의 자주국방인식: 노무현 대통령 연설문집 분석을 중심으로,, 엄기홍, 허재영, 동서연구 , 제 24권 제4호, , 2012
137. 미국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총괄 리처드 롤리스가 밝힌 한미동맹의 진실,, 허만섭, 신동아, 2007년 8월호, , 2007
138.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정책에 대한 결정과정 연구: Allison 모델을 중심 으로,, 엄태천, 경찰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21
139. 한반도의 긴 평화와 한미동맹: 삼위일체+1 구조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전망,, 김일영, 국방정책연구, 제24권 제3호, , 2008
140. 동맹이론을 중심으로 본 한미동맹에 있어서의 전시작전 통제권 환수의 의미,, 정기웅, 사회과학연구, 제48집 제1호, , 2009
141. 국방개혁 정책결정과정 연구: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비교를 중심 으로,, 이양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142. 북한은 현상유지 국가인가: 김정일 시기 북한의 국가성향 고찰, 국제 정치논총, 우승지, 제53집 제4호, , 2013
143. 오바마 행정부와 트럼프 행정부의 동아시아 전략: 연속성과 단절에 대한 평가,, 공민석, 사회과학연구, 제34집 제4호, , 2018
144.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의 정치적 결정에 관한 연구: 정책흐름 모형을 중심 으로,, 박상중,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145. 중견국가와 한국의 외교안보정책: 노무현정부의 동맹재조정 정책을 중심 으로,, 이수형, 국방연구, 제52권 1호, , 2009
146. 유훈통치(遺訓統治)의 관점에서 바라본 현행 북한헌법 전문(前文)에 관 한 연구,, 전우석, 법학연구, 제26권 제2호, , 2015
147. 한국군 국방개혁의 변화와 지속: 818계획, 국방개혁2020, 국방개혁307 을 중심으로,, 권영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148. 북‧일수교협상(1990-2014)의 재검토: 로즈노(James N. Rosenau)의 분석틀 적용의 유용성,, 박희숙,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149.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정책의 변경요인 분석과 대안: 한 미의 국가이익 을 중심으로,, 김재철, 한국동북아논총, 제18권 제4호, , 2013
150. 한국의 베트남‧이라크전 파병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로즈노 이론을 중심으로,, 이병록,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151. 국방정책결정과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정책 사례 를 중심으로,, 임종권,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9
152. 한국군의 작전통제권 변동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정치와 국내정치의 연 계를 중심으로,, 송재익,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153. 동맹의 안보 딜레마와 포기-연루의 순환: 북핵문제를 둘러싼 한미 갈등 관계를 중심으로,, 이수형, 국제정치논총, 제39집 제1호, , 1999
154. 자주국방 실현을 위한 적정국방비에 관한 연구: 한반도 주변위협을 고려 한 적정 국방비,, 최진욱,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155. 부시 행정부 출범 이후 북한의 안보전략 변화: 핵무기-안보 교환 전 략의 등장, 진화, 전환?,, 김진환, 2013년 북한연구학회 하계학술회의, , 2013
156. 한미 동맹관계 변화가 한국군의 군사력건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960년대~2017년까지),, 육중관,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21
157.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이후 유엔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정치‧군사‧법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조태만, 국방대학교 연구논문, , 2007
158. 외교정책결정과 대통령의 믿음체계에 관한 연구: 참여정부의 전시작전 통제권 조정 결정을 중심으로,, 김상원,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159. 한미동맹 재조정과 동맹 딜레마 : 주한미군 재배치, 전략적 유연성, 전시 작전 통제권 전환을 중심으로,, 소상섭,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160.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정책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세 가지 분석 수준을 활용한 주요 변수들의 영향력 평가,, 최윤미, 국방연구, 제62권 제4호, , 2019
161.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에 따른 유엔군사령부 재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미 동맹의 쟁점과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장광현,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9
162. 국방부 비밀계획, 국방개혁 2005의 실체: 국방개혁에는 쓸 돈 없 다는 청와대! 그러면 육군위주로 간다는 국방부!,, 김종대, 디엔디포커스, 제11호, , 2008
163. 국방개혁 입법과정에 영향 미치는 정치적 요인에 관한 연구: 노태우․노무 현․이명박 정부 국방개혁을 중심으로,, 김칠주,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