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광역 지자체별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수준을 파악하고, 비교하여 향후 광역 지자체 수준에서 노인대상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필요성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01436
2020
Korean
Community care ; Integrated care ; Elderly ; Healthcare ; Welfare ; 커뮤니티케어 ; 통합돌봄 ; 노인 ; 의료 ; 복지
KCI등재
학술저널
194-20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광역 지자체별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수준을 파악하고, 비교하여 향후 광역 지자체 수준에서 노인대상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필요성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
이 연구는 광역 지자체별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수준을 파악하고, 비교하여 향후 광역 지자체 수준에서 노인대상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필요성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년 노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17개 광역 지자체 노인 10,299명의 설문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며,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의료 요구, 일상생활 수행지원 요구,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의 지역간 차이는 최저 지역에 비해 최고지역에서 각각 2,4배, 6.0배, 2.0배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의료요구군, 복지요구군, 통합돌봄 요구군의 크기도 지역별로 매우 다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통합돌봄 요구는 광역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통합돌봄 서비스를 전국적 수준에서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광역 지자체별 대상자 요구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라 돌봄 서비스 내에서 우선 순위 선정과 활용 가능한 자원 파악 및 적절한 배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compare the needs of the integrated by local govern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vision of integrated care services. This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using data from 10,299 elderly people l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compare the needs of the integrated by local govern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vision of integrated care services. This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using data from 10,299 elderly people living in 17 local governm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National Survey on the Aged People in Korea’. The difference in medical needs, daily living support needs, and social activity support needs were 2.4, 6.0, and 2.0 times higher in the highest regions than in the lowest regions. In addition, the size of the medical needs group, welfare needs group, and integrated care needs group varied by reg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integrated care needs varied by region.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provide the services at the n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assess the needs of the aged in each local government, and accordingly, prioritize and identify available resources within the care service and appropriate allo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일순, "틀니 보험적용에 따른 지역간 차이와 이용 영향 요인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401-409, 2018
2 정진영, "지역 간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 변이요인 연구 : 지역사회건강조사와 지역 특성 연계자료를 기반으로"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3 (43): 91-108, 2017
3 강성홍, "주관적 건강인식률의 지역별 차이" 한국보건사회학회 (39) : 5-24, 2015
4 김춘배, "우리나라 보건지표의 지역 격차: 지경학적 고찰과 대응방안" 한국보건행정학회 28 (28): 240-250, 2018
5 김형수, "서울특별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 중소기업융합학회 10 (10): 177-187, 2020
6 이한나, "고령화 수준의 지역 간 차이 분석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15 (15): 19-30, 2017
7 J. Lim, "The current state of Community Care in Japan : with special reference to Community Care Ceters" 5 : 67-77, 2018
8 Seoul North Municipal Hospital, "The 3rd 301 network and public health symposium: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network project" Seoul North Municipal Hospital 2016
9 B. H. Lee, "Regional Difference on the Attitude and Engagement of Elderly Koreans Toward Social Policy" 12 : 1-94, 2015
10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anual of 2019 Visiting community service cen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1 박일순, "틀니 보험적용에 따른 지역간 차이와 이용 영향 요인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401-409, 2018
2 정진영, "지역 간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 변이요인 연구 : 지역사회건강조사와 지역 특성 연계자료를 기반으로"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3 (43): 91-108, 2017
3 강성홍, "주관적 건강인식률의 지역별 차이" 한국보건사회학회 (39) : 5-24, 2015
4 김춘배, "우리나라 보건지표의 지역 격차: 지경학적 고찰과 대응방안" 한국보건행정학회 28 (28): 240-250, 2018
5 김형수, "서울특별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 중소기업융합학회 10 (10): 177-187, 2020
6 이한나, "고령화 수준의 지역 간 차이 분석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15 (15): 19-30, 2017
7 J. Lim, "The current state of Community Care in Japan : with special reference to Community Care Ceters" 5 : 67-77, 2018
8 Seoul North Municipal Hospital, "The 3rd 301 network and public health symposium: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network project" Seoul North Municipal Hospital 2016
9 B. H. Lee, "Regional Difference on the Attitude and Engagement of Elderly Koreans Toward Social Policy" 12 : 1-94, 2015
10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anual of 2019 Visiting community service cen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1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anual of 2019 Care SOS Cen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itiation of social service focused on home community (press releas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1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ome care medicine in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1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Guide of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in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8
15 M. Le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Health Center Use of Older Persons by Area of Residence" 21 (21): 119-129, 2001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munity integrated care, first step in eight municipalities(press releas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자동차용 DC-DC 컨버터의 전자파 방사 감소 방법에 대한 시뮬레이션 연구
음원탐지 및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재용 IoT 디바이스 시스템 설계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콘텐츠를 활용한 인지재활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22-06-01 | 평가 | 등재학술지 취소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2-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융합정보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