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SCIE

      프로락틴 분비 거대 선종에서의 High Dose Hook Effect = High Dose Hook Effect in Macroprolactino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332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연, "프로락틴 분비 거대선종에서의 High-Dose Hook Effect" 대한내분비학회 20 (20): 148-153, 2005

      2 Brensing KA, "Underestimation of LH and FSH hormone concentrations in a patient with a gonadotropin secreting tumor" 697-698, 1989

      3 Haller BL, "Two automated prolactin immunoassays evaluated with demonstration of a high-dose" 437-438, 1992

      4 Popovic VP, "Pituitary adenomas secreting large amounts of prolactin may give false low values in immunoradiometric assays. The hook effect." 21 : 184-188, 1998

      5 Comtois R, "Immunoradiometric assays may miss high prolactin levels" 119 : 173-, 1993

      6 Garcia-Webb P,, "High- dose "hook"Fig. 1. High-dose hook effect를 보여주는 그림. (위) 정상적인 방사면역계수법. 호르몬의 특정 부위에 시험관에 부착된 항체(acpture antibody)와 표지항체(signal antibody)가 결합하여 샌드위치 결합체를 형성함. 결합하지 못한 표지항체는 세척 과정에서 제거되고 시험관에 부착되어 있는 표지항체의 양이 항원의 양을 반영함(아래). High dose hook effect. 고농도의 호르몬이 존재할 경우 항체의 결합 부위가 포화 상태를 이루어 샌드위치 결합체가 형성되는 것을 방해함. 세척 후 시험관에는 소량의 표지항체의 남아 있음. effect in measurement of somatotropin by two- site immunoradiometric assay." 32 : 2102-, 1986

      7 St-Jean E, "High prolactin levels may be missed by immunoradiometric assay in patients with macroprolactinomas" 44 : 305-9, 1996

      8 Zweig MH, "High dose hook effect in a two-site ZRMA for measuring thyrotropin" 27 : 494-495, 1990

      9 Barkan AL, "Giant pituitary prolactinoma with falsely low serum prolactin: the pitfall of the "high-dose hook effect": case report" 42 : 913-915, 1998

      10 Schofl C, "Falsely low serum prolactin in two cases of invasive macroprolactinoma" 5 : 261-265, 2002

      1 김성연, "프로락틴 분비 거대선종에서의 High-Dose Hook Effect" 대한내분비학회 20 (20): 148-153, 2005

      2 Brensing KA, "Underestimation of LH and FSH hormone concentrations in a patient with a gonadotropin secreting tumor" 697-698, 1989

      3 Haller BL, "Two automated prolactin immunoassays evaluated with demonstration of a high-dose" 437-438, 1992

      4 Popovic VP, "Pituitary adenomas secreting large amounts of prolactin may give false low values in immunoradiometric assays. The hook effect." 21 : 184-188, 1998

      5 Comtois R, "Immunoradiometric assays may miss high prolactin levels" 119 : 173-, 1993

      6 Garcia-Webb P,, "High- dose "hook"Fig. 1. High-dose hook effect를 보여주는 그림. (위) 정상적인 방사면역계수법. 호르몬의 특정 부위에 시험관에 부착된 항체(acpture antibody)와 표지항체(signal antibody)가 결합하여 샌드위치 결합체를 형성함. 결합하지 못한 표지항체는 세척 과정에서 제거되고 시험관에 부착되어 있는 표지항체의 양이 항원의 양을 반영함(아래). High dose hook effect. 고농도의 호르몬이 존재할 경우 항체의 결합 부위가 포화 상태를 이루어 샌드위치 결합체가 형성되는 것을 방해함. 세척 후 시험관에는 소량의 표지항체의 남아 있음. effect in measurement of somatotropin by two- site immunoradiometric assay." 32 : 2102-, 1986

      7 St-Jean E, "High prolactin levels may be missed by immunoradiometric assay in patients with macroprolactinomas" 44 : 305-9, 1996

      8 Zweig MH, "High dose hook effect in a two-site ZRMA for measuring thyrotropin" 27 : 494-495, 1990

      9 Barkan AL, "Giant pituitary prolactinoma with falsely low serum prolactin: the pitfall of the "high-dose hook effect": case report" 42 : 913-915, 1998

      10 Schofl C, "Falsely low serum prolactin in two cases of invasive macroprolactinoma" 5 : 261-265,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내분비학회지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외국어명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 미등록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Endocrin Society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6-0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 Korean Endocrin Society KCI등재
      2007-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 Journal of Korean Endocrin Socie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2 0.508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