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 성별에 따른 지위비행의 영향요인 연구 : 여가유형, 애착 및 부정정서를 중심으로 = Gender difference analysis for status offen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Leisure types, attachments, and negative affection oriented approach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tatus offen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erms of leisure participation types, negative affections, and attachments. Male and female students are separately examined. The main explanatory factors are leisure participation types (passive/active participation, social leisure participation), attachments (parental/peer/teacher attachments), and negative affections (aggression, stress, depression). These factors are selected by social control and personality trait theories. The following results are empirically obtained: first, leisure participation significantly reduces status offences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For male students, both passive and active participation reduce the status offences, whereas only passive participation reduces the status offences for female students. Second, attachments have ambivalent effects. Specifically, parental attachments reduce status offences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eacher attachments reduces status offenses only for female students. Peer attachment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le (resp. female) students’ school truancy (resp. drinking and smoking). Third, aggression is the most effectively associated with status offenses among the negative affections, and depress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le (resp. female) students’ drinking and school truancy (resp. drinking). On the other hand, stress is more positively (resp. negatively) associated with smoking (resp. school truanc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tatus offen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erms of leisure participation types, negative affections, and attachments. Male and female students are separately examined. The m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tatus offen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erms of leisure participation types, negative affections, and attachments. Male and female students are separately examined. The main explanatory factors are leisure participation types (passive/active participation, social leisure participation), attachments (parental/peer/teacher attachments), and negative affections (aggression, stress, depression). These factors are selected by social control and personality trait theories. The following results are empirically obtained: first, leisure participation significantly reduces status offences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For male students, both passive and active participation reduce the status offences, whereas only passive participation reduces the status offences for female students. Second, attachments have ambivalent effects. Specifically, parental attachments reduce status offences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eacher attachments reduces status offenses only for female students. Peer attachment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le (resp. female) students’ school truancy (resp. drinking and smoking). Third, aggression is the most effectively associated with status offenses among the negative affections, and depress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le (resp. female) students’ drinking and school truancy (resp. drinking). On the other hand, stress is more positively (resp. negatively) associated with smoking (resp. school truan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지위비행에 대한 여가유형, 부정정서 및 애착의 영향력을 성별집단에 따라 검증하는 것이다. 주요 예측변인인 여가참가 유형(수동적 , 능동적, 사회적 여가참가), 애착(부모, 친구, 교사애착)과 부정적 정서(공격성, 스트레스, 우울)는 청소년 비행행동을 설명하는 전통적 이론 중 하나인 사회통제 이론과 개인 특성이론을 바탕으로 추출되었다. 연구대상은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초등4(5년차)]에 해당하는 남학생 1,303명, 여학생 1,145명, 총 2,448명이었다. 여가참가 유형, 애착 및 부정정서가 중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여가참가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지위비행 감소요인이다. 남학생의 경우에는 수동, 능동적 여가참가는 비행행동을 감소시킨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수동적 여가참가 만이 비행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애착은 남녀의 지위비행을 강화 또는 감소시키는 이중적 역할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모 애착은 남녀 모두에게서 공통된 비행행동의 감소요인이다. 그러나 교사 애착은 여학생에게서만 비행행동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친구 애착은 남학생의 무단결석, 여학생의 음주와 흡연을 강화시키는 요인이었다. 셋째, 부정정서 중 공격성은 남녀학생 모두 모든 지위비행을 강화시키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남학생의 음주와 무단결석, 여학생의 음주를 강화시키는 주요 요인이었다. 한편 스트레스는 남학생에게서만 흡연을 강화시키거나, 무단결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지위비행에 대한 여가유형, 부정정서 및 애착의 영향력을 성별집단에 따라 검증하는 것이다. 주요 예측변인인 여가참가 유형(수동적 , 능동적, 사회적 여가참가),...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지위비행에 대한 여가유형, 부정정서 및 애착의 영향력을 성별집단에 따라 검증하는 것이다. 주요 예측변인인 여가참가 유형(수동적 , 능동적, 사회적 여가참가), 애착(부모, 친구, 교사애착)과 부정적 정서(공격성, 스트레스, 우울)는 청소년 비행행동을 설명하는 전통적 이론 중 하나인 사회통제 이론과 개인 특성이론을 바탕으로 추출되었다. 연구대상은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초등4(5년차)]에 해당하는 남학생 1,303명, 여학생 1,145명, 총 2,448명이었다. 여가참가 유형, 애착 및 부정정서가 중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여가참가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지위비행 감소요인이다. 남학생의 경우에는 수동, 능동적 여가참가는 비행행동을 감소시킨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수동적 여가참가 만이 비행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애착은 남녀의 지위비행을 강화 또는 감소시키는 이중적 역할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모 애착은 남녀 모두에게서 공통된 비행행동의 감소요인이다. 그러나 교사 애착은 여학생에게서만 비행행동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친구 애착은 남학생의 무단결석, 여학생의 음주와 흡연을 강화시키는 요인이었다. 셋째, 부정정서 중 공격성은 남녀학생 모두 모든 지위비행을 강화시키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남학생의 음주와 무단결석, 여학생의 음주를 강화시키는 주요 요인이었다. 한편 스트레스는 남학생에게서만 흡연을 강화시키거나, 무단결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준호, "한국 청소년 비행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공부압력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2 심은실,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의 관계: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97-119, 2011

      3 이철화, "초등학교 학생의 여가활동과 비행" 10 : 579-596, 1998

      4 이승훈, "청소년이 여가생활양식과 비행의 관계" 4 : 161-182, 1995

      5 강방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13-241, 2014

      6 성윤숙,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및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291-321, 2006

      7 염동문, "청소년의 인터넷과다사용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159-183, 2014

      8 김지혜,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이 인터넷 활용유형을 매개로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4 : 31-59, 2013

      9 김도연,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변화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의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169-197, 2014

      10 이재경, "청소년기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비행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51-73, 2012

      1 김준호, "한국 청소년 비행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공부압력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2 심은실,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의 관계: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97-119, 2011

      3 이철화, "초등학교 학생의 여가활동과 비행" 10 : 579-596, 1998

      4 이승훈, "청소년이 여가생활양식과 비행의 관계" 4 : 161-182, 1995

      5 강방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13-241, 2014

      6 성윤숙,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및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291-321, 2006

      7 염동문, "청소년의 인터넷과다사용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159-183, 2014

      8 김지혜,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이 인터넷 활용유형을 매개로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4 : 31-59, 2013

      9 김도연,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변화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의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169-197, 2014

      10 이재경, "청소년기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비행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51-73, 2012

      11 이미라, "청소년 지위비행과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의 인과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 (20): 1-16, 2012

      12 김경식, "청소년 비행의 영향 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22, 2007

      13 정민영, "청소년 비행 제재수단에 관한 연구" 13 : 55-61, 1996

      14 박세혁, "청소년 비행 예방과 치료를 위한 여가스포츠의 예방" 5 (5): 33-46, 1998

      15 최은영, "청소년 비행 및 약물중독상담" 학지사 2005

      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문제행동 저연령화 실태 및 정책과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17 보건복지부,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18 박난주, "중학생이 지각한 부-자녀 간 친밀도와 지위비행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19 이혜선, "중학생의 휴대폰 과다사용과 애착 및 행동문제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 : 79-95, 2007

      20 김나영, "중학생의 여가활동과 흡연 ․ 음주와의 관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131-140, 2011

      21 조양현, "중학생들의 여가권태와 비행과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2 이윤영,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가 스트레스와 지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6 (36): 36-48, 2012

      23 곽상은, "애착, 비공식낙인, 공격성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0 (10): 77-95, 2013

      24 김영심, "아동의 비행 예방과 치료를 위한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11 (11): 1-9, 2010

      25 김재엽, "신체학대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69-191, 2012

      26 이주리, "부모 및 친구애착과 비행 간 관계 : 종단 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5 (15): 21-30, 2011

      27 이영길, "권태감 및 여가 권태감과 청소년 약물 남용과의 관계" 7 : 76-90, 1990

      28 김홍록, "고등학생의 e-스포츠참가정도와 학교생활, 사회성, 비행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1 (51): 337-345, 2012

      29 Reiss, A. J, "Violence in families: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violence" 1 : 221-245, 1993

      30 Neulinger, J, "The psychology of leisure" Charles C. Thomas 1974

      31 Fergusson, D. M, "Show me the child at seven: the consequences of conduct problems in childhood for psychosocial functioning in adulthood" 46 (46): 837-849, 2005

      32 Shin, K, "Leisure type, leisure satisfaction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7 (7): 53-62, 2013

      33 Godbey, G, "Leisure in your life: An exploration" Venture Publishing 1994

      34 Robertson, B. J, "Leisure in the lives of male adolescents who engage in delinquent activity for excitement" 12 (12): 29-46, 1994

      35 Wright, J. P, "Family social capital and delinquent involvement" 29 : 1-9, 2001

      36 Patterson, I, "Exploring the links between leisure boredom and alcohol use among youth in rural and urban areas of Australia" 18 (18): 53-75, 2000

      37 Hirschi, T, "Causes of Delinquency" Transaction Publishers 2002

      38 Silk, J. S,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in daily life : Links to depressive symptoms and problem behavior" 74 (74): 1869-1880, 2003

      39 Aguilar, T. E, "A leisure perspective of delinquent behavior"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5 1.25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5 1.3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