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riticism of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and ecological thought in Park Solmoe’s “Stumbling Toward the Dark Night,” “Every Afternoon We” and “Winter’s Eyes”. These works, which depict th...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65864
2019
-
박솔뫼 ; 재난서사 ; 생태의식 ; 근대비판 ; 원전사고 ; Park Solmoe ; Disaster Narrative ; Criticism of Modernity ; Ecological Thought ; Nuclear Accident
8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3-68(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riticism of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and ecological thought in Park Solmoe’s “Stumbling Toward the Dark Night,” “Every Afternoon We” and “Winter’s Eyes”. These works, which depict t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riticism of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and ecological thought in Park Solmoe’s “Stumbling Toward the Dark Night,” “Every Afternoon We” and “Winter’s Eyes”. These works, which depict the virtual future after the Kori nuclear accident, can be read as criticism of anti-ecological society based on modernity. This paper analyzed this criticism of modernity and ecological thought in three aspects. First, these works, by unrealistic situation or gloomy daily life, represent the world in which the familiar reality disappears and the human existence itself is threatened. And by specifying that the cause of the disaster is the nuclear accident, it implies an ecological thought which criticize the present society. Second, these works criticize the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by clearly suggesting that the disaster that makes the future disappear is a result of blind economic development aimed at ‘developed countries’. Third, against the violent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rn ideology of progress, the characters of these works choose rambling without purpose and going to theater. They meet with the ruined world and regain solidarity with it through purposeless rambling, and participate in reality and form community through the theater. In these works, rambling and theater have a positive meaning against the ideals of development and progress. This analysis is an attempt to find a form of ecological thinking that is latent in 21st century Korean literature, which is called the postmodern era.
참고문헌 (Reference)
1 Alexievich, Svetlana, "체르노빌의 목소리" 새잎 2011
2 정선영, "왜 심층생태주의인가: 생태비평의 세 가지 근본주의 생태론 고찰"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377-392, 2015
3 전성욱, "세계의 끝’에 관한 인식과 그 서사화의 유형학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의 재난․종말 서사" 동남어문학회 1 (1): 5-35, 2014
4 복도훈, "세계의 끝 :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재난의 상상력과 이데올로기적 증상" 인문학연구원 (42) : 7-42, 2011
5 이상헌, "생태주의" 책세상 2011
6 김용민, "생태문학" 책세상 2003
7 김녕, "산책하는 공동(空洞) - 박솔뫼 소설에 대한 하나의 시선" (봄) : 183-196, 2018
8 김홍중, "사회학적 파상력" 문학동네 2016
9 김영찬, "비평극장의 유령들" 창비 2006
10 김종철,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 녹색평론사 2008
1 Alexievich, Svetlana, "체르노빌의 목소리" 새잎 2011
2 정선영, "왜 심층생태주의인가: 생태비평의 세 가지 근본주의 생태론 고찰"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377-392, 2015
3 전성욱, "세계의 끝’에 관한 인식과 그 서사화의 유형학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의 재난․종말 서사" 동남어문학회 1 (1): 5-35, 2014
4 복도훈, "세계의 끝 :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재난의 상상력과 이데올로기적 증상" 인문학연구원 (42) : 7-42, 2011
5 이상헌, "생태주의" 책세상 2011
6 김용민, "생태문학" 책세상 2003
7 김녕, "산책하는 공동(空洞) - 박솔뫼 소설에 대한 하나의 시선" (봄) : 183-196, 2018
8 김홍중, "사회학적 파상력" 문학동네 2016
9 김영찬, "비평극장의 유령들" 창비 2006
10 김종철,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 녹색평론사 2008
11 Benjamin, Walter, "보들레르의 작품에 나타난 제2제정기의 파리⋅보들레르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 외" 도서출판 길 2011
12 Nancy, Jean-Luc, "무위의 공동체" 인간사랑 2010
13 심진경, "극장적 세계와 탈정념 주체의 탄생" (겨울) : 114-132, 2014
14 정여울, "구원 없는 세계에서 살아남기- 2000년대 한국문학에 나타난 ‘재난’과 ‘파국’의상상력" (겨울) : 333-346, 2010
15 최수임, "공동체의 장소 상상의 공동체: 마리오 가르시아 토레스 <<당신은 눈을 본 적이 있나요?>> 박솔뫼 「을」, 배수아 「북쪽 거실」" 인문학연구원 99 : 33-63, 2013
16 박솔뫼, "겨울의 눈빛" 문학과지성사 2017
17 정여울, "『을』 작품해설" 자음과모음 203-220, 2010
18 백지은, "2000년대 소설에서 ‘환상’을 사유하기"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9 : 37-61, 2015
용인지역 문학비 실태와 문학순례길 제언 - 문학인 묘소, 문화공간으로서 의미
박솔뫼의 재난서사에 나타난 생태의식 연구 - 원전 사고 이후를 그린 작품들을 중심으로
북한 대집단체조의 변천 연구 - 정치사회적 기능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7 | 0.07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