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2001년부터 2011년까지 11년간 한국신약학회의 대표적 학술지인 『신약논단』에 발표된 바울서신 및 바울신학에 대하여 발표된 논문들을 집중 분석하고 평가한 연후 향후 바람직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41583
201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83-824(42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2001년부터 2011년까지 11년간 한국신약학회의 대표적 학술지인 『신약논단』에 발표된 바울서신 및 바울신학에 대하여 발표된 논문들을 집중 분석하고 평가한 연후 향후 바람직한 ...
이 논문은 2001년부터 2011년까지 11년간 한국신약학회의 대표적 학술지인 『신약논단』에 발표된 바울서신 및 바울신학에 대하여 발표된 논문들을 집중 분석하고 평가한 연후 향후 바람직한 연구의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기간 내에 발표된 총 84편 가량의 관련 논문들에 대한 분석 결과 그동안 한국 신약학계 내에 바울서신의 연구 성과가 그 양과 질에서 큰 발전을 이룬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여전히 1차 자료의 미비, 연구 방법론 계발의 미흡, 서구원전의 자료에 일방적으로 함몰된 단순한 소개나 이식 수준의 논문쓰기 패턴 등으로 인해 아직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연구의 진로는 요원한 실정이다. 그렇다고 한국적인 관점의 독창성을 담보할 만한 연구가 활발한 형편도 못된다. 이런 방향의 선언적 주장은 많지만 그런 문제의식이 뿌리 내려야 하는 연구의 지형에 대한 발본적인 도전과 도약의 의욕이 미진한 때문이다. 이 논문은 결론적으로 바울 연구 현황에 대한 분석을 넘어 한국성서신학자들의 현주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공부의 기본기부터 다시 챙기는 혁신적 비평공동체의 창안을 주장하면서 그 정당성과 필연성의 사유를 밝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seeks to present an analytical survey on those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New Testament Studies in the area of Paul’s letters and Pauline theology from 2001 to 2011. With a critical overview on a total of 84 articles, it is shown th...
This essay seeks to present an analytical survey on those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New Testament Studies in the area of Paul’s letters and Pauline theology from 2001 to 2011. With a critical overview on a total of 84 articles, it is shown that Pauline scholarship in Korea has made an enormous progress in various ways. However, many limitations and problems are also detected as follows: 1) lack of primary resource materials for research; 2) shortcomings of methodological adventure and creative variations; 3) uncritical endorsement of western theories and perspectives; 4) absence of reciprocity in academic debate and open criticism. In addition, declaratory arguments for the genuinely Korean scholarship turn out to be an empty slogan sinc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deep-rooted reasons why the same voice is repeatedly raised without any substantial outcome of scholarly achievements. The author suggests that Korean New Testament scholars in general, and Pauline scholars in particular, are to buttress a ‘study community’ in which they can reflect the status quo of their research projects. The same perspective goes along with a critical view to envisioning the promising goals of the forthcoming generation. Part of the goals is to read honestly other scholars’ works of study and to review them critically in open discussion. By doing so, they will be able to gradually accumulate their core achievements in this indigenous bedrock of the scholarly worl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성국, "회심 공동체의 생성, 보존, 전수-데살로니가전서와 빌립보서의 사회적 연구" 한국신약학회 6 : 137-157, 2000
2 최영숙, "화해를 향한 바울의 몸짓-예루살렘 초대교회를 위한 구제헌금" 한국신약학회 18 (18): 1103-1143, 2011
3 최흥식, "할례의 구원 효력: 갈라디아 대적자들의 할례 요구에 대한 신학적 근거" 10 (10): 89-115, 2003
4 김동수, "한국신약학의 현황과 미래" 한국기독교학회 (50) : 49-68, 2007
5 윤소정, "하나님의 의를 통한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의 연합 -로마서 3:27-4:3을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8 (18): 521-556, 2011
6 오성종, "칼빈과 루터의 갈라디아서 주석의 율법관 비교" 한국신약학회 17 (17): 657-709, 2010
7 이재현, "종말에 있을 유대인과 이방인의 논쟁-로마서 2장 15-16절 다시 고려하기" 한국신약학회 18 (18): 199-239, 2011
8 최영실, "제국의 권력과 그리스도인 -로마서 13:1-7절의 사회사적․ 편집사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6 (16): 135-172, 2009
9 김판임, "의의 선생과 사도 바울 비교-1QH, 20-30와 고후 6:1-10을 중심으로" 9 (9): 2002
10 서동수, "율법의 구원사적 기능: 바울신학의 재해석" 한국신약학회 16 (16): 231-268, 2009
1 홍성국, "회심 공동체의 생성, 보존, 전수-데살로니가전서와 빌립보서의 사회적 연구" 한국신약학회 6 : 137-157, 2000
2 최영숙, "화해를 향한 바울의 몸짓-예루살렘 초대교회를 위한 구제헌금" 한국신약학회 18 (18): 1103-1143, 2011
3 최흥식, "할례의 구원 효력: 갈라디아 대적자들의 할례 요구에 대한 신학적 근거" 10 (10): 89-115, 2003
4 김동수, "한국신약학의 현황과 미래" 한국기독교학회 (50) : 49-68, 2007
5 윤소정, "하나님의 의를 통한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의 연합 -로마서 3:27-4:3을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8 (18): 521-556, 2011
6 오성종, "칼빈과 루터의 갈라디아서 주석의 율법관 비교" 한국신약학회 17 (17): 657-709, 2010
7 이재현, "종말에 있을 유대인과 이방인의 논쟁-로마서 2장 15-16절 다시 고려하기" 한국신약학회 18 (18): 199-239, 2011
8 최영실, "제국의 권력과 그리스도인 -로마서 13:1-7절의 사회사적․ 편집사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6 (16): 135-172, 2009
9 김판임, "의의 선생과 사도 바울 비교-1QH, 20-30와 고후 6:1-10을 중심으로" 9 (9): 2002
10 서동수, "율법의 구원사적 기능: 바울신학의 재해석" 한국신약학회 16 (16): 231-268, 2009
11 김판임, "왜 여자만 머리를 덮으라고 하는가?(고린도전서 11장 2-16절에 관한 연구)" 한국신약학회 16 (16): 495-533, 2009
12 정승우, "왜 바울은 하나님 나라에 대해 침묵하는가?" 한국신약학회 13 (13): 401-429, 2006
13 최흥식, "왜 바울은 “율법의 행위들”을 통한 칭의를 부정하는가?" 11 (11): 181-203, 2004
14 정승우, "옛날 옛적 로마에서는: 로마의 크리스찬 공동체의 기원과 형성에 대해서" 11 (11): 89-117, 2004
15 홍성철, "에베소서 1:17-23에서의 정사와 권세와 로마 황제숭배사상" 한국신약학회 15 (15): 135-177, 2008
16 배현주, "악의 상징을 통해서 본 바울의 고린도교회 교육" 10 (10): 689-721, 2003
17 김경희, "신약성서개론 : 한국인을 위한 최신 연구" 대한기독교서회 2002
18 장흥길, "신약성경윤리"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2
19 차정식, "속사람의 신학적 인간학과 대안적 인성 계발" 한국신약학회 18 (18): 163-197, 2011
20 문병구, "생명의 회복과 완성을 갈망하는 인간 -로마서 7장 7-25절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한국신약학회 15 (15): 407-429, 2008
21 배재욱, "생명의 주 예수 그리스도(골 3:1-17)" 한국신약학회 16 (16): 1187-1221, 2009
22 고영렬,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롬 11장 8-10절 읽기" 한국신약학회 18 (18): 241-270, 2011
23 이민규, "사도바울의 세 번째 하늘 체험-신비주의 종교체험의 관점에서 본 고린도후서 12:1-4" 한국신약학회 14 (14): 65-98, 2007
24 윤철원, "분쟁의 모티브로 읽는 고린도교회의 불일치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배려를 통한 교회 일치의 실천" 한국신약학회 16 (16): 461-494, 2009
25 김동수, "방언은 불신앙의 표식인가? -고린도전서 14:20-25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학회 (61) : 153-169, 2009
26 김철홍, "바울이 아라비아로 간 까닭은?: 갈라디아서 1:17에 나타난 바울의 선지자적 자의식"" 한국신약학회 16 (16): 173-198, 2009
27 왕인성, "바울의 헌금 사역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바울,예루살렘교회,바울서신수신자들과의관계성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4 (14): 1085-1119, 2007
28 오우성, "바울의 자비량 선교의 배경과 동기" 9 (9): 159-182, 2002
29 조광호, "바울의 율법이해" 한국신약학회 12 (12): 67-97, 2005
30 서동수, "바울의 역사적 예수:롬 1,3-4 "하나님의 아들"과 빌 2,6-11 "하나님의 형상"의 신학적 의미의 연관성에 대한 소고1. 들어가는 말" 한국신약학회 12 (12): 461-495, 2005
31 오우성, "바울의 사도 자의식과 생업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한국신약학회 8 (8): 51-74, 2001
32 김태훈, "바울의 불편한 양심 - 로마서 7장을 기초해서" 한국신약학회 16 (16): 199-229, 2009
33 김동수, "바울의 방언관: 고전 12:30b과 14:5a을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3 (13): 169-193, 2006
34 김덕기, "바울의 로마제국에 대한 정치적 태도와 정치신학 -빌립보서 1:27-30과 3:20-21을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7 (17): 711-753, 2010
35 최영숙, "바울의 고난과 하나님의 능력" 한국신약학회 17 (17): 395-425, 2010
36 현경식, "바울의 ‘오이코도메(oikodome)’ 윤리-고린도전서를 중심으로" 10 (10): 367-389, 2003
37 문병구, "바울의 sma 이해와 윤리-고린도전서 6:12-20의 해석학적 이해" 한국신약학회 15 (15): 105-133, 2008
38 서동수, "바울은 단지 이신칭의론자인가" 11 (11): 119-149, 2004
39 차정식, "바울서신의 축원문구와 기도 신학" 9 (9): 2002
40 최흥식, "바울서신에 나타난e;rga no,moupi,stij Cristou/반제에 대한 새 관점" 한국신약학회 12 (12): 805-854, 2005
41 김재성, "바울과 로마제국의 정치학" 한국신약학회 13 (13): 947-984, 2006
42 차정식, "바울 선교의 정치·외교적 지형과 신학적 동역학" 한국기독교학회 (62) : 105-131, 2009
43 윤소정, "바울 서신에서 나타나는 수사학의 역사적 배경 고찰" 한국신약학회 14 (14): 1053-1084, 2007
44 김병모, "문자(gra,mma)와 영(pneu/ma) - 고린도후서 2:14-3:6을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7 (17): 57-77, 2010
45 유은걸, "목회 서신의 대적자는 영지주의자였는가?" 한국신약학회 15 (15): 1051-1082, 2008
46 김동수, "말할 수 없는 탄식(롬 8:26): 무언인가? 방언인가?" 한국신약학회 15 (15): 961-986, 2008
47 서동수, "롬 9-11장의 수사학적 구조와 이스라엘1. 서론" 한국신약학회 12 (12): 889-920, 2005
48 문병구, "롬 8:18-39에 나타난 구원의 역동성에 관한 해석학적 연구" 한국신약학회 12 (12): 855-888, 2005
49 서동수, "로마서의 해석학적 원리: 유대인과 이방인의 상동성" 11 (11): 683-715, 2004
50 서동수, "로마서의 주제와 구조-롬 1장 16-17은 과연 로마서의 주제인가" 한국신약학회 8 (8): 75-202, 2001
51 김덕기, "로마서의 구속론과 희생제의: 속죄론의 사회적 의미를중심으로" 11 (11): 385-427, 2004
52 정승우, "로마서 9-11장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구원문제와 로마교회의 사회적 정황" 한국신약학회 12 (12): 39-66, 2005
53 김상훈, "로마서 6:1-15의 이중 역교차 구조와 병행 문체 연구" 한국신약학회 17 (17): 949-984, 2010
54 이승문, "로마공동체의 경제적 갈등과 공존 -로마서 14:1-15:13, 15:25-16:2을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8 (18): 557-598, 2011
55 노태성, "디모데후서의 저작 상황-겉옷과 책 그리고 데마가 떠난 이유를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4 (14): 135-158, 2007
56 이광진, "디모데전서의 경제윤리" 한국신약학회 8 (8): 103-122, 2001
57 배재욱, "디도서 3:4-7에서의 중생(paliggenesi,a)과 그의 전 역사1. 서론" 한국신약학회 12 (12): 921-951, 2005
58 김형동, "데살로니가전서에 나타난 환난과 로마 제국의 상관성에 대한 재조명" 한국신약학회 17 (17): 325-356, 2010
59 권연경, "능력으로 상속하는 하나님 나라 (고린도전서 4장 20절)" 한국신약학회 15 (15): 987-1016, 2008
60 조경철, "그리스도의 우주적 주권과 성도의 삶-에베소서의 윤리적교훈의 기독론적 근거에 관한 연구" 9 (9): 697-723, 2002
61 현경식, "그리스도와 교회: 바울의 신학과 공동체 윤리" 삼원서원 2010
62 서동수, "그리스도는 율법의 마침인가? -로마서 10:4의 새로운 해석" 한국신약학회 13 (13): 985-1014, 2006
63 정승우, "그리스도, 율법의 종결자인가 성취자인가--로마서10:4의‘ 텔로스’의 이중적 의미와 바울의 목회전략" 한국신약학회 14 (14): 491-522, 2007
64 유승원, "그리스도 그리고 또 한 사람-이방인-유대인 갈등을 푸는 에베소서의 신학적 조명" 한국신약학회 8 (8): 101-127, 2001
65 윤철원, "그레코-로마적 관점에서 본 목회서신의 결혼 문제" 한국신약학회 8 (8): 123-148, 2001
66 이승호, "공간과 시간의 통합: 골로새서의 종말론" 한국신약학회 17 (17): 985-1014, 2010
67 조광호, "고린도후서는 여러 편지들의 모음인가?" 10 (10): 391-420, 2003
68 배현주, "고린도전후서에 나타난 악의 상징에 관한 연구 -불트만의 비신화화를 넘어서" 한국신약학회 15 (15): 707-742, 2008
69 왕인성, "고린도전서 8:1-11:1의 ‘우상제물’ 문제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과 전통적 해석 재고(再考)" 한국신약학회 17 (17): 623-656, 2010
70 김광수, "고린도전서 15장의 사회적 기능-정결 이념으로서 부활" 한국신약학회 6 : 95-136, 2000
71 김경진, "고린도교회에서 발생한 빈부 간의 경제적 갈등과 처방 -사회갈등의 원인과 그 해결을 위한 신약윤리적 대안" 한국신약학회 18 (18): 599-629, 2011
72 윤소정, "고린도 전서 11:2-14:40에 나타난 바울의 수사학: 영적 자유인가? 구조적 질서인가?" 한국신약학회 15 (15): 1017-1049, 2008
73 이민규, "고대 지중해 문화의 보호자와 수혜자 관습으로 본 바울 서신의 칭의 사상과 행위 심판과의 관계" 한국신약학회 15 (15): 677-706, 2008
74 왕인성, "갈라디아서의 가족 관련 은유의 배경과 우정(fi,lia) 모티브와의 관계" 11 (11): 151-179, 2004
75 민준홍, "갈라디아 공동체의 구성 그룹과 율법 이해" 한국신약학회 18 (18): 819-851, 2011
76 최갑종, "갈라대아서 3:10-12에 나타난 율법과 믿음의 반위관계" 한국신약학회 18 (18): 1145-1181, 2011
77 최흥식, "“의롭게 됨”과 Pi,stij Cristou/ -갈라디아서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학회 (79) : 31-55, 2012
78 권연경, "‘율법의 행위’는 ‘율법 준수’를 의미하는가?" 한국신약학회 14 (14): 679-708, 2007
79 이승문, "‘율법의 저주’에 대한 바울의 논쟁과 갈라디아 공동체의정황" 10 (10): 421-454, 2003
80 박노식, "The Rhetorical Nature in Gal 4:12-20)" 10 (10): 117-137, 2003
81 최갑종, "Pi,stij Cristou 구문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로마서 1:16-17, 3:21-31, 4:1-25에 나타난 ‘믿음’과 '의'(義)에 대한 상관성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7 (17): 357-394, 2010
82 박수암, "20세기 한국 신약학의 회고와 전망" 22 : 119-142, 2001
83 권연경, ""의롭다하심"인가 "의로운 행위"인가?" 한국신약학회 18 (18): 783-817, 2011
구약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다 죄 아래 있다고 말하는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3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3 | 0.586 | 0.09 |