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 금융교육이 금융소비자의 합리적 금융행동을 수반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다양한 의문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교육 형식요소의 개선을 위하여 지식전달형, 효율적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38484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1-269(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나라 금융교육이 금융소비자의 합리적 금융행동을 수반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다양한 의문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교육 형식요소의 개선을 위하여 지식전달형, 효율적학...
현재 우리나라 금융교육이 금융소비자의 합리적 금융행동을 수반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다양한 의문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교육 형식요소의 개선을 위하여 지식전달형, 효율적학습형, 학습자주도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각 프로그램이 금융소비자의 금융이해력함양과 비합리적 투자행동의 변화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 주도형 프로그램이 금융이해력 함양에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고, 일시적이고 미약하지만 비합리적 투자행동에도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이해력의 함양이 직접적으로 학습자의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증거를 찾아내지는 못했으나, 금융교육의 내용 및 형식요소를 모두 학습자 중심으로 강화한 집단의 경우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controversial whether contemporary financial education brings about rational action of consume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on consumers’ financial literacy and investment behaviors. The programs were d...
It is controversial whether contemporary financial education brings about rational action of consume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on consumers’ financial literacy and investment behaviors. The programs were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formal elements, such as teaching method, learning method and scale of students, in financial education and consisted of three types: Knowledge- delivery type, effective learning-applied type and learner-centered type programs. As a result, learner-centered program was most positive about financial literacy and contributed to change irrational investment behaviors, limited though. This study did not reveal that enhancing financial literacy was related to the change of action to the consumers, but that learner-centered program was significantly positive result.
일반논문 : 사회적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본 남녀관리자의 임금 차이
정책논문 : 배출권 가격 변동성 안정화 장치에 대한 연구
일반논문 : 펀드 투자수익에 대한 비과세 특례조항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기획논문 : 맞벌이 임금근로자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은 상호 대체재인가? 법정근로시간단축제도 시행에 따른 시장노동시간의 변화를 이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