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제국주의를 표방한 일본에 의해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로 인해 인천, 원산과 더불어 개항도시로의 운명을 맞이했다. 1877년 부산구조계조약(釜山口租界條約)의 체결에 따라 초량왜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7569
-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부산은 제국주의를 표방한 일본에 의해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로 인해 인천, 원산과 더불어 개항도시로의 운명을 맞이했다. 1877년 부산구조계조약(釜山口租界條約)의 체결에 따라 초량왜관 ...
부산은 제국주의를 표방한 일본에 의해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로 인해 인천, 원산과 더불어 개항도시로의 운명을 맞이했다. 1877년 부산구조계조약(釜山口租界條約)의 체결에 따라 초량왜관 11만 평이 일본인을 위한 전관거류지로 개방됐다. 이후 동경에서 만주 신경을 잇는 대륙철도의 중간기착지인 부산에 시모노세키를 오가는 관부연락선이 취항하면서 철도와 조선, 기계, 일상용품 등 근대문물의 수입창구 내지 근대산업의 발상지가 되었다. 특히 1920년대 이후 일본으로의 도항을 원하는 전국의 노동자들이 몰려들면서 인구가 급격히 불어나고 대중적인 차원에서의 문화수용이 본격화됐다.
그러나 본래의 연구가 목표한 ‘개항기 도시민속’ 워낙 광범위한 터라 우선적으로 외형적으로 파악하기도 쉽고 그와 관련하여 다양한 생활문화의 도입과 변용을 관찰할 수 있는 건축유산 및 시설에 주목하고자 했다. 부산에는 일본인의 전관거류지가 확대된 이른바 ‘원도심’을 중심으로 외국인 왕래와 거주, 통상 등이 허용되면서 도심이 정비되고 각종 건축물이 지어졌다. 서구를 모방한 일제는 개화문명을 과시하고 침략을 정당화하기 위해 “왜색 짙은 의양풍(儀洋風,擬洋風)” 건물이 지어졌다. 즉 일본관리관청을 시작으로 1876~1910년 사이에 외국공관, 종교시설, 외국상사 건물 및 주택, 일제관청 및 주택 등이 지어졌다. 부산에 지어진 개항초기 건물은 일본인 도목수가 서양식으로 지은 것이었고, 개중에는 서양에서 건축술을 배운 일본인건축가들이 서양건축을 그대로를 본 따 지은 건물도 있었다. 그러나 서양풍이든 서양식 일본풍이든, 특히 주택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서 한국식이 가미되어갔다. 이를 식민주의적으로 비판하고, 나아가 반식민주의적, 탈식민주의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더불어 이를 일본 나가사키의 사례와 비교하여 이유를 찾아 비교하고자 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the overcoming of colonialism which is found on the remains at opening port cities in East Asia. The reason why colonialism is found on the remains is caused by the historical facts that Western empires and Japanese empire construct...
This study aims at the overcoming of colonialism which is found on the remains at opening port cities in East Asia. The reason why colonialism is found on the remains is caused by the historical facts that Western empires and Japanese empire constructed houses and establishments by superior modern thchniques. Because of it, it is accepted rightfully that the historical remains proves the superiority of the colonial emperials in modern times.
However the values of the historical remains must be decided subjectively by the accepters' standpoint formed nowadays. At the same time, 'modernity' is more useful concept than 'nationality' or 'tradition' to recognize and preserve the remains as cultural properties. At result, it is clarified that the modern historical remains at the opening port cities as Busan and Nagasaki are the sources of producing values of modern times in East Asia.
Tradition and Modernity and Korean Political Philosophy
K-MOOC 성균관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 Bi hwan Kim, Yutang Jin, Ji young Moon, Sang bok Ha, Baldwin Wong, Kyung rok Kwon, Zhuoyao(Peter) Li, Sung moon Kim, Jun tae KimTradition and Modernity and Korean Political Philosophy
K-MOOC 성균관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 Bi hwan Kim, Yutang Jin, Ji young Moon, Sang bok Ha, Baldwin Wong, Kyung rok Kwon, Zhuoyao(Peter) Li, Sung moon Kim, Jun tae Kim한국 민속의 이해
호서대학교 최정숙비디오게임에 대한 이해
COURSERA Leah Hackman 외 한 명소녀들을 위한 게임 만들기
TED Brenda Laur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