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위논문] 簡易 崔岦 散文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804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icate the literacy of the Chinese proses which have been studied actively in the field of Korean-Chinese Study and to analyse the estimates suggested by the late Choson’s prose authors through the elaborated analysis on the proses of Kan-Yi(簡易) Choi Rip(崔岦: 1539~1612) who enormously affected on the creation of proses in the late Choson with creating restorative style’s proses.
      The study on the Chinese proses has two problems of present, reflecting on the Reception Theory and researching the critical alternative about theme-centered study’s atmosphere. The study on the Chinese proses which was specialized after 1980’s started on the theoric system of the late Choson’s Theory on the Ancient Proses, among these theories there were some representations of debates between the Ming’s restorative school and Tangsong school. Considering the literary atmosphere of the day that discussions about proses were profoundly accomplished since the 17th century, the theories between the restorative school and Tangsong school had obviously become the fresh stimulus, however these theories had an too inappropriate aspect to affect on the creation. In this point, the restorative proses in Choson are certainly distinguished from the restorative proses devoted themselves into Qin-Han’s proses in Ming. Choi Rip’s restorative proses which have the dual criticism of preservation and imitation of ancient style shows extremely the real aspects of the middle Choson’s proses, thus the exploration about this must be processed in direction of concentrating the aspects and processes of internal change out of the receptive views.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studies were focused on the works containing the serious themes and contents in advance, had the tendency of reading the aspects of thoughts and the fashion of literary world and cultural discourses. This is also one of the significant problems of literary study, but if this atmosphere were strengthened as the generous and dominating method, the value of literary works would have the meaning behind the range of history and philosophy, the standard of judging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would be also meaning-intentional elements such as satire and allegory. However the Chinese proses ave founded the unique literary world which melte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with the various formal experiments and expressional techniques as the various writing.
      Chinese proses had formed afresh currents distinguished from existing works in two aspects of theories and works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17th century. These are the works of restorative style, in other words, Qinhan-gomun(秦漢古文) or Eugomun(擬古文). The restorative proses which has the odd and grotesque characteristics brought about various discussions on selecting cannons, acquiring and imitation, styles and rhetorics by enlarging the prose’s study, creation and criticism from Tang and Sung proses to Qin-Han proses. Choi Rip was on the center of the discussions.
      Choi Rip’s proses which had been called creator of the history of GoMun with Yoon Keunsoo(尹根壽), was selected in anthology such as ByoelBon-DongMunSun(別本東文選), DongMun-PalGaSun(東文八家選), DongMun-GibSeong(東文集成) in the late Choson, as well as they were appraised by many critics such as Chang Yoo(張維), Kim Changhyoup(金昌協), Kim Changheup(金昌翕), Ahn Seokkyoung(安錫儆), and Cho Keungseop(曺兢燮) in various aspects.
      The analysis on expressional beauty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part in relation to this thesis's purpose was examined on the center of rhetorics and characters. Choi Rip used the technique of quotation and allusion many times as the method of suggesting or retorting the opinions and enforcing the persuasive power on his point of argument, placing them into elaborated forms he established the literary world which had more refined and exquisite formal beauty. The frequent uses of quotation and allusion i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proses, but Choi Rip’s proses have more deepen aspects than the 15th century’s prose authors such as the works of Kim Suohn(金守溫) and Kim Jongjik(金宗直) who used them in limits and Seo Keojeong(徐居正) who used them as a complementary sources. The intertextuality of Choi Rip’s proses like this brought about the denounces of preservation and imitation of the ancient style, caused the suspicion that had the relations the works of restoration school. But Choi Rip never devoted himself to existing texts without original authorship. He tried to create the individual and new works and reverse the common senses by distorting and transforming the original meanings, on occasions brought about the pleasant reading by parodying and performing pastiche intentionally.
      The formal characteristics like this are completed with characters such as ‘Ki(奇)’, ‘Kan(簡)’, ‘Ko(古)’. Choi Rip created works that had the unique and fanciful point of an argument on the basis of positive recognition about the function of proses and beauty, attained simple and significant expressional beauty of ancient proses through the prudent literary elaboration. Also he profoundly studied existing proses and reflected them into his works, as a result his works had the decorums of genre and typic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side, Choi Rip’s proses left behind outstanding works on the sides of not only the unique formal beauty, but also theme’s aspects. He formalized decorums of philosophy perfectly, expressed his own limits of class and pride as the author, and represented the insight on nature, art, human on the basis of the professional eyes on letters and pictures.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officials are easily found in his works, because he spent the whole life writing public documents except the period of local official. But he faithfully represented the speculative thoughts, individual desire and favors on literature and art in the 16th century’s Choson in his works with unique formal beauty.
      The description about the statue of the prose’s history is examined on the center of the comparison with the proses of the 15th centuries and spectrums on the late Choson’s criticism. Through the expression that the history of Gomun was created, Choi Rip’s proses are clearly discriminated with the early Choson’s proses such as commentary style and Tang-Sung proses. The discussions about Choi Rip on the late Choson’s criticism ran into two extreme way. On occasions, Choi Rip’s proses were criticized owing to the plagiarism of the restoration school’s works such as Li Mengyang(李夢陽) and Wang Shizhen(王世貞). This is not only because Choi Rip’s proses have the characteristics discriminated with general Tang and Sung proses and but also because there was a denunciation without any reason. It is regarded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Choi-Rip contacted with the restoration school’s works because he had been to Ming as the diplomat four times. But his proses have not only characteristics of Pre-Qin proses but also the style of Tang-Sung proses such as Han Yu(韓愈) and Ou-Yang Xiu(歐陽修). In this point there is no reasons about the relations with the restoration proses.
      When the professional discussions on proses were not yet come to the front, Choi Rip aroused big issues in the literary world on the basis of the epistemological conversion on proses through projecting the general thoughts and literary views of intellectuals of the day and author’s desire into the works which had unique formal beauty. After that, he brought about the various discussions of the creation and criticism of pro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icate the literacy of the Chinese proses which have been studied actively in the field of Korean-Chinese Study and to analyse the estimates suggested by the late Choson’s prose authors through the elaborated ana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icate the literacy of the Chinese proses which have been studied actively in the field of Korean-Chinese Study and to analyse the estimates suggested by the late Choson’s prose authors through the elaborated analysis on the proses of Kan-Yi(簡易) Choi Rip(崔岦: 1539~1612) who enormously affected on the creation of proses in the late Choson with creating restorative style’s proses.
      The study on the Chinese proses has two problems of present, reflecting on the Reception Theory and researching the critical alternative about theme-centered study’s atmosphere. The study on the Chinese proses which was specialized after 1980’s started on the theoric system of the late Choson’s Theory on the Ancient Proses, among these theories there were some representations of debates between the Ming’s restorative school and Tangsong school. Considering the literary atmosphere of the day that discussions about proses were profoundly accomplished since the 17th century, the theories between the restorative school and Tangsong school had obviously become the fresh stimulus, however these theories had an too inappropriate aspect to affect on the creation. In this point, the restorative proses in Choson are certainly distinguished from the restorative proses devoted themselves into Qin-Han’s proses in Ming. Choi Rip’s restorative proses which have the dual criticism of preservation and imitation of ancient style shows extremely the real aspects of the middle Choson’s proses, thus the exploration about this must be processed in direction of concentrating the aspects and processes of internal change out of the receptive views.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studies were focused on the works containing the serious themes and contents in advance, had the tendency of reading the aspects of thoughts and the fashion of literary world and cultural discourses. This is also one of the significant problems of literary study, but if this atmosphere were strengthened as the generous and dominating method, the value of literary works would have the meaning behind the range of history and philosophy, the standard of judging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would be also meaning-intentional elements such as satire and allegory. However the Chinese proses ave founded the unique literary world which melte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with the various formal experiments and expressional techniques as the various writing.
      Chinese proses had formed afresh currents distinguished from existing works in two aspects of theories and works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17th century. These are the works of restorative style, in other words, Qinhan-gomun(秦漢古文) or Eugomun(擬古文). The restorative proses which has the odd and grotesque characteristics brought about various discussions on selecting cannons, acquiring and imitation, styles and rhetorics by enlarging the prose’s study, creation and criticism from Tang and Sung proses to Qin-Han proses. Choi Rip was on the center of the discussions.
      Choi Rip’s proses which had been called creator of the history of GoMun with Yoon Keunsoo(尹根壽), was selected in anthology such as ByoelBon-DongMunSun(別本東文選), DongMun-PalGaSun(東文八家選), DongMun-GibSeong(東文集成) in the late Choson, as well as they were appraised by many critics such as Chang Yoo(張維), Kim Changhyoup(金昌協), Kim Changheup(金昌翕), Ahn Seokkyoung(安錫儆), and Cho Keungseop(曺兢燮) in various aspects.
      The analysis on expressional beauty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part in relation to this thesis's purpose was examined on the center of rhetorics and characters. Choi Rip used the technique of quotation and allusion many times as the method of suggesting or retorting the opinions and enforcing the persuasive power on his point of argument, placing them into elaborated forms he established the literary world which had more refined and exquisite formal beauty. The frequent uses of quotation and allusion i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proses, but Choi Rip’s proses have more deepen aspects than the 15th century’s prose authors such as the works of Kim Suohn(金守溫) and Kim Jongjik(金宗直) who used them in limits and Seo Keojeong(徐居正) who used them as a complementary sources. The intertextuality of Choi Rip’s proses like this brought about the denounces of preservation and imitation of the ancient style, caused the suspicion that had the relations the works of restoration school. But Choi Rip never devoted himself to existing texts without original authorship. He tried to create the individual and new works and reverse the common senses by distorting and transforming the original meanings, on occasions brought about the pleasant reading by parodying and performing pastiche intentionally.
      The formal characteristics like this are completed with characters such as ‘Ki(奇)’, ‘Kan(簡)’, ‘Ko(古)’. Choi Rip created works that had the unique and fanciful point of an argument on the basis of positive recognition about the function of proses and beauty, attained simple and significant expressional beauty of ancient proses through the prudent literary elaboration. Also he profoundly studied existing proses and reflected them into his works, as a result his works had the decorums of genre and typic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side, Choi Rip’s proses left behind outstanding works on the sides of not only the unique formal beauty, but also theme’s aspects. He formalized decorums of philosophy perfectly, expressed his own limits of class and pride as the author, and represented the insight on nature, art, human on the basis of the professional eyes on letters and pictures.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officials are easily found in his works, because he spent the whole life writing public documents except the period of local official. But he faithfully represented the speculative thoughts, individual desire and favors on literature and art in the 16th century’s Choson in his works with unique formal beauty.
      The description about the statue of the prose’s history is examined on the center of the comparison with the proses of the 15th centuries and spectrums on the late Choson’s criticism. Through the expression that the history of Gomun was created, Choi Rip’s proses are clearly discriminated with the early Choson’s proses such as commentary style and Tang-Sung proses. The discussions about Choi Rip on the late Choson’s criticism ran into two extreme way. On occasions, Choi Rip’s proses were criticized owing to the plagiarism of the restoration school’s works such as Li Mengyang(李夢陽) and Wang Shizhen(王世貞). This is not only because Choi Rip’s proses have the characteristics discriminated with general Tang and Sung proses and but also because there was a denunciation without any reason. It is regarded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Choi-Rip contacted with the restoration school’s works because he had been to Ming as the diplomat four times. But his proses have not only characteristics of Pre-Qin proses but also the style of Tang-Sung proses such as Han Yu(韓愈) and Ou-Yang Xiu(歐陽修). In this point there is no reasons about the relations with the restoration proses.
      When the professional discussions on proses were not yet come to the front, Choi Rip aroused big issues in the literary world on the basis of the epistemological conversion on proses through projecting the general thoughts and literary views of intellectuals of the day and author’s desire into the works which had unique formal beauty. After that, he brought about the various discussions of the creation and criticism of pro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복고적 경향의 산문을 창도함으로써 조선후기 산문의 창작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 簡易 崔岦(1539~1612)의 산문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통해 근래 韓國漢文學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漢文散文의 文學性을 해명하고, 조선후기 산문가들에 의해 제기된 평가를 비판적으로 검증하고자 작성되었다.
      한문산문에 관한 연구는 수용론에 대한 반성과 주제중심적 연구풍토에 대한 비판적 대안 모색이라는 두 가지 현재적 과제를 안고 있다. 80년대 이후 본격화한 한문산문 연구는 조선후기 古文論의 이론적 체계 위에서 출발했는데, 이 古文論 가운데는 明代 復古派와 唐宋派 간의 논쟁을 옮겨 놓은 것이 적지 않게 존재한다. 17세기에 이르러서야 산문 방면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당시 文壇의 風情을 감안할 때, 復古派와 唐宋派의 이론이 신선한 지적 자극이 되었음은 분명하지만, 이러한 諸理論이 창작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기에는 적절치 않은 측면이 있었다. 이런 점에서 당시 조선에서 이루어진 복고적 경향의 산문은 秦漢文에 경도되었던 明代 復古派의 作風과 구별되어야 마땅하다. 創古와 擬古의 평이 공존하는 崔岦의 복고적 산문은 바로 이와 같은 조선중기 산문의 실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바, 이에 관한 탐구는 수용론적 관점으로부터 벗어나 내재적 전변 과정과 양상에 주목하는 방향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의 연구는 대부분 심오한 주제와 심각한 내용을 담은 작품에 우선적으로 착목하여 그 사유양상과 문단의 경향, 문화적 담론을 읽어내고자 하는 경향이 있어왔다. 이 역시 문학 연구의 주요 과제의 하나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와 같은 연구 풍토가 일반적이고 지배적인 방법으로 굳어질 경우 문학 작품의 가치는 역사와 철학의 범주 아래에서 그 의미를 지니게 되며, 문학성을 판단하는 기준 역시 寓意나 諷刺와 같은 의미지향적 요소가 그 척도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하지만 魏晉時代 이후 근래에 이르기까지 제출되어온 수많은 文體․修辭 방면의 저술이 웅변하듯 한문산문은 주제와 내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식적 실험과 표현적 기법을 활용하여 그 언어문자적 특성이 녹아있는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하여왔다.
      16세기 말 17세기 초에 이르러 한문산문은 이론과 작품 양방면에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조류가 형성되었다. 이른바 秦漢古文 또는 擬古文이라 불리기도 하는 復古的 文風의 진작이 그것으로, 奇崛하고 艱澁한 문체를 특징으로 하는 復古文은 산문의 학습과 창작, 비평의 영역을 종래의 唐宋文에서 秦漢文으로까지 확장함으로써 이후 조선후기 산문비평에서 주요한 논제로 다루어진 典範의 설정, 自得과 模擬, 文體와 修辭 등에 관한 다양한 논쟁을 촉발시켰으며, 崔岦은 그 중심에 놓인 작가였다.
      일찍이 尹根壽와 더불어 古文辭를 창도했다고 일컬어진 崔岦의 산문은 別本東文選‧東文八家選‧東文集成 등 조선후기에 간행된 詩文選集에 적지 않은 작품이 選錄되었음은 물론이고, 張維‧金昌協‧金昌翕‧安錫儆‧曺兢燮 등 여러 비평가들에 의해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되어왔다.
      崔岦은 載道論的 文學觀을 준용하고 있으면서도 ‘修辭立誠’의 修養論을 적용하여 문학의 자율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本末一貫의 道文觀을 지니고 있었다. 崔岦은 이와 같은 道文觀을 바탕으로 산문의 기능적‧심미적 측면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는 四書五經과 같은 性理學의 典範은 물론, 史記와 漢書 등 秦漢時代의 典籍과 韓愈‧柳宗元‧歐陽修‧蘇軾 등 唐宋 諸家의 작품을 폭넓게 학습하고 연찬하였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韓愈의 글에 특히 많은 관심을 표명하였다.
      표현미에 관한 분석은 본고의 연구목적과 관련하여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修辭와 風格 두 방면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崔岦은 의론을 제시하거나 반박하기 위해, 또는 자신의 논지에 설득력을 더하기 위한 수단으로 引用과 引喩의 수법을 자주 사용했는데, 치밀하게 계산된 字句나 句式 속에 배치함으로써 한층 정교하고 세련된 형식미를 갖춘 작품세계를 구축하였다. 引用과 引喩의 빈번한 활용은 의론을 특징으로 하는 한문산문의 공통적 특징이지만, 崔岦의 산문은 제한적인 범위에서 사용한 金守溫이나 金宗直, 보완적 자료로서 주로 사용한 徐居正 등 15세기 산문가의 작품에 비해 한층 심화된 양상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은 崔岦 산문의 상호텍스트적 특성은 후대의 비평가에게 創古/擬古의 논란을 야기하였으며, 復古派의 산문과 유관하다는 의심을 사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崔岦은 결코 독창적 작가의식을 결여한 채 기존의 텍스트에 경도되지 않았다. 원의를 왜곡하거나 변용함으로써 상식을 전도하고 개성적이고 참신한 작품을 창출하고자 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前作을 의도적으로 패러디(parody)하거나 패스티쉬(pastiche)함으로써 유희적 독서를 유발시키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형식적 특징은 ‘奇’‧‘簡’‧‘古’ 등의 風格으로 구현되었다. 崔岦은 산문의 기능과 심미적 기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독특하고 기발한 논지를 지닌 작품을 창출하였으며, 세심한 언어적 조탁을 통해 간결하고 함축적인 고문의 표현미를 획득하였다. 또한 기존의 산문텍스트를 철저히 연찬하여 자신의 작품에 반영함으로써 장르의 규범과 전형성을 아울러 갖추었다.
      한편 崔岦의 산문은 그 독특한 형식미뿐만 아니라 주제적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당대의 성리학적 규범 역시 충실하게 체화하여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으며, 자신의 신분적 한계와 작가로서의 자긍심을 표출하기도 하였고, 書畵에 대한 전문가적 안목을 바탕으로 자연과 예술, 인간에 관한 통찰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지방관으로 파견된 시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事大文書와 公用文을 작성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던 그의 작품에서 관료적 색채를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崔岦은 독특한 형식미를 갖춘 작품 속에 16세기 조선의 사변적 사유와 개인적 욕망, 문예적 취향 등을 곡진하게 담아내었다.
      산문사적 위상에 관한 기술은 15세기 산문과의 비교 및 조선후기 諸家批評에 나타난 양상을 중심으로 살폈다. 古文辭를 창도했다는 표현이 가리키는 것처럼 崔岦의 산문은 註疏語錄體와 軟美한 唐宋文으로 규정되는 조선전기 산문과 뚜렷한 획을 긋고 있다. 조선후기 諸家批評에 있어서 崔岦에 관한 논의는 극과 극을 오가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李夢陽‧王世貞 등 復古派 문인의 작품을 표절 모의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는 崔岦의 산문이 일반적인 唐宋文의 특징과 구별되는 특징을 지녔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거 없는 폄훼에서 비롯된 예도 있었다. 崔岦이 외교사절의 일원으로서 네 차례에 걸쳐 明에 다녀왔던 만큼 復古派의 산문을 접했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의 산문은 先秦文만이 아니라 韓愈‧歐陽修 등 唐宋文의 문체 특징 역시 갖추고 있었으며, 이런 점에서 복고파 산문과의 유관성은 대부분 근거 없는 일화를 바탕으로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崔岦은 산문에 관한 전문적 논의가 표면화되지 않았던 시기에 산문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을 바탕 삼아 당대 지식인의 보편사유와 문예관, 그리고 작가적 욕망을 독특한 형식미를 갖춘 작품에 투영해 냄으로써 文壇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며, 이후 산문의 창작과 비평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촉발시켰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복고적 경향의 산문을 창도함으로써 조선후기 산문의 창작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 簡易 崔岦(1539~1612)의 산문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통해 근래 韓國漢文學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

      본 연구는 복고적 경향의 산문을 창도함으로써 조선후기 산문의 창작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 簡易 崔岦(1539~1612)의 산문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통해 근래 韓國漢文學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漢文散文의 文學性을 해명하고, 조선후기 산문가들에 의해 제기된 평가를 비판적으로 검증하고자 작성되었다.
      한문산문에 관한 연구는 수용론에 대한 반성과 주제중심적 연구풍토에 대한 비판적 대안 모색이라는 두 가지 현재적 과제를 안고 있다. 80년대 이후 본격화한 한문산문 연구는 조선후기 古文論의 이론적 체계 위에서 출발했는데, 이 古文論 가운데는 明代 復古派와 唐宋派 간의 논쟁을 옮겨 놓은 것이 적지 않게 존재한다. 17세기에 이르러서야 산문 방면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당시 文壇의 風情을 감안할 때, 復古派와 唐宋派의 이론이 신선한 지적 자극이 되었음은 분명하지만, 이러한 諸理論이 창작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기에는 적절치 않은 측면이 있었다. 이런 점에서 당시 조선에서 이루어진 복고적 경향의 산문은 秦漢文에 경도되었던 明代 復古派의 作風과 구별되어야 마땅하다. 創古와 擬古의 평이 공존하는 崔岦의 복고적 산문은 바로 이와 같은 조선중기 산문의 실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바, 이에 관한 탐구는 수용론적 관점으로부터 벗어나 내재적 전변 과정과 양상에 주목하는 방향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의 연구는 대부분 심오한 주제와 심각한 내용을 담은 작품에 우선적으로 착목하여 그 사유양상과 문단의 경향, 문화적 담론을 읽어내고자 하는 경향이 있어왔다. 이 역시 문학 연구의 주요 과제의 하나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와 같은 연구 풍토가 일반적이고 지배적인 방법으로 굳어질 경우 문학 작품의 가치는 역사와 철학의 범주 아래에서 그 의미를 지니게 되며, 문학성을 판단하는 기준 역시 寓意나 諷刺와 같은 의미지향적 요소가 그 척도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하지만 魏晉時代 이후 근래에 이르기까지 제출되어온 수많은 文體․修辭 방면의 저술이 웅변하듯 한문산문은 주제와 내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식적 실험과 표현적 기법을 활용하여 그 언어문자적 특성이 녹아있는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하여왔다.
      16세기 말 17세기 초에 이르러 한문산문은 이론과 작품 양방면에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조류가 형성되었다. 이른바 秦漢古文 또는 擬古文이라 불리기도 하는 復古的 文風의 진작이 그것으로, 奇崛하고 艱澁한 문체를 특징으로 하는 復古文은 산문의 학습과 창작, 비평의 영역을 종래의 唐宋文에서 秦漢文으로까지 확장함으로써 이후 조선후기 산문비평에서 주요한 논제로 다루어진 典範의 설정, 自得과 模擬, 文體와 修辭 등에 관한 다양한 논쟁을 촉발시켰으며, 崔岦은 그 중심에 놓인 작가였다.
      일찍이 尹根壽와 더불어 古文辭를 창도했다고 일컬어진 崔岦의 산문은 別本東文選‧東文八家選‧東文集成 등 조선후기에 간행된 詩文選集에 적지 않은 작품이 選錄되었음은 물론이고, 張維‧金昌協‧金昌翕‧安錫儆‧曺兢燮 등 여러 비평가들에 의해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되어왔다.
      崔岦은 載道論的 文學觀을 준용하고 있으면서도 ‘修辭立誠’의 修養論을 적용하여 문학의 자율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本末一貫의 道文觀을 지니고 있었다. 崔岦은 이와 같은 道文觀을 바탕으로 산문의 기능적‧심미적 측면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는 四書五經과 같은 性理學의 典範은 물론, 史記와 漢書 등 秦漢時代의 典籍과 韓愈‧柳宗元‧歐陽修‧蘇軾 등 唐宋 諸家의 작품을 폭넓게 학습하고 연찬하였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韓愈의 글에 특히 많은 관심을 표명하였다.
      표현미에 관한 분석은 본고의 연구목적과 관련하여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修辭와 風格 두 방면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崔岦은 의론을 제시하거나 반박하기 위해, 또는 자신의 논지에 설득력을 더하기 위한 수단으로 引用과 引喩의 수법을 자주 사용했는데, 치밀하게 계산된 字句나 句式 속에 배치함으로써 한층 정교하고 세련된 형식미를 갖춘 작품세계를 구축하였다. 引用과 引喩의 빈번한 활용은 의론을 특징으로 하는 한문산문의 공통적 특징이지만, 崔岦의 산문은 제한적인 범위에서 사용한 金守溫이나 金宗直, 보완적 자료로서 주로 사용한 徐居正 등 15세기 산문가의 작품에 비해 한층 심화된 양상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은 崔岦 산문의 상호텍스트적 특성은 후대의 비평가에게 創古/擬古의 논란을 야기하였으며, 復古派의 산문과 유관하다는 의심을 사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崔岦은 결코 독창적 작가의식을 결여한 채 기존의 텍스트에 경도되지 않았다. 원의를 왜곡하거나 변용함으로써 상식을 전도하고 개성적이고 참신한 작품을 창출하고자 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前作을 의도적으로 패러디(parody)하거나 패스티쉬(pastiche)함으로써 유희적 독서를 유발시키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형식적 특징은 ‘奇’‧‘簡’‧‘古’ 등의 風格으로 구현되었다. 崔岦은 산문의 기능과 심미적 기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독특하고 기발한 논지를 지닌 작품을 창출하였으며, 세심한 언어적 조탁을 통해 간결하고 함축적인 고문의 표현미를 획득하였다. 또한 기존의 산문텍스트를 철저히 연찬하여 자신의 작품에 반영함으로써 장르의 규범과 전형성을 아울러 갖추었다.
      한편 崔岦의 산문은 그 독특한 형식미뿐만 아니라 주제적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당대의 성리학적 규범 역시 충실하게 체화하여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으며, 자신의 신분적 한계와 작가로서의 자긍심을 표출하기도 하였고, 書畵에 대한 전문가적 안목을 바탕으로 자연과 예술, 인간에 관한 통찰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지방관으로 파견된 시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事大文書와 公用文을 작성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던 그의 작품에서 관료적 색채를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崔岦은 독특한 형식미를 갖춘 작품 속에 16세기 조선의 사변적 사유와 개인적 욕망, 문예적 취향 등을 곡진하게 담아내었다.
      산문사적 위상에 관한 기술은 15세기 산문과의 비교 및 조선후기 諸家批評에 나타난 양상을 중심으로 살폈다. 古文辭를 창도했다는 표현이 가리키는 것처럼 崔岦의 산문은 註疏語錄體와 軟美한 唐宋文으로 규정되는 조선전기 산문과 뚜렷한 획을 긋고 있다. 조선후기 諸家批評에 있어서 崔岦에 관한 논의는 극과 극을 오가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李夢陽‧王世貞 등 復古派 문인의 작품을 표절 모의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는 崔岦의 산문이 일반적인 唐宋文의 특징과 구별되는 특징을 지녔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거 없는 폄훼에서 비롯된 예도 있었다. 崔岦이 외교사절의 일원으로서 네 차례에 걸쳐 明에 다녀왔던 만큼 復古派의 산문을 접했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의 산문은 先秦文만이 아니라 韓愈‧歐陽修 등 唐宋文의 문체 특징 역시 갖추고 있었으며, 이런 점에서 복고파 산문과의 유관성은 대부분 근거 없는 일화를 바탕으로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崔岦은 산문에 관한 전문적 논의가 표면화되지 않았던 시기에 산문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을 바탕 삼아 당대 지식인의 보편사유와 문예관, 그리고 작가적 욕망을 독특한 형식미를 갖춘 작품에 투영해 냄으로써 文壇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며, 이후 산문의 창작과 비평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촉발시켰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Ⅰ. 緖 論
      Ⅱ. 崔岦 散文의 類型別 特徵
      Ⅲ. 崔岦의 道文觀과 散文意識
      1. 本末一貫의 道文觀
      2. 散文의 典範과 規律에 관한 認識
      Ⅳ. 崔岦 散文의 修辭
      1. 贍博하고 周密한 引用과 變用
      2. 奇拔하고 論爭的인 議論의 創出
      3. 簡險하고 精鍊된 篇章의 運用
      Ⅴ. 崔岦 散文의 風格
      1. 奇 : 逸脫과 顚倒
      2. 簡 : 精鍊과 含蓄
      3. 古 : 規範과 典型
      Ⅵ. 崔岦 散文의 主題
      1. 성리학적 사유의 형상화
      2. 작가적 욕망의 투사
      3. 관조와 초월의 경계
      Ⅶ. 崔岦 散文의 文學史的 位相
      Ⅷ. 結 論
      번역하기

      Ⅰ. 緖 論 Ⅱ. 崔岦 散文의 類型別 特徵 Ⅲ. 崔岦의 道文觀과 散文意識 1. 本末一貫의 道文觀 2. 散文의 典範과 規律에 관한 認識 Ⅳ. 崔岦 散文의 修辭 1. 贍博하고 周密...

      Ⅰ. 緖 論
      Ⅱ. 崔岦 散文의 類型別 特徵
      Ⅲ. 崔岦의 道文觀과 散文意識
      1. 本末一貫의 道文觀
      2. 散文의 典範과 規律에 관한 認識
      Ⅳ. 崔岦 散文의 修辭
      1. 贍博하고 周密한 引用과 變用
      2. 奇拔하고 論爭的인 議論의 創出
      3. 簡險하고 精鍊된 篇章의 運用
      Ⅴ. 崔岦 散文의 風格
      1. 奇 : 逸脫과 顚倒
      2. 簡 : 精鍊과 含蓄
      3. 古 : 規範과 典型
      Ⅵ. 崔岦 散文의 主題
      1. 성리학적 사유의 형상화
      2. 작가적 욕망의 투사
      3. 관조와 초월의 경계
      Ⅶ. 崔岦 散文의 文學史的 位相
      Ⅷ. 結 論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