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그리고 사회기술능력과의 인과관계연구 = The Analysis on the Causal Model Social Skill Ability of those with Mental Disorder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14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velop a causal model linking between social support, leisure satisfaction, social skill ability and health factor for mental disorder disability in disabled community association.
      Poor social skill abilities and abnormal behaviors are key features of mental disorder disability and comprise important aspects of social functioning. Social skills ability also seem to be related to the presence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support for mental disorder disabilit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vere disabled women who are currently serviced by center and 188 were us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data. Pasw and amos statistical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dat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ocial support, leisure satisfaction, social skill ability for mental disorder disability. Seco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showed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leisure satisfaction and social skill ability was significant. Thus to improve social skill ability for mental disorder disability they need to be satisfied with a focus on the mediation effects of leisure satisfaction factor then again it makes a contribution in enhancing the social skill a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velop a causal model linking between social support, leisure satisfaction, social skill ability and health factor for mental disorder disability in disabled community association. Poor social skill abili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velop a causal model linking between social support, leisure satisfaction, social skill ability and health factor for mental disorder disability in disabled community association.
      Poor social skill abilities and abnormal behaviors are key features of mental disorder disability and comprise important aspects of social functioning. Social skills ability also seem to be related to the presence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support for mental disorder disabilit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vere disabled women who are currently serviced by center and 188 were us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data. Pasw and amos statistical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dat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ocial support, leisure satisfaction, social skill ability for mental disorder disability. Seco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showed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leisure satisfaction and social skill ability was significant. Thus to improve social skill ability for mental disorder disability they need to be satisfied with a focus on the mediation effects of leisure satisfaction factor then again it makes a contribution in enhancing the social skill 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사회기술능력과의 관계모형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를 두고 있다. 이는 정신장애인이 사회기술훈련으로 습득한 기술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기술능력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신장애인들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마련하여 정신장애인의 재활의 근본적 문제를 매개적 관계인 여가활동을 통해서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을 강조하고있다.
      정신장애인 188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사회기술능력과의 관계를 PASW통계프로그램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인 AMOS를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사회기술능력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을 통한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는 사회기술능력에 직접적 영향력이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는 여가만족을 통해서 사회기술능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는 매개적인 역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이러한 여가활동의 영향력은 사회기술능력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 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는 사회기술능력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상호관계 속에서 여가활동의 매개적 역할을 통해서 사회기술프로그램의 개발과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사회기술능력과의 관계모형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를 두고 있다. 이는 정신장애인이 사회기술훈련으로 습득한 기술을 강화하기 위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사회기술능력과의 관계모형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를 두고 있다. 이는 정신장애인이 사회기술훈련으로 습득한 기술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기술능력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신장애인들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마련하여 정신장애인의 재활의 근본적 문제를 매개적 관계인 여가활동을 통해서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을 강조하고있다.
      정신장애인 188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사회기술능력과의 관계를 PASW통계프로그램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인 AMOS를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사회기술능력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을 통한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는 사회기술능력에 직접적 영향력이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는 여가만족을 통해서 사회기술능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는 매개적인 역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이러한 여가활동의 영향력은 사회기술능력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 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는 사회기술능력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상호관계 속에서 여가활동의 매개적 역할을 통해서 사회기술프로그램의 개발과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설진화, "품앗이형 장애자녀 보호체계에 관한 부모의 인식: Q-방법론적 분석에 대한 토론" 1 : 181-183, 2003

      2 원형중, "청소년의 주관적 여가경험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8 (8): 1991

      3 심경순, "직업활동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과 가족 지지, 자존감과 낙인지각 간의 인과관계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6) : 25-49, 2007

      4 한은선,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 12 (12): 79-93, 2001

      5 김이영, "조망지향적 사회기술 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기능과 증상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17 (17): 140-150, 2008

      6 박상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19 (19): 629-643, 2000

      7 심경순,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모형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3 (13): 215-241, 2009

      8 김희국, "정신장애인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8 (18): 331-340, 2009

      9 박수영, "정신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여가태도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10 이지훈,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 (8): 2002

      1 설진화, "품앗이형 장애자녀 보호체계에 관한 부모의 인식: Q-방법론적 분석에 대한 토론" 1 : 181-183, 2003

      2 원형중, "청소년의 주관적 여가경험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8 (8): 1991

      3 심경순, "직업활동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과 가족 지지, 자존감과 낙인지각 간의 인과관계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6) : 25-49, 2007

      4 한은선,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 12 (12): 79-93, 2001

      5 김이영, "조망지향적 사회기술 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기능과 증상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17 (17): 140-150, 2008

      6 박상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19 (19): 629-643, 2000

      7 심경순,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모형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3 (13): 215-241, 2009

      8 김희국, "정신장애인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8 (18): 331-340, 2009

      9 박수영, "정신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여가태도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10 이지훈,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 (8): 2002

      11 황태연, "정신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프로그램" 6 (6): 1-248, 2002

      12 송경희,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13 홍혜영, "정신장애인 취업욕구를 위한 주간재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14 김희정, "정신장애로부터의 회복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정신간호학회 18 (18): 379-389, 2009

      15 설진화, "정신분열병 환자의 직업재활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2001

      16 심경순, "정신분열병 환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2002

      17 이영실, "정신보건 분야의 사회기술 훈련방법의 모형" 4 : 483-498, 1999

      18 이준상, "재가지체장애인의 사례관리 실천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9

      19 이중섭, "재가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3 (13): 111-140, 2009

      20 강미경,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137-155, 2010

      21 김선규, "장애인의 여가활동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23-147, 2010

      22 심상신, "장애인을 위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개선 방안" 12 (12): 98-105, 1995

      23 나운환, "장애인복지법에서의 정신보건 정책에 대한 토론" 1 : 18-21, 1999

      24 박정아, "장애인 여가실태에 관한 연구" 31-52, 2009

      25 김송석, "장애인 여가문화 모형개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25, 2008

      26 황보옥,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4 (14): 299-324, 2010

      27 나운환,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3 (3): 79-106, 2002

      28 원형중, "여가활동 기능척도의 번역 개발을 위한 연구" 6 (6): 101-106, 1989

      29 박선아,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능력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0 (20): 107-128, 2009

      30 김향지, "사회적 기술 중재전략이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기술, 문제행동 및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7

      31 김선하, "사회기술향상 프로그램과 약물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사회기술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 (20): 255-277, 2004

      32 이현주,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157-173, 2011

      33 김소임, "낮병원 정신장애인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 환경특성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34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35 배병렬, "구조방정식모델링" 청람출판사 2009

      36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37 朴炫宣, "貧困靑少年의 學校 適應柔軟性"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8 Forness. Steven, R., "Treating social skill deficits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19 (19): 2-14, 1996

      39 Loumidis, K. S., "Training Social Problem-solving Skill to Reduce Maladaptive Behaviours in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s :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fference Factors" 10 (10): 217-237, 1997

      40 Tam, S. F., "The effects of a computer skill training programme adopting social comparison and self-efficacy enhancement strategies on self-concept and skill outcome in trainees with physical disabilities" 22 (22): 655-664, 2000

      41 Hochwarter, W. A., "The Interaction of Social Skill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Performance" 91 (91): 482-489, 2006

      42 McCol, M. A.,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coping" 41 (41): 395-407, 1995

      43 Bridges, D., "Social-skill deficits and learning disabilities" 14 (14): 85-, 1997

      44 Suter, C., "Social support, social stress and health among slightly disabled elderly" 42 (42): 204-215, 1997

      45 Turner, R. J., "Social support and social structure : a descriptive epidemiology" 35 (35): 193-212, 1994

      46 Perez, J. E., "Social skill imbalances in mood disorders and schizophrenia" 42 (42): 27-36, 2007

      47 García-Bóveda, R. J., "Social skill and social support in schizophrenia" 7 (7): 61-71, 2007

      48 Ihnen, G. H., "Social perception and social skill in schizophrenia" 80 (80): 275-286, 1998

      49 Walker, Z. M., "Social Skill Development through Math : How to weave life skills into a classroom to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17 (17): 296-301, 2012

      50 St-Jean-Trudel, E., "Relationships of social support, well-being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men and women with anxiety disorder: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100 (100): 148-152, 2009

      51 Rudnick, "Psychiatric leisure rehabilitation : conceptualization and illustration" 29 (29): 63-65, 2005

      52 Mortenson, S. T., "Interpersonal Trust and Social Skill in Seeking Social Support Among Chinese and Americans" 36 (36): 32-53, 2009

      53 Balakrishnan, P., "How to Win Through Social Skill" (6) : 1-3, 2007

      54 Mueser, K. T., "Expressed Emotion, Social Skill, and Response to Negative Affect in Schizophrenia" 102 (102): 339-, 1993

      55 McMahon. Colleen, M., "Evaluation of the Multiple Effects of a Social Skill Intervention" 20 (20): 35-50, 1994

      56 Nezu, A., "Effects of problem definition and formulation on decision making in the social problem-solving process" 12 (12): 100-106, 1981

      57 Elliott, S. N., "Assessing and treating social skills deficits : A case study for the scientist-practitioner" 27 (27): 197-222, 1989

      58 Petrysher, Hawkins, "An evaluation of the social recreation component of a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 24 (24): 293-298, 2001

      59 Quinn, M. M., "A Meta-Analysis of Social Skill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7 (7): 54-64,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Persons Disabilies ->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RI Kore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Mycobiology -> 재활복지
      외국어명 : Mycobiology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7 1.53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