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립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실행정도가 학급경영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Supervision on Class Mana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331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supervision on class management. Several questions were set for this study demonstrating career differ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n self-supervision and of self-supervision on class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teachers working at the public kindergartens who attended the n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teachers during the summer session in 2004.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for asking kindergarten teachers` overall awareness on self-supervision and class management.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nd revised to the current situations of public kindergartens based on the questionnaire by Lee Jeong-eun (1996). The data from the teachers were examined for content validity.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frequency, percentile, and chi-square test were adopted through the SPSS WIN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supervision was the most popular form of supervisio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teachers who have long careers preferred self-supervision, while new and mid-career teachers liked to do class research. Secondly, on the implementation of self-supervision, the long-term career teachers tended to plan their supervision in detail, therefore, implement it concretely. According to this research, teachers with the results from the supervision, reflected on their teaching, evaluated themselves and adopted their new methods in the education field. Finally,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kinds of supervision of teachers was proved to be very helpful to their class management and self-supervision; especially, which leads to activate class manag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supervision on class management. Several questions were set for this study demonstrating career differ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n self-supervision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supervision on class management. Several questions were set for this study demonstrating career differ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n self-supervision and of self-supervision on class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teachers working at the public kindergartens who attended the n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teachers during the summer session in 2004.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for asking kindergarten teachers` overall awareness on self-supervision and class management.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nd revised to the current situations of public kindergartens based on the questionnaire by Lee Jeong-eun (1996). The data from the teachers were examined for content validity.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frequency, percentile, and chi-square test were adopted through the SPSS WIN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supervision was the most popular form of supervisio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teachers who have long careers preferred self-supervision, while new and mid-career teachers liked to do class research. Secondly, on the implementation of self-supervision, the long-term career teachers tended to plan their supervision in detail, therefore, implement it concretely. According to this research, teachers with the results from the supervision, reflected on their teaching, evaluated themselves and adopted their new methods in the education field. Finally,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kinds of supervision of teachers was proved to be very helpful to their class management and self-supervision; especially, which leads to activate class manag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희, "초등학교 교원이 지각한 자기장학의 실태와 개선방안" 2000

      2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장학 실태 및 개선방안" 2000

      3 정재섭,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장학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1999

      4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장학에 관한 인식 조사" 2001

      5 유영옥, "초등교사의 자기장학 형태와 학급경영 수행과의 관계" 2001

      6 오춘미, "초등교사의 자기장학 실태와 저해요인 분석" 2001

      7 "장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999

      8 "장학론 교육행정 전문서5" 도서출판 하우 1995

      9 배선옥, "자기장학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1997

      10 박정현, "자기장학 형태가 교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1994

      1 김명희, "초등학교 교원이 지각한 자기장학의 실태와 개선방안" 2000

      2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장학 실태 및 개선방안" 2000

      3 정재섭,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장학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1999

      4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장학에 관한 인식 조사" 2001

      5 유영옥, "초등교사의 자기장학 형태와 학급경영 수행과의 관계" 2001

      6 오춘미, "초등교사의 자기장학 실태와 저해요인 분석" 2001

      7 "장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999

      8 "장학론 교육행정 전문서5" 도서출판 하우 1995

      9 배선옥, "자기장학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1997

      10 박정현, "자기장학 형태가 교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1994

      11 이정은,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 및 수행현황" 1996

      12 이영순,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 방안" 2000

      13 이춘복,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장학에 대한 기대수준과 실행수준에 관한 연구" 1998

      14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이해" 서울: 양서원 2001

      15 조성일, "유아교육기관 관리" 서울: 동문사 2000

      16 이영자, "유아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2001

      17 신옥분, "유아교사를 위한 자기장학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18 "변화하는 시대의 장학" 서울: 원미사 1999

      19 "교직관과 자기장학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20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4

      21 "교육행정 및 교육행정 신강" 서울: 형설출판사 1998

      22 "교수-학습과정 되돌아보기" 서울: 창지사 2000

      23 "교내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한 분석적 연구" 1996

      24 이윤식, "과학과 예술"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4 1.91 2.283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