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교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초등 사회를 중심으로 =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8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cused o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ramework, this study examines Korean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degree that the former explains the latter. To address this topic, this study makes use of survey data collected from 188 elementary teach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Major findings support that, unlike previous studies, teachers have positive percep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even though they show relatively low satisfaction with achievement standards. It also revealed that, while teachers utilize achievement standards in selecting and designing content knowledge and learning activities, they mainly refer them to assessing students. Finally, this study reveals that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interrelated, since the former explains the latter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proposals to enhance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 subject areas curriculum standards along with ideas to facilitate further studies on achievement standards.
      번역하기

      Focused o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ramework, this study examines Korean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degree that the former explains the latter. To address this topic, this stud...

      Focused o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ramework, this study examines Korean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degree that the former explains the latter. To address this topic, this study makes use of survey data collected from 188 elementary teach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Major findings support that, unlike previous studies, teachers have positive percep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even though they show relatively low satisfaction with achievement standards. It also revealed that, while teachers utilize achievement standards in selecting and designing content knowledge and learning activities, they mainly refer them to assessing students. Finally, this study reveals that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interrelated, since the former explains the latter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proposals to enhance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 subject areas curriculum standards along with ideas to facilitate further studies on achievement standar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사회과 성취기준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을 파악하고, 교사들의인식이 성취기준 활용을 얼마나 설명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초등 3-4학년을 담당하고 있는 188명의 교사들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를 활용하고 있다. 연구 결과, 초등 교사들은 사회과 성취기준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한편, 만족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사회과 성취기준 활용에 있어서는 높은 활용 빈도와 중요도, 재구성 정도를 보이는 가운데, 주로 학생평가를 위해 성취기준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인식이 성취기준 활용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설명해 주는 가운데, 만족과 이해는 활용 빈도를, 이해와 자신감은 중요하게 활용하는 정도를, 자신감은 성취기준의 재구성 정도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을 제고하고,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를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사회과 성취기준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을 파악하고, 교사들의인식이 성취기준 활용을 얼마나 설명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사회과 성취기준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을 파악하고, 교사들의인식이 성취기준 활용을 얼마나 설명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초등 3-4학년을 담당하고 있는 188명의 교사들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를 활용하고 있다. 연구 결과, 초등 교사들은 사회과 성취기준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한편, 만족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사회과 성취기준 활용에 있어서는 높은 활용 빈도와 중요도, 재구성 정도를 보이는 가운데, 주로 학생평가를 위해 성취기준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인식이 성취기준 활용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설명해 주는 가운데, 만족과 이해는 활용 빈도를, 이해와 자신감은 중요하게 활용하는 정도를, 자신감은 성취기준의 재구성 정도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을 제고하고,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를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인영,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2 (22): 69-92, 2018

      2 이윤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으로 본 교육과정 실행 관점과 의미"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65-89, 2015

      3 조상연, "초등교사가 교과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사용하는 양상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87-614, 2015

      4 이호담, "초등 교사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사용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2015

      5 교육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이춘식,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중학교 기술, 가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7 박순경, "제7차 교육과정 개발의 쟁점: 교과 교육내용의 구성 및 제시 방식"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1997

      8 성열관, "성취기준의 차용 및 변용 : 단계별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22, 2008

      9 김종윤, "성취기준 질 제고를 위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10 김민정, "성취기준 진술방식에 따른 교사들의 해석과 수업계획: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7

      1 조인영,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2 (22): 69-92, 2018

      2 이윤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으로 본 교육과정 실행 관점과 의미"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65-89, 2015

      3 조상연, "초등교사가 교과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사용하는 양상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87-614, 2015

      4 이호담, "초등 교사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사용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2015

      5 교육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이춘식,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중학교 기술, 가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7 박순경, "제7차 교육과정 개발의 쟁점: 교과 교육내용의 구성 및 제시 방식"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1997

      8 성열관, "성취기준의 차용 및 변용 : 단계별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22, 2008

      9 김종윤, "성취기준 질 제고를 위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10 김민정, "성취기준 진술방식에 따른 교사들의 해석과 수업계획: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7

      11 정혜승, "성취 기준 중심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23) : 183-212, 2007

      12 강대현, "사회과 성취기준 개발 논의와 결과에 대한 반성 - 7차 교육과정 이후 성취기준 개발 논의와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24, 2010

      13 모경환, "사회과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 일반사회 영역의 특징과 문제점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61-76, 2012

      14 김동창, "도덕과 성취기준의 의미와 역할" 한국윤리교육학회 (39) : 199-218, 2016

      15 황현미,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제시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483-512, 2016

      16 서영진,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회 (46) : 415-450, 2013

      17 허경철, "국가 공통 절대평가 기준 일반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6

      18 윤현진, "교육과정에서의 성취기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19 허경철, "교육과정 기준으로서의 국가 교육성취 기준의 재음미. 2006년도 KICE 교육기초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3, 2006

      20 박지혜, "교사의 수업 구성 토대로서 교과교육과정기준의 문제와 개선 과제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9-52, 2014

      21 김세영, "교사의 교육과정 사용을 둘러싼 문제점과 그 해결책"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65-92, 2017

      22 이승미,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실태와 개선 방안 탐색" 한국교육학회 52 (52): 53-79, 2014

      23 이광우,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4 허수미, "‘통합사회’ 성취기준과 수행과제에 반영된 핵심역량 특성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5 (25): 109-129, 2018

      25 Noddings, N., "Thinking about standards" 79 (79): 184-, 1997

      26 Ben-Peretz, M., "Teacher-curriculum encounter: freeing teachers from the tyranny of texts" Suny Press 1990

      27 Ravitch, D., "National standards in American education: a citizen's guid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95

      28 Darling-Hammond, L., "National standards and assessments: will they improve education?" 102 (102): 478-510, 1994

      29 김한성,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활용" 연세대학교 2015

      30 김재우,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특징 분석 - 호주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27-48, 2016

      31 박은아,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9 (49): 27-53, 2017

      32 이광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각론간 연계 양상에 대한 반성적 논의: 국가교육과정 각론조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59-80, 2017

      33 한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34 이광우, "2015 개정 교과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국가교육과정 각론 조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35 홍원표,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과 후속 지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69-94, 2016

      36 김은주,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911-923, 2016

      37 홍미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I): 교육과정 분석 및 성취기준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38 박순경,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핵심 성취기준 개발 연구: 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39 길말선,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중학교 역사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631-655,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