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원탐지 및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재용 IoT 디바이스 시스템 설계 = The Design of IoT Device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using Sound Source Detection and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01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lates to an IoT device system that detects sound source and estimates the sound source location. More specifically, it is a system using a sound source direction detection device that can accurately detect the direction of a sound source by analyzing the difference of arrival time of a sound source signal collected from microphone sensors, and track the generation direction of a sound source using an IoT sensor. As a result of a performance test by generating a sound source, it was confirmed that it operates very accurately within 140dB of the acoustic detection area, within 1 second of response time, and within 1° of directional angle resolution. In the future, based on this design plan, we plan to commercialize it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by reflect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rough big data analysis.
      번역하기

      This paper relates to an IoT device system that detects sound source and estimates the sound source location. More specifically, it is a system using a sound source direction detection device that can accurately detect the direction of a sound source ...

      This paper relates to an IoT device system that detects sound source and estimates the sound source location. More specifically, it is a system using a sound source direction detection device that can accurately detect the direction of a sound source by analyzing the difference of arrival time of a sound source signal collected from microphone sensors, and track the generation direction of a sound source using an IoT sensor. As a result of a performance test by generating a sound source, it was confirmed that it operates very accurately within 140dB of the acoustic detection area, within 1 second of response time, and within 1° of directional angle resolution. In the future, based on this design plan, we plan to commercialize it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by reflect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rough big data analys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음원 탐지 및 음원 위치를 추정하는 IoT Device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마이크로폰 센서로부터 수집된 음원 신호의 도달 시간차를 분석하여 음원의 방향을 정확히 검출하고, IoT 센서를 이용하여 음원의 발생방향을 추적할 수 있는 음원 방향 탐지 Device를 이용한 시스템이다. 음파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은 예전부터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지만 현재는 이를 응용하여 방범‧방재 분야 등에 많이 쓰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시스템의 제작을 통해 옥외에 설치한 후 여러 방향에서 음원 발생시켜 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음향 탐지 영역 140dB, 반응시간 1초 이내, 방향 각도 분해능 1° 이내로 매우 정확하게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본 설계안을 바탕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반영하여 보다 신뢰성을 향상시켜 상용화할 계획에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음원 탐지 및 음원 위치를 추정하는 IoT Device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마이크로폰 센서로부터 수집된 음원 신호의 도달 시간차를 분석하여 음원의 방향을...

      본 논문은 음원 탐지 및 음원 위치를 추정하는 IoT Device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마이크로폰 센서로부터 수집된 음원 신호의 도달 시간차를 분석하여 음원의 방향을 정확히 검출하고, IoT 센서를 이용하여 음원의 발생방향을 추적할 수 있는 음원 방향 탐지 Device를 이용한 시스템이다. 음파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은 예전부터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지만 현재는 이를 응용하여 방범‧방재 분야 등에 많이 쓰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시스템의 제작을 통해 옥외에 설치한 후 여러 방향에서 음원 발생시켜 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음향 탐지 영역 140dB, 반응시간 1초 이내, 방향 각도 분해능 1° 이내로 매우 정확하게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본 설계안을 바탕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반영하여 보다 신뢰성을 향상시켜 상용화할 계획에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창용, "지하주차장에서 음의 세기를 이용한 퍼지로직 기반 음원 위치추정 시스템" 한국통신학회 38 (38): 434-439, 2013

      2 황보연, "이산 웨이블릿 변환 기반 디-노이징 필터를 이용한 향상된 음원 위치 추정 연구"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1 (21): 1185-1192, 2015

      3 서상원, "실생활 음향 데이터 기반 이중 CNN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음향 이벤트 인식 알고리즘"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3 (23): 855-865, 2018

      4 S. Adavanne, "Sound Event Localization and Detectionof Overlapping Sources Using Convolu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s" 13 (13): 34-48, 2018

      5 K. Kalgaonkar, "Sensor and Data Systems, Audio-Assisted Cameras and Acoustic Doppler Sensors" 1-2, 2007

      6 A. Pourmohammad, "Real Time High Accuracy 3-D PHAT-Based Sound Source Localization Using a Simple 4-Microphone Arrangement" 6 (6): 455-468, 2012

      7 C. Liu, "Localization of Multiple Sound Sources with Two Microphones" 108 (108): 1888-1905, 2000

      8 D. Stowel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Acoustic Scenes and Events" 17 (17): 1733-1746, 2015

      9 J. Rajagukguk, "Detection System of Sound Noise Level(SNL)Based on Condenser Microphone Sensor, IOP Conf" 970 : 1-7, 2017

      10 정석환, "CRNN 기반의 소리 이벤트 검출 성능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 17 (17): 84-91, 2019

      1 최창용, "지하주차장에서 음의 세기를 이용한 퍼지로직 기반 음원 위치추정 시스템" 한국통신학회 38 (38): 434-439, 2013

      2 황보연, "이산 웨이블릿 변환 기반 디-노이징 필터를 이용한 향상된 음원 위치 추정 연구"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1 (21): 1185-1192, 2015

      3 서상원, "실생활 음향 데이터 기반 이중 CNN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음향 이벤트 인식 알고리즘"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3 (23): 855-865, 2018

      4 S. Adavanne, "Sound Event Localization and Detectionof Overlapping Sources Using Convolu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s" 13 (13): 34-48, 2018

      5 K. Kalgaonkar, "Sensor and Data Systems, Audio-Assisted Cameras and Acoustic Doppler Sensors" 1-2, 2007

      6 A. Pourmohammad, "Real Time High Accuracy 3-D PHAT-Based Sound Source Localization Using a Simple 4-Microphone Arrangement" 6 (6): 455-468, 2012

      7 C. Liu, "Localization of Multiple Sound Sources with Two Microphones" 108 (108): 1888-1905, 2000

      8 D. Stowel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Acoustic Scenes and Events" 17 (17): 1733-1746, 2015

      9 J. Rajagukguk, "Detection System of Sound Noise Level(SNL)Based on Condenser Microphone Sensor, IOP Conf" 970 : 1-7, 2017

      10 정석환, "CRNN 기반의 소리 이벤트 검출 성능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 17 (17): 84-91, 2019

      11 K. Yamaoka, "Abnormal sound detection by two microphones using virtual microphone technique" 478-481, 2017

      12 G. Raboshchuk, "A Knowledge-Based Approach to Automatic Detection of Equipment Alarm Sound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Environment" 6 : 1-10, 2017

      13 S. Jeon, "A Design of M2M BASED Intelligent Operating System for Effective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521-522,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융합정보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