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4주간의 축구영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저학년, 고학년)의 신체조성, 기초 체력,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자 초등학생 80명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77999
2018
-
578
KCI등재
학술저널
306-315(1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4주간의 축구영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저학년, 고학년)의 신체조성, 기초 체력,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자 초등학생 80명을 ...
본 연구는 24주간의 축구영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저학년, 고학년)의 신체조성, 기초 체력,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자 초등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저학년 40명, 고학년 4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은 주 1회, 24주간 실시되었으며,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그룹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위하여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조성 중 근육량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지방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초체력은 모든 변인에서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심폐지구력, 근력, 순발력에서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룹 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남학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tball talents program on body composition, fitness,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eighty males students volunteers, composed of the lower 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tball talents program on body composition, fitness,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eighty males students volunteers, composed of the lower group (n=40; 1-3th grade) and senior group (n=40; 4-6th grade). The test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d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The alpha level of p<0.05 was set for all tests of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both group were as follows; The muscle mass in the body composition had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ody fat mas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Fitness(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flexibility, power and agility) had significantly increase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power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had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Therefore, the football talent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 seems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영길, "축구 경기력 결정 심리요인의 위계적 중요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15 (15): 102-113, 2004
2 장세웅, "초등학생의 체력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 및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211-221, 2012
3 김도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체격과 체력간 관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2 (22): 1645-1656, 2011
4 이광옥, "체육전공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관리,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05-116, 2012
5 김유나, "체육영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다중지능과 뇌파활성도" 한국초등체육학회 23 (23): 167-178, 2017
6 최규전, "체육영재 육성 사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205-218, 2011
7 김동화, "체육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 운동체력 향상도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89-98, 2016
8 천성용, "일반인과 엘리트 축구선수의 신체조성과 무릎 및 발목관절의 등속성 근력 특성 비교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385-1395, 2012
9 이미송, "음악줄넘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135-144, 2012
10 하숙례, "유소년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운동동기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사회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대회참여의 조절효과" 한국체육학회 56 (56): 173-183, 2017
1 윤영길, "축구 경기력 결정 심리요인의 위계적 중요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15 (15): 102-113, 2004
2 장세웅, "초등학생의 체력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 및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211-221, 2012
3 김도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체격과 체력간 관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2 (22): 1645-1656, 2011
4 이광옥, "체육전공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관리,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05-116, 2012
5 김유나, "체육영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다중지능과 뇌파활성도" 한국초등체육학회 23 (23): 167-178, 2017
6 최규전, "체육영재 육성 사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205-218, 2011
7 김동화, "체육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 운동체력 향상도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89-98, 2016
8 천성용, "일반인과 엘리트 축구선수의 신체조성과 무릎 및 발목관절의 등속성 근력 특성 비교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385-1395, 2012
9 이미송, "음악줄넘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135-144, 2012
10 하숙례, "유소년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운동동기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사회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대회참여의 조절효과" 한국체육학회 56 (56): 173-183, 2017
11 남정훈, "운동선수들의 영성, 스포츠정서 및 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 25 (25): 45-64, 2011
12 김정수, "세고리모형으로 해석한 축구영재성" 한국웰니스학회 12 (12): 237-249, 2017
13 고재식, "고교운동선수의 운동종목별 체형과 신체조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51) : 577-587, 2013
14 Reilly T, "The stability of fitness factors over a season of professional soccer as indicated by serial factor analysis, in Kinathropometry 11" University Park Press 247-257, 1980
15 N. Eisenberg, "The relation of children's dispositional pro-social behavior to emotionality, regulation and social functioning" 67 (67): 974-992, 1996
16 J. Bangsbo, "The physiology of soccer-with special reference to intense intermittent exercise" 619 : 1-155, 1994
17 J. Ekstrand, "The frequency of muscle tightness and injuries in soccer players" 10 (10): 75-78, 1982
18 Lee SK, "The effects of the training for self-regulated learning on children's attitude toward self-study and self-control" 1994
19 A. M. Elbe, "The development of volition in young athletes" 6 (6): 559-569, 2005
20 J. Martin, "Self-regulated learning, social cognitive theory and agency" 39 (39): 135-145, 2004
21 P. C. Kendall,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47 (47): 1020-1029, 1979
22 T. Stolen, "Physiology of soccer" 35 (35): 501-536, 2005
23 D. W. Chan, "Perceptions of giftedness and self-concepts among junior secondary students in Hong Kong" 31 : 243-253, 2001
24 J. P. Tangney,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72 (72): 271-324, 2004
25 S. Y. Shin,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physical education workforce; Athletic talented training project status and tasks" 109 : 9-15, 2009
26 Zimmerman BJ,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Handbook of self-regulation" CA Academic Press 13-39, 2000
27 Fowler N, "Assessment of muscle strength asymmetry in soccer players;Contemporary Ergonomics" Taylor and Francis 327-332, 1993
28 B. H. Linda, "Assessment of body composition in youth and relationship to sports" 6 : 146-164,
29 Kim MS, "A study on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ness on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2
30 Cha JE, "A study for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development" 1997
31 M. S. Ha, "A consideration on the physique, physical fitness levels and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obesity degree in 11-12 years old elementary school boys" 29 : 27-35, 2013
남해산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껍질의 생리활성 및 지질과산화 저해 활성에 미치는 영향
골프 드라이버 샤프트의 가변성이 타구속도, 헤드스피드 및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
화장품 소재와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도로분진 제어에 대한 연구
멍게 껍질(Ascidian shell)로부터 추출한 천연색소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9-01-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영문명 :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 ![]() |
2019-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2019-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06-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韓國油化學會誌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4 | 0.354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