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은행나무(Ginkgo biloba L.)유식물의 자엽절에서 유관속형성층의 초기발생 = Early Ontogeny of Bascular Cambium in Cotyledonary Node of Ginkgo biloba L. Seedl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25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은행나무 유식물에서 유관속형성층은 성숙한 잎을 포함하여 5장의 잎이 자라고 있을 때 제일 먼저 자엽절에서 발생되고, 이어서 지하기관인 배축-뿌리로 그리고 지상부의 줄기로 즉, 양쪽 ...

      은행나무 유식물에서 유관속형성층은 성숙한 잎을 포함하여 5장의 잎이 자라고 있을 때 제일 먼저 자엽절에서 발생되고, 이어서 지하기관인 배축-뿌리로 그리고 지상부의 줄기로 즉, 양쪽 방향으로 분화되었다. 접선면 관찰에서 자엽절의 유관속형성층 발생유형은 줄기와 같고 뿌리와는 다르다. 자엽절에서 초기의 전형성층은 동일형의 세포로 구성된 균일구조를 이루고,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신장생장을 하는 일부세포와 횡단분열을 하는 나머지 세포의 두종류 세포로 된 비균일 구조로 전환된다. 신장을 하는 긴 세포로부터 유관속형성층의 방추형 시원세포가 그리고 횡단분열을 하는 짧은 세포로부터 방사조직 시원세포가 기원된다. 그러므로 방추형 시원세포가 심한 관입생장을 거쳐서 발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ascular cambium in Ginkgo biloba seedling began to differentiate in the cotyledonary node, and then the differentiation proceeded bidirectionally from the cotyledonary node toward the stem and root. In tangential view, procambium at the early dev...

      The vascular cambium in Ginkgo biloba seedling began to differentiate in the cotyledonary node, and then the differentiation proceeded bidirectionally from the cotyledonary node toward the stem and root. In tangential view, procambium at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 was a homogeneous structure consisted of almost similar cells in shape, and at later stage the procambium became a heterogeneous one consisted of long cells and short cells. Such a differentiation pattern in the cotyledonary node was similar to that in the stem. However, it was diffferent from that in the root. Fusiform initials and ray initials consisting the vascular cambium were originated from the long cells and the short cells, respectively. The long cells and the fusiform initials in the cotyledonary node were shorter and wider than those in the first internod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