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시집 『Peradaban Baru Corona: 99 Puisi Wartawan Penyair Indonesia』 (코로나 신 문명: 인도네시아 기자 시인의 시 99편)에 나타난 인도네시아 지역문화 와 결합적 위기 개념을 검토하는 것을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68725
2024
English
인도네시아 ; 팬데믹 문학 ; 결합적 위기 ; 맥락 ; 제도 ; Indonesia ; Pandemic literature ; Conjunctural crisis ; Context ; Institution
300
학술저널
179-20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시집 『Peradaban Baru Corona: 99 Puisi Wartawan Penyair Indonesia』 (코로나 신 문명: 인도네시아 기자 시인의 시 99편)에 나타난 인도네시아 지역문화 와 결합적 위기 개념을 검토하는 것을 목...
이 논문은 시집 『Peradaban Baru Corona: 99 Puisi Wartawan Penyair Indonesia』 (코로나 신 문명: 인도네시아 기자 시인의 시 99편)에 나타난 인도네시아 지역문화 와 결합적 위기 개념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맥락적 분석에 따르면 이 시집에 실린 시들은 인도네시아의 종교적 문학 전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 다. 사회정치적 맥락에서는 인도네시아 사회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하고 대응 하는 상황을 담고 있는 시집이다. 문화적 맥락의 측면에서 이 시집은 위기에 대처하는 데 있어서 종교와 전통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도적 분석 결과, 인도네시아 정부는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물질적 측면 외에도 영적 측면의 중요성을 제도적으로 강조하는 책임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세속 국가와는 달리, 인도네시아 지역문화에서는 코로나19 위기와 앞으로 닥칠 위기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생존, 회복력, 지속 가능성을 위한 투쟁에서 영적 측면과 물질적 측면의 역할을 분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notions of a conjunctural crisis and Indonesia as a region of culture in an anthology of poetry entitled Peradaban Baru Corona: 99 Puisi Wartawan Penyair Indonesia (Corona New Civilization: 99 Poems by Indonesian Jo...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notions of a conjunctural crisis and Indonesia as a region of culture in an anthology of poetry entitled Peradaban Baru Corona: 99 Puisi Wartawan Penyair Indonesia (Corona New Civilization: 99 Poems by Indonesian Journalist Poets). The contextual analysis found that the poems in the anthology have been influenced by religious literary tradition in Indonesia and socio-politically the anthology accommodates the circumstances of Indonesian society while experiencing and responding to COVID-19 pandemic. As for the cultural context, the anthology seems to emphasize the role of religion and tradition in coping with any crisis. The institutional analysis found, among other things, that Indonesian government seems to be responsible to institutional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besides physicality to come to terms with crises. In conclusion, unlike a secular state, Indonesia as a region of culture does not separate the roles of spirituality and physicality in the struggle for survival,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in dealing with COVID -19 crisis and with any crisis on the days to come.
목차 (Table of Contents)
<게우사>, <이춘풍전>에 나타난 여성의 경제관념 양상
「추풍감별곡」 허판서와 허적(許積)의 관련 가능성에 대하여
근대시기 재중(在中) 서양인이 기록한 중국문화 경험담집의 체제와 성격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