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에서 대화자 간 감정의 이해는 메시지의 내용만큼이나 중요하다. 비언어적 요소에 의해 감정에 관한 더 많은 정보가 전달되고 있기는 하지만, 텍스트에도 화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17461
2010
Korean
181.305
KCI등재
학술저널
157-175(19쪽)
1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의사소통에서 대화자 간 감정의 이해는 메시지의 내용만큼이나 중요하다. 비언어적 요소에 의해 감정에 관한 더 많은 정보가 전달되고 있기는 하지만, 텍스트에도 화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
의사소통에서 대화자 간 감정의 이해는 메시지의 내용만큼이나 중요하다. 비언어적 요소에 의해 감정에 관한 더 많은 정보가 전달되고 있기는 하지만, 텍스트에도 화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언어적 표지가 다양하고 풍부하게 녹아들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언어공학에 활용할 수 있는 감정 온톨로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그 구성요소를 분석하는 데 있다. 텍스트 기반 감정 처리 분야의 선행 연구가 감정을 분류하고, 각 감정의 서술적 어휘 목록을 작성하고, 이를 텍스트에서 검색함으로써, 추출된 감정의 정확도가 높지 않았다.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감정 온톨로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감정 표현의 범주를 기술 대상과 방식에 따라 6개 범주로 분류하고, 이들 간 상호 대응관계를 설정함으로써, 멀티모달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세분화된 감정을 분류할 수 있되, 감정 간 차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24개의 감정 명세를 선별하고, 더 섬세하게 감정을 분류할 수 있는 속성으로 강도와 극성을 설정하였다. 셋째, 텍스트에 나타난 감정 표현을 명시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경험자 · 기술 대상과 방식 · 언어적 자질에 관한 속성을 도입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감정분류는 Plutchik의 분류와 호환성을 갖고 있으며, 언어적 요소의 기술에서 국제표준의 태그세트를 수용함으로써, 다국어 처리에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고려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standing dialogue participant's emotion is important as well as decoding the explicit message in human communication. It is well known that non-verbal elements are more suitable for conveying speaker's emotions than verbal elements. Written texts...
Understanding dialogue participant's emotion is important as well as decoding the explicit message in human communication. It is well known that non-verbal elements are more suitable for conveying speaker's emotions than verbal elements. Written texts, however, contain a variety of linguistic units that express emotion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components for constructing an emotion ontology, that provides us with numerous applications in Human Language Technology. A majority of the previous work in text-based emotion processing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 of emotions, the construction of a dictionary describing emotion, and the retrieval of those lexica in texts through keyword spotting and/or syntactic parsing techniques. The retrieved or computed emotions based on that process did not show good results in terms of accuracy. Thus, more sophisticate components analysis is proposed and the linguistic factors are introduced in this study. (1) 5 linguistic types of emotion expressions are differentiated in terms of target (verbal/non-verbal) and the method (expressive/descriptive/iconic). The correlations among them as well as their correlation with the non-verbal expressive type are also determined. This characteristic is expected to guarantees more adaptability to our ontology in multi-modal environments. (2) As emotion-related components, this study proposes 24 emotion types, the 5-scale intensity (-2~+2), and the 3-scale polarity (positive/negative/neutral) which can describe a variety of emotions in more detail and in standardized way. (3) We introduce verbal expression-related components, such as ‘experiencer’, ‘description target’, ‘description method’ and ‘linguistic features’, which can classify and tag appropriately verbal expressions of emotions. (4) Adopting the linguistic tag sets proposed by ISO and TEI and providing the mapping table between our classification of emotions and Plutchik's, our ontology can be easily employed for multilingual process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진, "얼굴의 물리적 특징 분석 및 얼굴 관련 감성 어휘 분석 - 20대 한국인 여성 얼굴을 대상으로 -" 한국인지과학회 13 (13): 1-10, 2002
2 반세범, "얼굴 특징점의 지각적 위계구조에 기초한 표정인식 신경망 모형" 12 (12): 77-89, 2001
3 이창환, "언어적 특성을 이용한 '심리학적 한국어 글분석 프로그램(KLIWC)'의 개발과정에 대한 고찰" 한국인지과학회 16 (16): 93-121, 2005
4 황재원, "문장 감정 강도를 반영한 개선된 자질 가중치 기법 기반의 문서 감정 분류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36 (36): 491-497, 2009
5 Birdwhiste, R., "“Paralanguage twenty-five years after Sapir.” Communication in face to face Interaction, ed" J. Laver/S. Hutchenson, Penquin 1972
6 Liu, B., "“Opinion Mining”, ch. 11, in Web Data Mining" Springer 2006
7 Osherenko, A, "“Lexical Affect Sensing: Word Spotting Revisited”, Emotional Computer Systems and Interfaces" 2008
8 "http://incom.org/code/projekte/projekt_anzeigen.php?"
9 Al Masum, S. M., "enseNet: A Linguistic Tool to Visualize Numerical-Valance Based Sentiment of Textual Data" ICON-2007 147-152, 2007
10 Strapparava, C., "WordNet-Affect: an Affective Extension of WordNet" 1083-1086, 2004
1 박수진, "얼굴의 물리적 특징 분석 및 얼굴 관련 감성 어휘 분석 - 20대 한국인 여성 얼굴을 대상으로 -" 한국인지과학회 13 (13): 1-10, 2002
2 반세범, "얼굴 특징점의 지각적 위계구조에 기초한 표정인식 신경망 모형" 12 (12): 77-89, 2001
3 이창환, "언어적 특성을 이용한 '심리학적 한국어 글분석 프로그램(KLIWC)'의 개발과정에 대한 고찰" 한국인지과학회 16 (16): 93-121, 2005
4 황재원, "문장 감정 강도를 반영한 개선된 자질 가중치 기법 기반의 문서 감정 분류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36 (36): 491-497, 2009
5 Birdwhiste, R., "“Paralanguage twenty-five years after Sapir.” Communication in face to face Interaction, ed" J. Laver/S. Hutchenson, Penquin 1972
6 Liu, B., "“Opinion Mining”, ch. 11, in Web Data Mining" Springer 2006
7 Osherenko, A, "“Lexical Affect Sensing: Word Spotting Revisited”, Emotional Computer Systems and Interfaces" 2008
8 "http://incom.org/code/projekte/projekt_anzeigen.php?"
9 Al Masum, S. M., "enseNet: A Linguistic Tool to Visualize Numerical-Valance Based Sentiment of Textual Data" ICON-2007 147-152, 2007
10 Strapparava, C., "WordNet-Affect: an Affective Extension of WordNet" 1083-1086, 2004
11 Plutchik, R., "The Nature of Emotions" 89 : 344-350, 2001
12 Boucouvalas, A. C., "Text-to-emotion engine for real time internet communication" 164-, 2002
13 Esuli, A., "SentiWordNet: A Publicly Available Lexical Resource for Opinion Mining" 417-422, 2006
14 Pennebaker, J. W., "Psychological aspects of natural language use: our words, our selves" 54 : 547-577, 2003
15 ISO 24610-1, "Language resources management: Feature Structure, Part 1: Feature structure representation"
16 문현구, "HMM을 이용한 채팅 텍스트로부터의 화자 감정상태 분석" 28 (28): 127-129, 2001
17 "Global Robot Academia at Waseda Univsersity"
18 Russell, J. A., "Everyday Conceptions of Emotion: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y, Anthropology and Linguistics of Emo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5
19 Jakobson, R., "Essais de linguistique générale" Les Éditions de Minuit 1963
20 Ekman, P., "Emotions and Life: Perspectives form Psychology, Biology, and Evolu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21 Plutchik, R., "EMOTION Theory, Reserch, and Experience" Academic press 1980
22 임성수, "Computing with Words 기반 SMS로부터의 사용자 감정 추론" 34 (34): 69-70, 2007
23 Plutchik, R., "Circumplex models of personality and emotions" 89 : 344-350, 1997
24 "Affective Computing"
25 Subasic, P., "Affect analysis of text using fuzzy semantic typing" 9 : 483-496, 2001
비순응 영역으로의 운동 잔여효과의 번짐에 미치는 삼차원 깊이 불연속의 효과
헛디딤 탐지의 신경 상관 :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10-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7 | 1.178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