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예전의 자료를 가르치고 공부한다는 고전문학교육의 기본적 속성에 의거하여, 고전문학 교육의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자 주도하의 비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64909
2016
-
고전문학 ; 교육 ; 비교 ; 학습자 주도 ; 재미 ; 사례 보고 ; 대학 신입생 수업 ; Classic literature ; education ; comparison ; learner centered ; fun ; case reports ; freshmen`s Classes
KCI등재
학술저널
5-36(3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예전의 자료를 가르치고 공부한다는 고전문학교육의 기본적 속성에 의거하여, 고전문학 교육의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자 주도하의 비교 ...
이 글에서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예전의 자료를 가르치고 공부한다는 고전문학교육의 기본적 속성에 의거하여, 고전문학 교육의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자 주도하의 비교 활동’을 제안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갓 입학한 1학년 학생들의 첫 학기 수업에서 고전문학에 대한 재미를 찾게 하기 위해 ‘비교’ 활동을 진행한 사례 보고 형식을 갖추고 있다. 그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기획주제를 통해 고전문학교육, 혹은 고전문학과 재미를 연결시키는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었는데, 본고에서는 그 결과를 점검, 정리한 후 이를 대학의 국문과 수업에 적용하는 사례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비교’의 방식을 통해 고교 학습과 연계되면서도 입시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자발적으로 고전문학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방법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에서 ‘고전문학의 재미, 흥미, 의미’라는 기획주제 하에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하면서 ‘비교’가 지닌 ‘재미’와의 관련성을 밝혀내고, ‘비교’의 방식을 유형화 하였으며,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했다. ‘비교’의 방식은 ①원형(패턴)을 활용해 구체적 작품을 창작하는 방식 ②고전 작품의 현대적 작품으로의 변용 ③고전 작품의 구체적 경험에 입각한 현대적 재해석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 가운데 ①유형의 경우 그 원형의 활용 기준이 되는 단위에 따라 고전문학 수업을 재미있게 이끄는 구체적 방법이 본고에서 제시한 수준 이상으로 더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다. 또한 ②나 ③유형의 경우 역시 새로운 비교항들을 통해 창의적인 고전문학 학습 방법을 만들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런 차원에서 볼 때 본고에서 제시한 수업 사례는 필자가 재직 중인 대학과 학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비교의 방식에 기초를 두면서도 수업 내용은 학습자나 수업 상황의 변화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학습자들이 느끼는 재미의 양상에 따라 고전문학이 가지는 시대적 의미 또한 달라질 것이므로, 그 재미의 수준이 하향화되지 않으면서 갈수록 수업의 질을 높여가는 동력이 될 수 있어야 하리라고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 of allowing freshmen to learn cla ssic works with fun, using the comparison method, linking their lear ning with their high school day learning, and intriguing fun about cla ssic literature voluntarily away from the burd...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 of allowing freshmen to learn cla ssic works with fun, using the comparison method, linking their lear ning with their high school day learning, and intriguing fun about cla ssic literature voluntarily away from the burden of education for coll ege entrance examination. Towards that end, Korean Classic Literatu re Education Association’s papers on Classic Literature, Its Fun, Inter est, and Meaning were examined so 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 tween comparison and fun and to define three comparison methods, a nd this method was applied to actual classes. Of three methods: ① th e specific method - which is designed to lead classic literature class es with fun according to units which are the standard for the prototy pe utilization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creating specific works us ing a circle (pattern) - can be further developed in diverse ways tha n proposed herein; and there are sufficient possibility of developing c reative methods of studying classic literature using new comparison items ② if classic works are modified into modern works, and ③ if classic works are re-interpreted based on specific experiences. Accor ding to learners’ perceived patterns of fun, classic literature’s meanin g of today can also be differentiated. Not to lower the fun level, the method is expected to upgrade the class quality.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정, "흥미 변인을 고려한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교육의 방향"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7) : 5-37, 2014
2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3 조동일,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지식산업사 1995
4 강진옥,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태학사 1999
5 김흥규, "한국 고전문학과 비평의 성찰"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6 황혜진, "재미의 관점에서 본 <큰누님 박씨 묘지명(伯姊孺人朴氏墓誌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9) : 45-76, 2015
7 서인석, "연극적 놀이 텍스트로 읽는 <배비장전> - 고전의 재미를 찾는 방법의 한 사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7) : 39-68, 2014
8 김대행,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사상사 1992
9 하정일, "글쓰기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경진 2012
10 박경주, "규방가사의양성성" 월인 2007
1 김현정, "흥미 변인을 고려한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교육의 방향"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7) : 5-37, 2014
2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3 조동일,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지식산업사 1995
4 강진옥,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태학사 1999
5 김흥규, "한국 고전문학과 비평의 성찰"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6 황혜진, "재미의 관점에서 본 <큰누님 박씨 묘지명(伯姊孺人朴氏墓誌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9) : 45-76, 2015
7 서인석, "연극적 놀이 텍스트로 읽는 <배비장전> - 고전의 재미를 찾는 방법의 한 사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7) : 39-68, 2014
8 김대행,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사상사 1992
9 하정일, "글쓰기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경진 2012
10 박경주, "규방가사의양성성" 월인 2007
11 심우장, "구비서사의 놀이적 특성과 문화적 창조력"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6) : 61-92, 2013
12 조희정, "고전시가 비평 교육 연구 ― 탈연대기적 관점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한국어교육학회 (143) : 121-158, 2013
13 류수열, "고전시가 독서의 재미 요소 탐구-시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6) : 5-29, 2013
14 조희정, "고전시가 감상 국면의 재미 흥미 의미 - <백설이 자자진 골에>의 감정이입과 공감 체험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9) : 5-43, 2015
15 조광국, "고전소설교육에서 새롭게 읽는 재미: 홍계월의 양성성 형성의 양상과 의미- <홍계월전> ‘한중연 45장본’을 중심으로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8) : 65-93, 2014
16 김성룡, "고전문학교육과 고전문학교육학" 국어교과교육학회 8 : 2004
17 염은열, "고전문학 ‘학습(學習)’의 경험과 ‘재미’의 문제에 대한 논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8) : 37-63, 2014
18 신재홍, "고전 소설의 재미 찾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6) : 31-59, 2013
19 김성룡, "고전 문학의 재미와 고전 문학 교육의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8) : 5-35, 2014
20 서유경, "<심청전>의 근대적 변용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0) : 45-72, 2015
21 류수열, "<사미인곡>의 콘텍스트와 상호텍스트적 읽기" 한국독서학회 (21) : 81-109, 2009
22 최홍원, "<만언사>의 재미, 흥미와 소통의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0) : 5-43, 2015
‘이별(론)’의 텍스트 읽기 -‘재미ㆍ흥미ㆍ의미’의 상관적 시각에서
고소설 읽기 과정의 문제와 해석 주체-고등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3 | 1.33 | 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4 | 2.362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