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살어리 살어리랏다 : 김종화 시조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497508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문학신문 출판국 : 세종문화사, 2017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11.36 판사항(6)

      • DDC

        895.715 판사항(23)

      • ISBN

        9788974241186 03810: ₩10000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살어리 살어리랏다 : 김종화 시조집 / 지은이: 김종화

      • 형태사항

        207 p. ; 21 cm

      • 총서사항

        문학신문 작품선 ; 118 문학신문 작품선 ; 11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서문 : 徹?한 現場詩人, 새 地平을 열다 / 柳聖圭[世界傳統詩人協會 會長, 時調生活誌, 우리 동시조 發行人]
      • 제1부 포장마차
      • 포장마차 = 18
      • 워낭 소리 = 19
      • 목차
      • 서문 : 徹?한 現場詩人, 새 地平을 열다 / 柳聖圭[世界傳統詩人協會 會長, 時調生活誌, 우리 동시조 發行人]
      • 제1부 포장마차
      • 포장마차 = 18
      • 워낭 소리 = 19
      • 플라타너스 = 20
      • 구두를 깁는 손 = 21
      • 구두 뒤축 = 22
      • 돋보기 = 23
      • 멸치 = 24
      • 세한도(歲寒圖) = 25
      • 비둘기 = 26
      • 산중일기 = 27
      • 모내기를 보다가 = 28
      • 어느 미인 = 29
      • 배틀 소리 = 30
      • 어느 찻집에서 = 31
      • 가족사진 = 32
      • 연(鳶) = 33
      • 관절통 = 34
      • 제2부 우산 고치는 노인
      • 연꽃 앞에서 = 36
      • 백자 = 37
      • 용문사 은행나무 = 38
      • 저 속을 누가 알아 = 39
      • 지하철을 타다가 = 40
      • 비 오는 날의 삽화 = 41
      • 수박 = 42
      • 우산 고치는 노인 = 43
      • 조개의 눈물 = 44
      • 옥탑방 = 45
      • 알밤 까 주는 사람 = 46
      • 팽이 = 47
      • 석산화 = 48
      • 황사에게 묻다 = 49
      • 산을 내림 = 50
      • 겨울밤 = 51
      • 폐옥(廢屋) = 52
      • 제3부 남장사를 찾아서
      • 가로등과 부나비 = 54
      • 분수(噴水) = 55
      • 낙엽 좀 봐 = 56
      • 번개탄은 = 57
      • 남장사를 찾아서 = 58
      • 매미의 삶 = 59
      • 돌아보기 = 60
      • 볼펜 = 61
      • 내 고향 = 62
      • 담쟁이와 나비 = 63
      • 리어카 = 64
      • 석고상(石膏像) 1 = 65
      • 산마을의 사계 - 봄 = 66
      • 차창(車窓)의 이미지 = 67
      • 추사 고택에서 = 68
      • 보리밟기 = 69
      • 모란장 소묘 = 70
      • 여름 담쟁이 = 71
      • 6시 내 고향 = 72
      • 제4부 문패
      • 한밤의 응급실 = 74
      • 홍시(紅?) = 75
      • 문패 = 76
      • 피겨 여왕 = 77
      • 천안함 46용사 추모 = 78
      • 참외 = 79
      • 북어 = 80
      • 막걸리 예찬 = 81
      • 목욕탕에서 = 82
      • 어느 포구 = 83
      • 문무대왕릉 앞에서 = 84
      • 그때 그 사람은 = 85
      • 동화사(桐華寺) = 86
      • 바위는 = 87
      • 빈 까치집 = 88
      • 우리 식구 = 89
      • 우수절(雨水節) 무렵 = 90
      • 동백꽃 = 91
      • 수어장대(守禦將臺)에서 = 92
      • 제5부 산그늘
      • 어느 수첩 = 94
      • 산그늘 = 95
      • 여름 가뭄 = 96
      • 어시장에서 = 97
      • 어느 삶 곁에서 = 98
      • 어탁 = 99
      • 산수화 = 100
      • 손잡으면 = 101
      • 설악산 권금성에서 = 102
      • 갈대 = 103
      • 아내 = 104
      • 덩굴장미 = 105
      • 나이테 = 106
      • 여울물 = 107
      • 옥계폭포(玉溪瀑布) = 108
      • 상원사 가는 길 = 109
      • 안개꽃 = 110
      • 제6부 산심을 읽다
      • 연리목 = 112
      • 절벽 위 나무 = 113
      • 속리산 = 114
      • 산심을 읽다 = 115
      • 소한(小寒) 머리 = 116
      • 찹쌀떡 = 117
      • 우체통 = 118
      • 달집태우기 = 119
      • 어버이날 = 120
      • 의자(椅子)를 찾던 날에 = 121
      • 서울 낮달 = 122
      • 설경 = 123
      • 하조대에서 = 124
      • 우리 안 호랑이 = 125
      • 기러기 아빠 = 126
      • 강은 말한다 = 127
      • 붕어빵을 뜨는 사람 = 128
      • 제7부 발톱 깎는 노인
      • 빗돌(碑) 앞에서 = 130
      • 발톱 깎는 노인 = 131
      • 봄나들이 = 132
      • 등나무 그늘에서 = 133
      • 담배 생각 = 134
      • 손칼국수 = 135
      • 숭례문 앞에서 = 136
      • 수목원에서 = 137
      • 복덕방 = 138
      • 분계선을 바라보며 = 139
      • 북악산을 오르며 = 140
      • 봄소식 = 141
      • 나의기도 = 142
      • 채석강에서 = 143
      • 중복(中伏) 허리 = 144
      • 장독대 = 145
      • 장승 = 146
      • 제8부 주막거리
      • 자작나무 숲 = 148
      • 철새 = 149
      • 칡넝쿨 = 150
      • 잡초 = 151
      • 자연(紫煙) 이별곡 = 152
      • 자개장 = 153
      • 작명 = 154
      • 죽부인전 = 155
      • 찌든 가죽 지갑 = 156
      • 주막거리 = 157
      • 정적(靜寂) = 158
      • 소수서원 = 159
      • 생태 변화 = 160
      • 소나무 = 161
      • 해바라기 = 162
      • 현주소(現住所) = 163
      • 한가위 = 164
      • 제9부 한글날에
      • 허수아비 = 166
      • 하나로 가는 길 = 167
      • 한계령 단풍 = 168
      • 효자손 = 169
      • 해맞이 = 170
      • 합죽선 = 171
      • 헌책방 = 172
      • 도회 농군 = 173
      • 해장국 = 174
      • 화석정(花石亭)을 찾던 날 = 175
      • 화폐 = 176
      • 코스모스 = 177
      • 하늘공원에서 = 178
      • 향리 = 179
      • 하지 무렵 = 180
      • 황포 돛배 = 181
      • 휴대폰 = 182
      • 한글날에 = 183
      • 밥숟가락 = 184
      • 평설 : 전통미의 계승과 변용 / 김봉군[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ㆍ문학평론가ㆍ시조시인] = 1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