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복지발달사(福祉發達史)에서 위기가설과 그 검증에 관한 연구: 1997년과 2008년 위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risis Hypothesis in the Korean welfare development and its verification: Centered on the crises of year 1997 and year 200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647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구 복지국가에서의 복지발달과는 달리, 한국의 복지발달은 국내·외 위기가 발생한 시점과 복지정책이 새로이 수립되고 확장되는 과정 및 복지예산이 확대되는 과정의 시점이 거의 일치...

      서구 복지국가에서의 복지발달과는 달리, 한국의 복지발달은 국내·외 위기가 발생한 시점과 복지정책이 새로이 수립되고 확장되는 과정 및 복지예산이 확대되는 과정의 시점이 거의 일치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출발한다. 여기서 한국의 사회복지는 위기를 기점으로 발달하였다는 위기가설을 바탕으로 1997년 위기와 2008년 위기를 전후로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검증한다. 먼저 사회복지발달에 대해 논의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행정적 요인으로 변수를 분류하고, 사회복지예산과 사회복지 기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위기를 기점으로 그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1997년의 경우 사회복지예산에는 사회적 요인과 행정적 요인이 위기를 기점으로 발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복지기반에 있어서는 행정적 요인이 위기를 기점으로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2008년의 경우 사회복지예산에 행정적 요인은 위기를 기점으로 발달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요인은 위기를 기점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사회복지발달은 위기라는 시점을 전후로 변화 및 발전되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 사회복지발달에 있어서 위기가 발생했을 때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않았던 행정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welfare development is different from the stream shown in the Western countries. The reason is that welfare history in Korea is short and the development process is packed, which has been pointed by Korean welfare scientists. Consequently, the ...

      Korean welfare development is different from the stream shown in the Western countries. The reason is that welfare history in Korea is short and the development process is packed, which has been pointed by Korean welfare scientists. Consequently, the theories developed in the Western countries cannot be adapted to Korean welfare development, because the theories have been evolved for accounting for the Western countries' welfare related to the Western society at that time. So when it comes to the explanation of Korean welfare development, a certain theory must be required to explain the Korean welfare situation. This paper aims to find a theory to explain Korean welfare development.
      Korean welfare development has been coincided with the crises, whether they were originated from domestic and foreign causes. When reviewing Korean welfare history, in the time of crises,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ncrease the welfare budget and to develop new welfare policies. This study tri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development and the impact of the action by the government during the crises time. The details of this study are as discussed below.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social welfare development, this paper classifies some variables as political, economic, social, administrative factors and analyzes which variables have effect on the social welfare budget as well as effect on the foundation. In addition, this paper tries to show how much the variables have effect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crises to the policy output.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s that in the case of 1997 crisis, the social factors and administrative factors positive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budget caused by the crisi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the administrative factors showed negative results. In the case of 2008 crisi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administrative factors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budget, but the study showed that the economic factors had the negative effect.
      This study verifies empirically that Korean social welfare development has been caused by the crises of 1997 and 2008. In detail, when a crisis occurred, the administrative factors played an important role. This effect has been previously ignored or has not been discussed by preceding researches. In the futu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hen the developing countries encounter a crisis, it could lead to the welfare development. That is, a certain crisis could be a stepping stone to the welfare develop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균, "현대사회와 사회정책" 서울대 출판부 1987

      2 성경륭, "한국의 정치체제 변동과 사회정책의 변화: 정치사회학적 분석" 1991

      3 이철우, "한국의 사회복지정책과 경제성장: 사회복지제도의 긴요성과 그 효율성에 대하여" 11 (11): 5-45, 2003

      4 박천익, "한국의 복지정책현황과 복지모형" 4 (4): 24-49, 2012

      5 조영훈, "한국복지국가의 변혁?: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복지구상 검토" 비판사회학회 (95) : 67-93, 2012

      6 남세진, "한국복지국가론" ㈜나남출판 1998

      7 서상범,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참여정부」의 분권교부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151-177, 2010

      8 최옥채, "한국 사회복지제도 형성과 전개의 특성 -「생활보호법」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28 (28): 403-429, 2012

      9 최영준, "한국 복지정책과 복지정치의 발전 : 생산주의 복지체제의 진화" 아세아문제연구소 54 (54): 7-43, 2011

      10 성경륭, "한국 복지국가 발전의 정치적 기제에 관한 연구: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비교" 한국사회학회 48 (48): 71-132, 2014

      1 김상균, "현대사회와 사회정책" 서울대 출판부 1987

      2 성경륭, "한국의 정치체제 변동과 사회정책의 변화: 정치사회학적 분석" 1991

      3 이철우, "한국의 사회복지정책과 경제성장: 사회복지제도의 긴요성과 그 효율성에 대하여" 11 (11): 5-45, 2003

      4 박천익, "한국의 복지정책현황과 복지모형" 4 (4): 24-49, 2012

      5 조영훈, "한국복지국가의 변혁?: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복지구상 검토" 비판사회학회 (95) : 67-93, 2012

      6 남세진, "한국복지국가론" ㈜나남출판 1998

      7 서상범,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참여정부」의 분권교부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151-177, 2010

      8 최옥채, "한국 사회복지제도 형성과 전개의 특성 -「생활보호법」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28 (28): 403-429, 2012

      9 최영준, "한국 복지정책과 복지정치의 발전 : 생산주의 복지체제의 진화" 아세아문제연구소 54 (54): 7-43, 2011

      10 성경륭, "한국 복지국가 발전의 정치적 기제에 관한 연구: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비교" 한국사회학회 48 (48): 71-132, 2014

      11 김영민, "한국 복지국가 발달의 전제 조건"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7 (7): 25-41, 2012

      12 모지환, "지방정부의 복지재정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49-73, 2010

      13 박고운,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1) : 423-451, 2007

      14 문수진,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지출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광역시 기초자치단체의 정치적 요소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5 (25): 137-159, 2015

      15 김경준, "지방자치단체 자체 복지사업 지출 영향요인 분석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한 접근"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 (19): 141-156, 2013

      16 함영진, "지방자치단체 복지 노력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노동관련 시・군・구 자체 복지사업 예산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18 (18): 25-50, 2013

      17 강윤호, "지방자치 실시가 지방정부 사회복지지출에 미친 영향: 공공선택론적 접근의 시도" 5 (5): 109-126, 2001

      18 서동명, "우리나라 지방정부 장애인복지예산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485-514, 2009

      19 주은선, "외환위기 이후 사회복지정책의 전개 : 복지-노동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28 (28): 143-185, 2009

      20 구동모, "연구방법론" 학현사 2013

      21 조임곤, "사회복지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경인행정학회 13 (13): 79-93, 2013

      22 문광민, "사회복지지출의 효율성은 중요한가?: 동태적 패널문턱모형을 이용한 사회복지지출과 경제성장의 관계 재검토" 서울행정학회 26 (26): 27-52, 2015

      23 조성한, "사회복지정책론" 법문사 2006

      24 현외성, "사회복지정책강론" 양서원 2008

      25 엄명용, "사회복지사를 위한 실용 비모수 통계" 집문당 2007

      26 이강희, "사회복지발달사" 양서원 2011

      27 박경돈, "복지와 경제성장간의 실증적 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161-183, 2011

      28 이광석, "복지모순론" 퍼시픽북스 2015

      29 김연명,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학" 한울 아카데미 1990

      30 박경돈, "복지국가의 복지지출과 경제성장 간 균형" 한국행정연구원 21 (21): 73-101, 2012

      31 김태성, "복지국가론" ㈜나남출판 2000

      32 김성수, "노인복지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시·군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한국노년학회 28 (28): 907-923, 2008

      33 이수창,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 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7 (17): 57-76, 2015

      34 김지윤, "기초자치단체에서 사회복지비 지출의 정치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9 (19): 39-71, 2013

      35 고혜진, "기초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 자체사업 지출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1-34, 2014

      36 이광석, "기록으로 보는 복지행정" 국가기록원 2007

      37 최희경, "경제위기와 복지정책 : 1998 vs 2008" 371-396, 2009

      38 박순일, "경제위기 이후의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평가와 효율화 방안" 8 (8): 39-74, 2001

      39 김기원, "경제성장-친화적 사회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9 (9): 25-75, 2002

      40 Esping-Anderson, G., "welfare State In Transition" Sage 1996

      41 Kwon, Huck-ju, "The Welfare State in Korea" St. Martin's Press in association with St. Antony's College 1999

      42 Fraser, D., "The Evolution of the British Welfare State: A History of Social Policy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Macmillan 1973

      43 Lee, Kwang-Seok, "The Development of Korean National Pension Policy"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2004

      44 Bruce, M., "The Coming of the Welfare State" Batsford 1967

      45 Ritter, G. A., "Social Welfare in Germany and Britain: Origins and Development" Berg 1986

      46 박성현, "SPSS 17. 0 이해와 활용" 한나래 2011

      47 Piven, F. F., "Regulating the Poor" Random House 1971

      48 Habermas, Jṻrgen, "Legitimation Crisis" Polity Press 1992

      49 Dogan, M., "Elites, Crises, and the Origins of Regimes"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1998

      50 Offe, Claus, "Contractions of the Welfare State" Hutchinson Co. Ltd 1984

      51 Tomlin, E. W. F., "Arnold Toynbee: A Seclection from His Works"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52 보건복지부, "2012년 기준 한국의 사회복지지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행정사학회 -> 한국행정사학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43 0.55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