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2세아의 사회적 행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39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세아들이 또래 관계 형성에 있어 보이는 사회적 행동을 질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2세 반에서 2004년 1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관찰을 하였다. 2세 관찰을 통해서 영아들이 또래와의 관계 형성에 있어 보이는 접근 행동과, 또래 관계 형성에서 보이는 사회적인 기술과, 또래에게 수용되지 못하는 행동에 대한 이유를 알아보았다. 영아들은 또래와 관계를 맺는데 있어 보인 행동은 동조행동(따라하기, 동조적 반응 보이기), 친사회적 행동(갈등과 긴장 상태를 줄이는 행동, 양보하기, 부탁 들어주기나 편 들어주기), 참여 지연 행동을 보였으며, 이들이 또래와 관계를 맺는데 있어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지 못한 행동에 대한 이유는 진행 중인 활동이나 상호작용의 방해(일방적인 놀이 방해나 뺏기, 코드 맞추기에 실패), 오해(영아의 인상으로 인한 오해, 상황에 대한 오해), 우호적인 표현이 아닌 경우, 또래와 다른 수준의 사회적 행동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영아는 또래 관계에 있어 도덕적 판단보다는 ‘또래와 함께 하는 것’을 중요시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영아들의 또래 관계에 있어 역동적인 측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영아의 사회생활지도는 영아의 사회적 관계 형성의 특성을 바탕으로 개별적인 지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세아들이 또래 관계 형성에 있어 보이는 사회적 행동을 질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2세 반에서 2004년 1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관찰을 하였다. 2세...

      본 연구는 2세아들이 또래 관계 형성에 있어 보이는 사회적 행동을 질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2세 반에서 2004년 1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관찰을 하였다. 2세 관찰을 통해서 영아들이 또래와의 관계 형성에 있어 보이는 접근 행동과, 또래 관계 형성에서 보이는 사회적인 기술과, 또래에게 수용되지 못하는 행동에 대한 이유를 알아보았다. 영아들은 또래와 관계를 맺는데 있어 보인 행동은 동조행동(따라하기, 동조적 반응 보이기), 친사회적 행동(갈등과 긴장 상태를 줄이는 행동, 양보하기, 부탁 들어주기나 편 들어주기), 참여 지연 행동을 보였으며, 이들이 또래와 관계를 맺는데 있어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지 못한 행동에 대한 이유는 진행 중인 활동이나 상호작용의 방해(일방적인 놀이 방해나 뺏기, 코드 맞추기에 실패), 오해(영아의 인상으로 인한 오해, 상황에 대한 오해), 우호적인 표현이 아닌 경우, 또래와 다른 수준의 사회적 행동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영아는 또래 관계에 있어 도덕적 판단보다는 ‘또래와 함께 하는 것’을 중요시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영아들의 또래 관계에 있어 역동적인 측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영아의 사회생활지도는 영아의 사회적 관계 형성의 특성을 바탕으로 개별적인 지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is to study the social behaviors of 2-yeat olds to see the relationships with pee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servation at A child care center. from January to September in 2004. Through the observation, I analysed presentation and access rituals, the social skills the toddlers showed, and the reasons some actions rejected by peers. Toddlers showed alignment behavior(following and chasing the peers, reacting the alignment actions), prosocial behavior(reducing the conflict and troubles, concession, getting one's side), and onlooker behaviors. The reasons they failed to get the positive feedback were analysed disturbing the ongoing plays and interactions, misunderstanding, not showing friendly expressions, different level of social behavior from that of peers'. It looked like that toddlers accept 'being along with peer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ir relationship with peers, the adult should understand the dynamic aspect of peer relationship of toddlers, and the guidance should b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er relationship and directed to the individual needs of the toddlers.
      번역하기

      This essay is to study the social behaviors of 2-yeat olds to see the relationships with pee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servation at A child care center. from January to September in 2004. Through the observation, I analysed presentation and acce...

      This essay is to study the social behaviors of 2-yeat olds to see the relationships with pee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servation at A child care center. from January to September in 2004. Through the observation, I analysed presentation and access rituals, the social skills the toddlers showed, and the reasons some actions rejected by peers. Toddlers showed alignment behavior(following and chasing the peers, reacting the alignment actions), prosocial behavior(reducing the conflict and troubles, concession, getting one's side), and onlooker behaviors. The reasons they failed to get the positive feedback were analysed disturbing the ongoing plays and interactions, misunderstanding, not showing friendly expressions, different level of social behavior from that of peers'. It looked like that toddlers accept 'being along with peer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ir relationship with peers, the adult should understand the dynamic aspect of peer relationship of toddlers, and the guidance should b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er relationship and directed to the individual needs of the toddl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또래 관계 형성을 위한 사회적 행동
      • Ⅳ. 또래와의 관계 형성을 방해하는 행동
      •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또래 관계 형성을 위한 사회적 행동
      • Ⅳ. 또래와의 관계 형성을 방해하는 행동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석, "한국 유아의 연령별 발달 수준 확인 연구 0세에서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18 (18): 87-103, 1995

      2 김현주, "취원전 보육경험 유무에 따른 아동의 교실적응행동에 대한 교사의 신념" 2000

      3 김선규, "존재 물음과 존재 이해:하이데커의 「존재와 시간」을 중심으로" 2003

      4 원호택, "인간관계와 적응-삶을 위한 심리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5 임성혜, "유치원에서의 유아생활세계의 긴장과 갈등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유아교육연구" 21 (21): 85-109, 2001

      6 오채선, "유치원에서 유아들의 만남과 헤어짐에 관한 이해" 2000

      7 손인숙, "유아의 유치원 적응 관계 요인에 대한 연구" 2001

      8 최혜순,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교육" 학문사 1992

      9 김재은, "유아의 발달심리" 창지사 1991

      10 Zan, "유아를 위한 사회도덕성 교육" 19941999

      1 이영석, "한국 유아의 연령별 발달 수준 확인 연구 0세에서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18 (18): 87-103, 1995

      2 김현주, "취원전 보육경험 유무에 따른 아동의 교실적응행동에 대한 교사의 신념" 2000

      3 김선규, "존재 물음과 존재 이해:하이데커의 「존재와 시간」을 중심으로" 2003

      4 원호택, "인간관계와 적응-삶을 위한 심리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5 임성혜, "유치원에서의 유아생활세계의 긴장과 갈등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유아교육연구" 21 (21): 85-109, 2001

      6 오채선, "유치원에서 유아들의 만남과 헤어짐에 관한 이해" 2000

      7 손인숙, "유아의 유치원 적응 관계 요인에 대한 연구" 2001

      8 최혜순,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교육" 학문사 1992

      9 김재은, "유아의 발달심리" 창지사 1991

      10 Zan, "유아를 위한 사회도덕성 교육" 19941999

      11 Pica, "유아를 위한 동작 교육" 정민사 2004

      12 Smith,C.A, "유아들의 사회생활 교육" 지성애 역 (지성애 역): 1982

      13 구수연,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2004

      14 장혜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유치원초기 적응과의 관계" 2003

      15 허서옥,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만2세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상관연구" 2000

      16 구수연, "어린이집 재원 영아들의 새 학급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17 김현희, "아동의 경쟁스트레스가 회상능력 및 도와주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 1996

      18 진 밀러, "사회적 행동과 인간환경" 한울 1995

      19 이강이, "대물 다툼 상황에서 2세아의 또래 갈등 과정 분석" 1998

      20 Pelligrini, "교육현장에서 본 아동발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11995

      21 이정우, "개념-뿌리들 상하" 산해 2004

      22 김은열, "가족의 응집성과 유아의 자아개념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2002

      23 Mueller,E, "The origins of social skills and interaction of playgroup toddlers" 48 : 854-861, 1977

      24 Piaget,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Free Press 1965

      25 Mumme, "The infant as onlooker" 74 : 221-237, 2003

      26 Waters,E, "Social competence as a developmental construct" 3 : 79-97, 1983

      27 Ross, "Relationships and alliances in the social interactions of kibbutz toddlers" 1-17, 1992

      28 Oden, "Peer relationship development in childhood 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1982

      29 Eckerman, "Nonverval imitation and toddler's mastery of verbal means of achieving coordinated action" 34 : 142-152, 1996

      30 Eckerman,C.O, "Nonverbal imitation begets imitation and toddlers generation of games" 26 : 370-378, 1990

      31 Mueller,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1979

      32 Hartup,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103-196, 1983

      33 Norwood, "Friendship and peer culture in the early years" 1985

      34 Katz,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s role" NAEYC 1997

      35 Brownell,C.A, "Convergent development:Cognitive developmental correlates of growth in infant/toddler peer skills" 61 : 838-848, 1986

      36 Brownell,C.A, "Changes in corporation and self/other differentiation during the second year" 61 : 1164-1174, 1990

      37 Dodge, "Behavioral antecedents of peer social status" 1386-1399, 1983

      38 Mueller, "A developmental analysis of peer interactions among toddlers"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