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버넌스는 국가 중심의 조정 양식이 한계에 처한 상황에서 국가와 시장 및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주체들의 영향력 정도에 따라 실제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경찰학에서는 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거버넌스는 국가 중심의 조정 양식이 한계에 처한 상황에서 국가와 시장 및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주체들의 영향력 정도에 따라 실제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경찰학에서는 민...
거버넌스는 국가 중심의 조정 양식이 한계에 처한 상황에서 국가와 시장 및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주체들의 영향력 정도에 따라 실제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경찰학에서는 민경 협력을 통한 사전 예방적 치안 확보에 주된 관심을 두고 연구되고 있다. 거버넌스는 분권화·민영화·시장화 등에 의하여 정부와 국민을 동반자적 관계로 보고 국민의 복리증진·질서유지를 위한 방향키의 역할을 주된 임무로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의 개념과 이론을 접근 방식에 따라 국가 중심적 거버넌스, 시장 중심적 거버넌스, 시민사회 중심적 거버넌스로 나누어 고찰한다. 즉 관리주의적 관점이 국가 중심적이라고 한다면, 자본주의나 시장주의적 관점은 시장 중심적 거버넌스를 지향한다. 또한 민주주의적 관점은 시민사회 중심적 거버넌스를 지향한다. 즉 과거 우리 경찰은 국가 중심적 모형에 의존해 왔지만, 시대적 변화와 시민의식의 성숙으로 시민사회 중심의 네트워크 모형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우리 경찰조직은 시민사회 중심이나 시장 중심 모형의 전환 과정에서 자칫 관료들의 저항과 취약한 시민사회, 낮은 수준의 시장 기능 등으로 인해 혼란과 막대한 비용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세계화 및 정보화 수준을 감안하면 네트워크형 경찰 거버넌스 모형을 선택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네트워크형은 독립형과 달리 개별 주체들의 자율성을 유지하면서도 제도적으로 상호 공동목표와 기본 가치를 공유하면서 하나의 실체로 존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된 관리 체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모형은 모든 주체들이 상호존중의 파트너십을 통해 하나로 묶여지게 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정길, "행정학의 새로운 이해" 대명출판사 2000
2 배득종, "행정학 헤드스타트" 박영사 2006
3 강인호, "한국 지방정부의 행정윤리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10 (10): 1998
4 최선우, "치안서비스 공동생산론" 대왕사 2002
5 이영남, "참여형 치안거버넌스 모형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소 2 (2): 161-189, 2007
6 양문승,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시민사회 중심적 거버넌스"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32 : 2005
7 최선우, "지역사회 경찰 활동" 집문당 2001
8 김용철, "지방정부와 혁신정책" 대영문화사 2006
9 이영남, "바람직한 한국적 자치경찰 제도의 방향" 한국경찰연구학회 1 : 2005
10 이윤근, "민간경비원론" 엑스퍼트 2001
1 정정길, "행정학의 새로운 이해" 대명출판사 2000
2 배득종, "행정학 헤드스타트" 박영사 2006
3 강인호, "한국 지방정부의 행정윤리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10 (10): 1998
4 최선우, "치안서비스 공동생산론" 대왕사 2002
5 이영남, "참여형 치안거버넌스 모형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소 2 (2): 161-189, 2007
6 양문승,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시민사회 중심적 거버넌스"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32 : 2005
7 최선우, "지역사회 경찰 활동" 집문당 2001
8 김용철, "지방정부와 혁신정책" 대영문화사 2006
9 이영남, "바람직한 한국적 자치경찰 제도의 방향" 한국경찰연구학회 1 : 2005
10 이윤근, "민간경비원론" 엑스퍼트 2001
11 고숙희, "미래의 국정관리" 법문사 1998
12 김석준, "뉴거버넌스이론과 사이버 거버넌스" 이화여자대학 2000
13 김석준, "뉴거버넌스와 사이버 거버넌스 연구" 대영문화사 2001
14 김석준, "뉴거버넌스 연구" 대영문화사 2000
15 김번웅, "뉴거버넌스 시대의 정부신뢰와 e-행정" 한국행정연구원 9 (9): 2000
16 경찰청, "경찰혁신위원회 회의자료"
17 이영남, "경찰행정학" 대영문화사 2008
18 심익섭, "경찰지방자치 도입 방향" 서울학교 행정대학원 한국정책지식센터 2004
19 이영남, "경찰조직관리론" 법문사 2003
20 이상수, "경찰 신뢰확보,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자치발전연구원 14 (14): 2008
21 김석준, "거버넌스의 이해" 대영문화사 2002
22 Rhodes, R. A. W., "governa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in: Debating Governance" Oxford Univ. Press 2000
23 문신용, "e-거버넌스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발전방향: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06
24 Midttun, A., "The Weakness of Strong Governance and the Strength of Soft Regulation" 12 (12): 1999
25 Jessop, B., "The Rise of Governance and the Risks of Failure: the Case of Economic Development" published by UNESCO 155 : 1998
26 Frederickson, H. George, "The Repositioning of Administration" Political Science and Politics 1999
27 Rhodes, R. A. W., "The New Governance: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44 : 1996
28 Jessop, B., "The Governance of Complexity and the Complexity of Governance:Preliminary Remarks on Some Problems and Limits of Economic Guidance. in: Beyond Market and Hierarchy" Edword Elgar 1997
29 Osborne, David, "Reinventing Government: How the Entrepreneurial Spirit in Transforming the Public Sector" Addison-Wesley 1992
30 Sardi, X. C., "Overview on e-governance, Prepared in the Framework of the ICT Cross-Cutting Project for United Nations" 2002
31 Kooiman, J., "Modern Governance, New Government-Society Interactions" SAGE Publications 1994
32 Kooiman, J., "Modern Governance" SAGE 1993
33 Rosenau, J. N.,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Orde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34 Kooiman, J., "Governance and Public Management. in: Managing Public Organization" Sage Publisher 1993
35 Osborne, David,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Rethinking Public Administration" 8 : 1988
36 Jessop, B., "Governance Failure. in: The New Politics of British Local Governance" Macmillan 2000
37 Young, "Global Governance: Drawing Insights from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The MIT Press 1997
동료 및 상사와의 관계가 경찰공무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명예훼손행위의 위법성조각사유로서의 공익성 판단과 공적인물 이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23-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22-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Police Science Journal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7 | 0.97 | 0.8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8 | 0.75 | 1.02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