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4년에 개최된 땅설법 지화 전시회를 계기로 지금까지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100여 종에 이르는 땅설법 지화의 분류적 특징과 의미 그리고 실제 땅설법에서 사용되는 지화의 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68721
2024
Korean
300
학술저널
65-92(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4년에 개최된 땅설법 지화 전시회를 계기로 지금까지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100여 종에 이르는 땅설법 지화의 분류적 특징과 의미 그리고 실제 땅설법에서 사용되는 지화의 양...
본 연구는 2024년에 개최된 땅설법 지화 전시회를 계기로 지금까지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100여 종에 이르는 땅설법 지화의 분류적 특징과 의미 그리고 실제 땅설법에서 사용되는 지화의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불교지화는 2000년대 에 들어 영산재 수륙재 등 다양한 불교의례의 복원과 함께 지화의 필요성도 주목받기 시작했다. 다만 지화의 복원에 있어서 조선시대의 감로탱화나 19-20세 기의 사진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조사와 복원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지화의 종류나 의미적 측면에서 헌화 공양적인 지화가 주를 이루었다. 이에 반해 땅설법 지화의 경우 기존의 지화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다양한 지화가 전승되고 있었으며 특히 불교 교리를 전하는 설법에서 사용되는 지화의 존재는 불교 지화의 성격과 특징에 있어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본론에서는 땅설법 지화 전시회 개최와 함께 간행된 도록의 해설과 땅설법 지화조성자인 다여스님의 구술을 바탕으로 땅설법 지화의 분류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불교 지화가 연화 모란 작약 등 꽃의 종류로 제시되었던 반면 땅설법 지화는 지화를 조성하는 의미와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있다. 특히 불교 경전을 바탕으로 조성되고 설법에서 사용되는 지화는 불교의 교리를 이해하고 이를 설법하는 법주의 자격적 요건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불교 지화와는 차별성을 가진다. 이에 땅설법 지화전 의 주제화인 ‘오지여래화’의 전거가 되는 대일경과 금강정경을 바탕으로 양계만다라와 오지여래 그리고 오방과 오색을 통한 조성과 배치 방법을 살펴보았 다. 이어서 지화전시에서 행해진 땅설법 <안락국태자경>의 시연을 통해 땅설법에 서 지화가 사용되는 양상을 ‘왕생화’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안락국태자경>의 서사에 있어서 중요한 모티브가 되는 ‘왕생게’를 한자음이 아닌 한글로 풀어서 도창을 하는 내용과 살(주름)을 접어 생의 고비를 표현하고 더불어 왕생하고자 하는 ‘왕생화’의 조성방법이 ‘왕생게’의 “자타일시 성불도(自他一時 成佛道)”의 의미를 강조하는데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taxonomic features and meanings of more than 100 species of Ttangseolbeop paper flowers that have not been known in the world until now, and how paper flowers are being used in Ttangseolbeop. Buddhist paper flowers began to gai...
This study examined the taxonomic features and meanings of more than 100 species of Ttangseolbeop paper flowers that have not been known in the world until now, and how paper flowers are being used in Ttangseolbeop. Buddhist paper flowers began to gain traction in the 2000s with the restoration of various Buddhist rituals such as 'Youngsanjae' and 'Suryukjae' and the need for paper flowers. Buddhist paper flowers was based on research and restoration work based on 'Gamrotanghwa' from the Joseon Dynasty and photographic data from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nd in terms of the type and meaning of paper flower, it was mainly which is a tribute to the offering of flowers. In the case of the 'Ttangseolbeop paper flowers', a variety of paper flowers were handed down that were incomparable to the existing paper flowers, and the existence of paper flowers used in the sermons based on the sutras that convey Buddhist doctrine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aper flowers.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ommentary in the Ttangseolbeop paper flowers book and the oral history of the 'Dayeo' who makes the Ttangseolbeop paper flowers. Whereas traditional Buddhist paper flowers were presented in terms of flower types, such as lotus peony chrysanthemum, the Ttangseolbeop paper flowers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paper flowers. In particular, Ttangseolbeop paper flowers, which is created based on Buddhist scriptures and used in sermons,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Buddhist paper flowers in that i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Buddhist doctrine and a qualification to teach it. Therefore, based on the Mahavairocana Tantra and Vajrasekhara Sutra, which are the basis for the 'The five great Buddhas flower(五智如來花)', and examined th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methods through the Mandala and The five great Buddhas, as well as the five directions and five colors. Then, through a demonstration of the Ttangseolbeop <Anlaggugtaejagyeong(安 樂國太子經)>, we learned about the use of Paper flower in the Ttangseolbeop, focusing on 'Going pure land flower(往生花)'. 'Going pure land flower' embodies the importance of chanting together in the content of 'Going pure land gatha(往生 偈)', which is an important motif in the narrative of <Anlaggugtaejagyeong>.
목차 (Table of Contents)
<게우사>, <이춘풍전>에 나타난 여성의 경제관념 양상
「추풍감별곡」 허판서와 허적(許積)의 관련 가능성에 대하여
근대시기 재중(在中) 서양인이 기록한 중국문화 경험담집의 체제와 성격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