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는 한 나라, 또는 민족의 기층문화와 정서, 생활을 보여주는 자료로써 문학적·문화적 가치가 크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기층문화 연구의 시각에서, 19세기 말부터 21세기 현재까지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68723
2024
Korean
300
학술저널
123-149(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설화는 한 나라, 또는 민족의 기층문화와 정서, 생활을 보여주는 자료로써 문학적·문화적 가치가 크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기층문화 연구의 시각에서, 19세기 말부터 21세기 현재까지 이...
설화는 한 나라, 또는 민족의 기층문화와 정서, 생활을 보여주는 자료로써 문학적·문화적 가치가 크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기층문화 연구의 시각에서, 19세기 말부터 21세기 현재까지 이뤄진 인도네시아 설화 조사 및 연구에 대해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세기 말~20세기 초 네덜란드 학자들이 최초로 인도네시아 설화 수집 및 연구 작업을 시작하였다. 1970년대 이후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설화 연구자 제임스 다난자야가 인도네시 아 설화 수집 및 연구를 본격적으로 하였다. 1970년대 말부터 1990년대 말까지 이뤄진 지역문화역사연구센터의 연구 및 기록 프로젝트에 의해 ‘인도네시아구비설화대계’ 47책이 간행되었다. 둘째, 2000년대 이후 설화집의 대중적 출판 및 무르티 부난타의 연구에 대해 고찰하였다. 1980~1990년 사이에 출판된 아동・청소년층을 대상으로 발굴・재화 된 인도네시아 옛이야기는 1,000여 편에 이른다. 『366편 인도네시아 설화집』(2015)은 인도네시아 전역의 설화 중에서 366편을 골라 대중적으로 소개했다는데 의미 있다. 무르티 부난타는 인도네시아 설화의 주요 작품들을 국내외에 소개하고 동화로 다시쓰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nelitian cerita rakyat di Indonesia dimulai oleh peneliti Belanda pada zaman penjajahan Belanda, lalu dilanjutkan oleh peneliti Indonesia setelah Indonesia merdeka. Proyek pengumpulan cerita rakyat dari berbagai daerah di Indonesia dimulai pada tahu...
Penelitian cerita rakyat di Indonesia dimulai oleh peneliti Belanda pada zaman penjajahan Belanda, lalu dilanjutkan oleh peneliti Indonesia setelah Indonesia merdeka. Proyek pengumpulan cerita rakyat dari berbagai daerah di Indonesia dimulai pada tahun 1970-an, lalu penelitian terkait cerita rakyat Indonesia semakin berkembang setelahnya. Cerita-cerita rakyat Indonesia dari berbagai daerah dan bahasa daerah tersebut diterjemahkan ke dalam bahasa Indonesia dan Inggris. Peneliti yang berperan besar dalam meneliti cerita rakyat Indonesia adalah James Danandjaja dan Murti Bunanta.
목차 (Table of Contents)
<게우사>, <이춘풍전>에 나타난 여성의 경제관념 양상
「추풍감별곡」 허판서와 허적(許積)의 관련 가능성에 대하여
근대시기 재중(在中) 서양인이 기록한 중국문화 경험담집의 체제와 성격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