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안군 무인도서 생태보전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of uninhabited island in Shinan-g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43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evaluated and leveled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for the setting of an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on uninhabited islands. The 20 uninhabited islands, which are scattered around the Sinan-gun region have been surveyed on field. As a result of study, uninhabited island off Shinan-gun was classified the absolute preservation areas(I), preservation areas(II), quasi-preservation areas(III), and a available areas(IV). These results evaluated 6 islands of Heuk-do, Jang-do, Soryong-do, Juk-do, Jisil-do, and Hajuk-do to be absolute preservation areas(I), the 8 islands of Jeo-do, Janggu Island, Ma-do, In-do, Gisang-do, Song-do, Sangjuk-do, and Daegwa-do to be preservation areas(II), the 3 islands of Sojang-do, Sosong-do, and An-do to be quasi-preservation areas(III), and the 3 islands of Sogi-do, Gahak-do, and Sojuk-do to be available areas(IV). Those islands selected as absolute preservation areas and preservation areas have especially outstanding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and are expected to be able for use as natural study fields or as outdoor laboratories.
      번역하기

      This study has evaluated and leveled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for the setting of an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on uninhabited islands. The 20 uninhabited islands, which are scattered around the Sinan-gun region have been surveyed on field. As ...

      This study has evaluated and leveled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for the setting of an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on uninhabited islands. The 20 uninhabited islands, which are scattered around the Sinan-gun region have been surveyed on field. As a result of study, uninhabited island off Shinan-gun was classified the absolute preservation areas(I), preservation areas(II), quasi-preservation areas(III), and a available areas(IV). These results evaluated 6 islands of Heuk-do, Jang-do, Soryong-do, Juk-do, Jisil-do, and Hajuk-do to be absolute preservation areas(I), the 8 islands of Jeo-do, Janggu Island, Ma-do, In-do, Gisang-do, Song-do, Sangjuk-do, and Daegwa-do to be preservation areas(II), the 3 islands of Sojang-do, Sosong-do, and An-do to be quasi-preservation areas(III), and the 3 islands of Sogi-do, Gahak-do, and Sojuk-do to be available areas(IV). Those islands selected as absolute preservation areas and preservation areas have especially outstanding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and are expected to be able for use as natural study fields or as outdoor laborator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동희, "화천 사명산 일대의 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 국토지리학회 38 (38): 115-126, 2004

      2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 "해안선 및 무인도의 현황조사 및 보호대책연구" 한국환경환경과학연구협의회 1994

      3 정철환, "한반도 남서해안 도초군도 무인도서의 지질 및 지형 특성" 도서문화연구원 (31) : 261-280, 2008

      4 장동호, "충남 연안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지형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73-95, 2009

      5 전영권, "지형자원 발굴과 활용방안 -영양 도엽을 대상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5 (15): 328-336, 2009

      6 엄기철, "지속가능한 국토연안축의 통합적 관리 방안" 국토연구원 2006

      7 환경부,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8 박의준,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신안)" 국립환경과학원 2003

      9 박의준,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도초도)" 국립환경과학원 2002

      1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자연경관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2002

      1 권동희, "화천 사명산 일대의 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 국토지리학회 38 (38): 115-126, 2004

      2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 "해안선 및 무인도의 현황조사 및 보호대책연구" 한국환경환경과학연구협의회 1994

      3 정철환, "한반도 남서해안 도초군도 무인도서의 지질 및 지형 특성" 도서문화연구원 (31) : 261-280, 2008

      4 장동호, "충남 연안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지형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73-95, 2009

      5 전영권, "지형자원 발굴과 활용방안 -영양 도엽을 대상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5 (15): 328-336, 2009

      6 엄기철, "지속가능한 국토연안축의 통합적 관리 방안" 국토연구원 2006

      7 환경부,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8 박의준,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신안)" 국립환경과학원 2003

      9 박의준,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도초도)" 국립환경과학원 2002

      1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자연경관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2002

      11 육근형, "우리나라 무인도서 관리 문제점과 정책방향" 1173 : 1-10, 2005

      12 장동호, "안면도 해안지형의 생태보존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49-67, 2009

      13 신안군, "신안군 통계연보" 2009

      14 이우성, "산지습지의 보전가치 평가를 통한 관리권역 설정 -경상남도 재약산의 산들늪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2 (12): 52-68, 2009

      15 서종철, "무인도서와특정도서자연생태계관리 현황 및 문제점" 3 : 89-100, 2004

      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목포·여수 도폭(1:250,000) 지질보고서" 2002

      1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과 계획적 관리방안(I)" 2008

      18 국립환경과학원, "2010년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세부계획"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