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 Travelling Concept - Resilience in the Academia of Taiwan and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68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서구의 회복탄력성 개념이 대만과 중국 학계, 특히 사회생태계 (Social-Ecological Systems, SESs) 분야에서 어떻게 전파되고 적용되었는지를 탐구 한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여행하는 이론’을 바탕으로, 서구에서 동아시아로 전파 된 회복탄력성 개념이 저항 없이 수용된 과정을 분석한다. 대만과 중국의 학술 문헌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회복탄력성에 대한 공통된 접근법과 상이한 접근법 을 확인했다. 대만은 주로 지수 기반 평가를 사용하는 반면, 중국은 수리 모델링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음을 분석했다. 이러한 차이는 회복탄력성이 각 지역 담론에 통합되는 방식의 차이를 강조한다. 또한, 본 논문은 학문적 헤게모니와 서구 학문을 배운 학자들이 동아시아 학계에서 회복탄력성 연구를 형성하는 데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 연구 결과, 두 지역에서 회복탄력성이 광범위하게 수용되고 있지만, 이 개념이 이론적 사고 과정을 잃고 기계적 도구로 변질될 위험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을 동아시아 맥락에 맞게 적응시키기 위한 지역화된 틀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이는 서구와 동양의 학문적 관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서구의 회복탄력성 개념이 대만과 중국 학계, 특히 사회생태계 (Social-Ecological Systems, SESs) 분야에서 어떻게 전파되고 적용되었는지를 탐구 한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여행하는 이...

      본 논문은 서구의 회복탄력성 개념이 대만과 중국 학계, 특히 사회생태계 (Social-Ecological Systems, SESs) 분야에서 어떻게 전파되고 적용되었는지를 탐구 한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여행하는 이론’을 바탕으로, 서구에서 동아시아로 전파 된 회복탄력성 개념이 저항 없이 수용된 과정을 분석한다. 대만과 중국의 학술 문헌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회복탄력성에 대한 공통된 접근법과 상이한 접근법 을 확인했다. 대만은 주로 지수 기반 평가를 사용하는 반면, 중국은 수리 모델링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음을 분석했다. 이러한 차이는 회복탄력성이 각 지역 담론에 통합되는 방식의 차이를 강조한다. 또한, 본 논문은 학문적 헤게모니와 서구 학문을 배운 학자들이 동아시아 학계에서 회복탄력성 연구를 형성하는 데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 연구 결과, 두 지역에서 회복탄력성이 광범위하게 수용되고 있지만, 이 개념이 이론적 사고 과정을 잃고 기계적 도구로 변질될 위험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을 동아시아 맥락에 맞게 적응시키기 위한 지역화된 틀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이는 서구와 동양의 학문적 관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of the Western concept of resilience within Taiwanese and Chinese academia,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social-ecological systems (SESs). Drawing on Edward Said’s “traveling theory,” it examines how resilience as a concept has travelled from Western to Eastern contexts, highlighting the lack of resistance encountered in this transi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academic literature from Taiwan and China, the study identifies shared and divergent approaches to resilience, noting Taiwan’s tendency towards index-based evaluations and China’s focus on mathematical modelling. This difference underscores the distinct ways resilience is integrated into local discourse. Additionally, the paper considers the impact of academic hegemony and the influence of Western-trained scholars on shaping resilience research in Eastern academia. Findings suggest that resilience, while broadly accepted in both regions, has become a mechanistic tool that risks losing its theoretical thinking process. The study calls for a localized framework to adapt resilience to Eastern contexts, potentially bridging Western and Eastern academic perspectives.
      번역하기

      This paper explores the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of the Western concept of resilience within Taiwanese and Chinese academia,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social-ecological systems (SESs). Drawing on Edward Said’s “traveling theory,” it exam...

      This paper explores the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of the Western concept of resilience within Taiwanese and Chinese academia,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social-ecological systems (SESs). Drawing on Edward Said’s “traveling theory,” it examines how resilience as a concept has travelled from Western to Eastern contexts, highlighting the lack of resistance encountered in this transi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academic literature from Taiwan and China, the study identifies shared and divergent approaches to resilience, noting Taiwan’s tendency towards index-based evaluations and China’s focus on mathematical modelling. This difference underscores the distinct ways resilience is integrated into local discourse. Additionally, the paper considers the impact of academic hegemony and the influence of Western-trained scholars on shaping resilience research in Eastern academia. Findings suggest that resilience, while broadly accepted in both regions, has become a mechanistic tool that risks losing its theoretical thinking process. The study calls for a localized framework to adapt resilience to Eastern contexts, potentially bridging Western and Eastern academic perspecti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Introduction
      • Ⅱ. Methods
      • Ⅲ. Findings
      • Ⅳ. Discussion and Conclusion
      • 국문초록
      • Ⅰ. Introduction
      • Ⅱ. Methods
      • Ⅲ. Findings
      • Ⅳ. Discussion and Conclusion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