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원내 균혈증의 예방을 위한 정맥 수액의 병마개 소독관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for Measures to Control of Nosocomial Bacteremia Associated with Contaminated Rubber Caps of Intravenous Flui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37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자체내 방어능력의 저하, 기관지 튜브, 도뇨 튜브, 정맥주입 튜브 사용과 치료 자체나 치료과정을 통하여 미생물로 인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

      목적: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자체내 방어능력의 저하, 기관지 튜브, 도뇨 튜브, 정맥주입 튜브 사용과 치료 자체나 치료과정을 통하여 미생물로 인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사용하는 모든 기구는 무균적이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기구나 주입하는 용액은 가장 오염되기 쉬운 것으로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침습시술(invasive procedure)로 인한 감염은 비교적 예방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정맥주사용 수액 고무마개의 수분 잔존여부에 따른 오염여부를 조사하고, 소독방법에 따른 수액 고무마개에 대한 소독 전. 후의 균주를 비교하여 수액 고무마개로 인한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방법: 900병상 규모의 일개 대학병원에 입고된 수액 중 총 95개의 수액을 무작위 표본 추출하였다. 수액 고무마개에 대한 오염 여부 조사를 위해서 3차에 걸쳐 수액마개의 배양을 하였고, 수분있는 마개에 대한 소독액의 살균력을 조사하기 위해서 70% 알콜솜 단독과 70% 알콜 및 베타딘 솜을 사용하여 소독 전후의 수액마개를 배양하였다.
      결과:
      1) 수액 고무마개에 대한 오염여부 조사는 3차에 걸쳐 총 95개의 수액마개 중 50개(52.6%)에서 수분이 고여 있었고, 이중 28개(56.0%)에서 병원성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수분이 없는 45개의 마개에서는 1개(2.2%)에서만 세균인 분리되었는데 이는 Pseudomonas species, Burkholderia picketti 이었다.
      2) 수액 고무마개 세균배양 검사에서 동정된 세균은 29개 중 15개(51.7%)에서 Burkholderia picketti가 배양되어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으며, 그밖에 Pseudomonas species, Glucose Nonfermenting Bacilli, Alcinetobacter lowffii, Acaligenes species 등이 분리되었다.
      3) 수액고무마개 소독방법에 따른 살균력은 70% 알콜솜만 가지고 소독하거나, 70% 알콜솜과 베타딘솜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모두에서 100% 살균력을 나타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수액 고무마개에 수분이 묻어있는 경우 수액오염의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70% 알콜솜으로 철저히 소독함으로써 예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We have experienced sporadic cases of nosocomial bacteremia/sepsis due to contaminated rubber caps of intravenous(Ⅳ) fluid bottles from May through August in 1996.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sources of the infections, and developed the...

      Background: We have experienced sporadic cases of nosocomial bacteremia/sepsis due to contaminated rubber caps of intravenous(Ⅳ) fluid bottles from May through August in 1996.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sources of the infections, and developed the measures to control this type of nosocomial infections.
      Methods: During initial investigation of an outbreak of sporadic nosocomial bacteremia we could not found possible sources of infections from medical care providers. However, some rubber caps of Ⅳ fluid bottles showed water drops on top of them, and were suspected as possible sources of the infection. A total of 95 caps including 50 wet caps and 45 dry cap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nursing stations and pharmacy receiving area for culture. We also investigated if routine disinfection methods were effective to sterilize the contaminated caps as follows; Twenty of 50 wet caps were randomly selected and were divided into 2 groups. Caps of one group were disinfected with 70% isopropanol alcohol wipes and the other with 70% isopropanol alcohol wipes plus betadine. All caps were subjected to culture before and after disinfections. Cultures were performed on blood agar plate after inoculating by using swab.
      Results: The result of culture showed that 128 of 50(56%) wet caps were contaminated by Burkholderia picketti, Pseudomonas species, Glucose Nonfermenting Bacilli, Acinetobacter lowffii and Alkaligenes species. One of 45(2.2%) dry caps grew Burkholderia picketti and Pseudomonas species. Both 70% isopropanol alcohol and 70% isopropanol alcohol plus betadine wipes sterilized contaminated caps effectively when they were used for disinfecting caps.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wet caps of Ⅳ fluid bottles are indicative of possible contaminations by microorganisms. And use of alcohol wipe and/or betadine to disinfect contaminated caps at time preparing for infusion of Ⅳ fluids can be one of effective sterilization method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