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취약점 점검을 활용한 보안이벤트 검증 방법의 실증적 효과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90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사이버위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해킹 기술 또한 지속적으로 진화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기술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침입탐지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 IDS)은 사이버 공격에 대한 실시간 탐지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대부분의 기관에서 구축?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IDS가 탐지하는 보안이벤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들 대부분이 오탐(정상 통신을 공격으로 잘못 탐지)이기 때문에 모든 보안이벤트를 관제요원이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IDS가 탐지한 대용량 보안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실제 해킹공격의 발생여부를 자동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호대상 정보시스템에 대한 취약점 점검결과와 대용량 보안이벤트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실제 해킹공격의 발생여부를 자동으로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실제 보안업무 현장에서 수집된 보안이벤트 정보와 취약점 점검결과를 활용하여 제안 방법론의 유효성을 도출하기 위한 실증적 실험을 수행한다.
      번역하기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사이버위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해킹 기술 또한 지속적으로 진화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기술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사이버위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해킹 기술 또한 지속적으로 진화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기술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침입탐지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 IDS)은 사이버 공격에 대한 실시간 탐지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대부분의 기관에서 구축?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IDS가 탐지하는 보안이벤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들 대부분이 오탐(정상 통신을 공격으로 잘못 탐지)이기 때문에 모든 보안이벤트를 관제요원이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IDS가 탐지한 대용량 보안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실제 해킹공격의 발생여부를 자동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호대상 정보시스템에 대한 취약점 점검결과와 대용량 보안이벤트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실제 해킹공격의 발생여부를 자동으로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실제 보안업무 현장에서 수집된 보안이벤트 정보와 취약점 점검결과를 활용하여 제안 방법론의 유효성을 도출하기 위한 실증적 실험을 수행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yber threats on the Internet are tremendously increasing and their techniques are also evolving constantly.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is one of the powerful solutions for detecting and analyzing the cyber attacks in realtime. Most organizations deploy it into their networks and operate it for security monitoring and response service. However, IDS has a fatal problem in that it raises a large number of alerts and most of them are false positives. In order to cope with this problem, many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for the purpose of automatically identifying whether the IDS alerts are caused by real attacks or not.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lert verification method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ulnerability inspection results for real systems that should be protected and the IDS alerts. In addition, we carry out practical experiment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verification method using two types of real data, i.e., the IDS alerts and the vulnerability inspection results.
      번역하기

      Cyber threats on the Internet are tremendously increasing and their techniques are also evolving constantly.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is one of the powerful solutions for detecting and analyzing the cyber attacks in realtime. Most organization...

      Cyber threats on the Internet are tremendously increasing and their techniques are also evolving constantly.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is one of the powerful solutions for detecting and analyzing the cyber attacks in realtime. Most organizations deploy it into their networks and operate it for security monitoring and response service. However, IDS has a fatal problem in that it raises a large number of alerts and most of them are false positives. In order to cope with this problem, many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for the purpose of automatically identifying whether the IDS alerts are caused by real attacks or not.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lert verification method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ulnerability inspection results for real systems that should be protected and the IDS alerts. In addition, we carry out practical experiment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verification method using two types of real data, i.e., the IDS alerts and the vulnerability inspection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연구
      • Ⅲ. 보안관제 프로세스와 보안이벤트 분석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연구
      • Ⅲ. 보안관제 프로세스와 보안이벤트 분석
      • Ⅳ. 취약점 점검을 활용한 보안이벤트 검증 방법론
      • Ⅴ. 사례분석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문구, "사이버 국방 보안에 대한 연구" 11 (11): 18-22, 2013

      2 김규일, "보안관제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실증적 분석 기반 보안이벤트 자동검증 방법" 한국정보보호학회 24 (24): 507-522, 2014

      3 조호대, "공공 및 민간부문의 사이버침해사고 현황분석에 따른 대응방안" 한국콘텐츠학회 9 (9): 331-338, 2009

      4 T. Heyman, "Improving Intrusion Detection through Alert Verification" WOSIS, INSTICC Press 207-216, 2006

      5 K. Kim, "An Auto-verification Framework of IDS Alerts Based on Static and Dynamic Analysis" 65-68, 2014

      6 Sungtaek Chun, "An Alert Verification Framework Based on Semi-automated Vulnerability Inspection" 5-, 2013

      7 C. Kruegel, "Alert verification:determining the success of intrusion attempts" 2004 (2004): 2004

      8 Safaa O. Al-Mamory, "A Survey on IDS Alerts Processing Techniques" 2007

      1 이문구, "사이버 국방 보안에 대한 연구" 11 (11): 18-22, 2013

      2 김규일, "보안관제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실증적 분석 기반 보안이벤트 자동검증 방법" 한국정보보호학회 24 (24): 507-522, 2014

      3 조호대, "공공 및 민간부문의 사이버침해사고 현황분석에 따른 대응방안" 한국콘텐츠학회 9 (9): 331-338, 2009

      4 T. Heyman, "Improving Intrusion Detection through Alert Verification" WOSIS, INSTICC Press 207-216, 2006

      5 K. Kim, "An Auto-verification Framework of IDS Alerts Based on Static and Dynamic Analysis" 65-68, 2014

      6 Sungtaek Chun, "An Alert Verification Framework Based on Semi-automated Vulnerability Inspection" 5-, 2013

      7 C. Kruegel, "Alert verification:determining the success of intrusion attempts" 2004 (2004): 2004

      8 Safaa O. Al-Mamory, "A Survey on IDS Alerts Processing Techniques"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